MBA

한국인이 미국에서 VC 하기

내가 자주 받는 질문에 대한 내 개인적인 생각과 설명이다. 내가 쓰는 글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어떤 분들은 동의할 것이고 어떤 분들은 동의하지 않을 것인데 내 “개인적인 의견”이라는 걸 다시 한번 강조한다.

얼마전에도 이 질문을 받았다:

“저는 한국에서 태어나서, 한국에서 교육을 받았고,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했습니다. 2년 전에 미국에 처음와서 MBA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이제 곧 졸업인데 저 같은 한국 토종도 미국 VC 회사에 취직할 수 있을까요?”

일단…매우 애매하고 사람마다 다른 그런 질문이지만, 워낙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내용이라서 나도 나름대로 한번 생각을 해봤다. 아주 간단하게 풀어보면 나는 VC 들은 기본적으로 다음 능력/자산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1. – 이건 당연하다. 투자하려면 기본적으로 돈이 있어야 하고 돈이 없는 사람은 투자자라고 볼 수 없다.
  2. 어느정도의 경험 – 스타트업 관련 경험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말하는 경험은 여러가지 일 수 있는데 창업 후 성공적인 exit 경험,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창업 후 여러가지 벤처 시나리오 경험, 직접 창업은 하지 않았지만 스타트업 경험, 직접 창업하거나 스타트업에서 일해보지는 않았지만 오랜 기간동안 여러 스타트업들에 투자해서 이들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 정도라고 생각한다. 경험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스타트업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는 창업가들이랑 도저히 이야기를 할 수도 없을뿐더러 창업가들이 투자자들 이야기를 들으려고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스타트업에 대해서 뭘 안다고?” 뭐 이런 생각들을 할 것이다). 하지만, 내 주위에는 전혀 스타트업 경험은 없지만 투자하는 회사마다 대박이 나는 능력자들도 가끔 있다.
  3. Deal sourcing 능력 – VC 업계에도 최근들어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지만, VC로써 가장 중요한 능력은 바로 이 deal sourcing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과거에는 돈만 있으면 창업가들이 줄을 서서 투자를 받으려고 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완전히 반대가 되었다. 좋은 창업가가 있다면 투자자들이 줄을 서고 창업가는 입맛에 따라 골라서 돈을 받을 수 있다. Deal sourcing을 잘하는 VC들은 내 생각에 2 부류가 있다. 하나는 상대적으로 젊고 경험이 없는 VC들인데 이들이 잘하는 건 발로 열심히 뛰어 다니는 거다. Facebook을 처음 발견한 Kevin Efrusy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참고로 Efrusy씨는 이제 실리콘 밸리에서 굉장히 유명한 거물 VC가 되었다. 남들보다 더 열심히 발로 뛰어다니면서 마치 영업사원처럼 좋은 창업가와 회사들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발견하고 이들에게 스스로를 잘 팔아서 창업가들이 남의 돈이 아닌 내 돈을 받게 만들어야 한다. 다른 부류는 상대적으로 나이가 좀 있고 경험이 많은 VC들인데 이미 투자자로써 어느 정도 레벨에 도달했고 그동안 좋은 connection을 – 다른 투자자 및 창업가들과 – 많이 만들었기 때문에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유망주들에 대한 소식을 남들보다 먼저 접하게 된다. 참고로, deal sourcing에서 가장 중요한 건 바로 남들보다 먼저, 그리고 남들이 잘 모르는 회사들을 가장 먼저 만나는 것이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경쟁이 심하지 않을때 더 좋은 조건에 남들보다 먼저 투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로써 대박은 바로 이렇게 만드는 것이다.

자 그럼 한국에서 온 분들이 미국에서 이런 조건을 갖추고 VC를 하려면 뭘 어떻게 하면 좋을까?

가장 중요하며 기본적인 건 영어다. 첫째도 영어, 둘째도 영어, 그리고 셋째도 유창한 영어다. 위에서 언급한 능력들을 하나씩 짚고 넘어가 보자. 재벌가 출신이 아닌 이상 투자를 하기 위한 돈 또한 외부에서 받아야 한다. 영어를 못하는데 잘 모르는 사람들한테 어떻게 나 자신을 어필하고 수십억원의 돈을 받을 수 있나? 스타트업 경험을 쌓으려면 창업을 하거나 스타트업들과 아주 헤비하게 involve가 되어야 하는데 이 또한 영어가 안되면 택도 없다. 한국에서의 경험? 솔직히 요새 소위 말하는 unicorn 경험 또는 그와 비슷한게 아닌 이상 별로 안 쳐준다. 그리고 영어를 못하는데 남들보다 먼저 deal sourcing은 어떻게 하나? 일단 어느 지역에 어떤 회사들이 요새 뜨는지를 잘 파악하지 못하고, 파악을 하더라도 그 회사의 창업팀을 찾아가서 “나, 이러이러한 사람인데 당신 회사에 투자하고 싶다.”를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까…그리고 내가 유능한 미국 창업가라면 영어를 띄엄띄엄하는 투자자한테는 왠만하면 돈을 안 받을 거 같다. 능력있고 자신있는 창업가라면 돈을 받을 수 있는 구멍이 많은데 굳이 이 사람한테 돈을 받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영어도 못하는 사람이 미국에서 우리 회사에 어떤 가치를 줄 수 있을지 의심스러울 것이다.

유창한 영어는 한국이든 미국이든 비즈니스를 하는데 매우 중요하고 필수 요소이다.

*관련 동영상 “한국 사람이 미국에서 VC 되기” 보기
*영어 관련 과거 포스팅:
영어 하기
Do You Speak English? – Part 1
Do You Speak English? – Part 2

 

[生生MBA리포트] MBA에서는 무엇을 배우는가?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 씨는 와튼스쿨 (Wharton School) 졸업한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지난 달 초에 포스팅했던 ‘$$$ of MBA‘ 편에서 MBA 졸업생들이 받는 연봉에 대하여 짧게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5년 뒤에 이들의 연봉 추이는 어떻게 될까요?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의 MBA 랭킹이 이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포브스는 오로지 MBA 이전과 이후 5년간의 연봉을 비교하여 산출한 ROI(Return On Investment) 기준으로만 랭킹을 산정합니다. 2013년 가을에 발표한 Forbes 지의 랭킹에 의하면, 2008년 스탠포드 MBA 들이 졸업하면서 받은 기본 연봉의 중앙값(median)은 $120,000이었지만, 졸업 5년 후인 2013년에는 $221,000으로 상승했습니다. 또한, MBA에 오기 전 이들의 연봉은 $80,000 이었습니다. MBA 2년을 마친 후 연봉이 50% 상승했을 뿐 아니라, 졸업 5년 만에는 84% (연평균 13%) 정도 상승한 셈입니다. 이쯤되면 궁금증이 생길 법도 합니다. 대체 MBA에서는 무엇을 가르치길래, 2년 동안 학위를 마친 것만으로 연봉이 50%가 상승하고, 졸업 후 5년 후에는 현재 환율로 2억 5천만원이 넘는 연봉을 받게 되는 걸까요?

물론 이런 현상은 “미국 회사들은 왜 (아직도) MBA를 원하는가?“라는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 있는, 미국 기업들이 비즈니스 스쿨의 인재 선별 과정에 대하여 갖고 있는 신뢰와 직결됩니다. 즉, 명망있는MBA 과정으로부터 어드미션을 받은 사람이라면, 그것만으로도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 인재라고 판단한다는 것이죠. 그러나 위와 같은 파격적인 연봉 인상은 MBA 과정을 실제로 졸업한 이들에게만 주어질 뿐, 어드미션만 받고 입학을 하지 않은 이들에게는 남의 나라 이야기입니다. 즉, MBA과정에서 학생들이 배워오는 것들이 회사에게는 경제적인 보상(높은 연봉)을 제공할 만한 가치있는 자산이 됩니다.

MBA에서 얻어갈 수 있는 것은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가 경영학 석사의 약자이듯이, 우선 비즈니스 및 전반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재무, 전략, 마케팅, SCM(Supply Chain Management) 등 일반 기업의 경제활동에서 중심이 되는 각 분야의 지식이 모두 포함됩니다. 학교마다 특성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대부분 학교의 커리큘럼은 1학년 때는 필수과목(core)들을 통해 비즈니스의 각 분야가 어떻게 돌아가는 지 이해하고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는 데 초점을 둡니다. 2학년 때는 선택과목(elective)들을 통해 각 학생이 집중하고자 하는 분야의 심화과정들을 들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MBA에 입학하는 약 80%의 학생들은 학부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지 않은 이들이기 때문에, MBA에서 다루는 경영 수업, 특히 필수과목, 들의 난이도는 대학교 2-3학년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사실 학부에서 2-3년에 마칠 과정을 1년 안에 끝내야 하기 때문에 정말 필수적이고 가장 중요한 이론만 배우고 넘어가게 됩니다. 2학년 때 듣는 선택과목들은 훨씬 더 깊이가 있는 편이기는 하나, 많은 수의 수업을 수강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학문적으로 깊이있는 지식을 얻어가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분명히 기업의 각 부분이 어떻게 굴러가는지, 그리고 상호 간에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를 이해하는 데 기본적인 프레임은 제공해 줍니다. 따라서 컨설팅처럼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 업무를 하고자 하는 이들이나, 학부에서 공학을 전공하여 비즈니스 및 경영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이들에게는 상당히 유용합니다.

두 번째로 MBA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자산은 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입니다. 작년에 기고했던 ‘미국 회사들은 왜 (아직도) MBA 를 원하는가’ 부분에서도 잠시 언급한 바 있지만, MBA 과정은 이미 리더십의 잠재력이 있는 이들을 선별하여 훈련시키는 특수훈련 무대입니다. 와튼의 경우, 1학년 필수과목 중에는 ‘직장 내에서 사람 다루기 (Managing People at Work)’과 ‘팀웍과 리더십의 기초(Foundations of Teamwork and Leadership)’이라는 수업과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훈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과목들은 교수들의 강의 뿐 아니라 다양한 팀 프로젝트와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학생들을 의식적으로 또한 무의식적으로 훈련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와튼스쿨에서 가장 인기있는 선택과목 중 하나는 한국에서도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Getting More)’의 저자로 유명한 스튜어트 다이아몬드의 협상(Negotiations) 수업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회사 내에서 팀을 이끌고, 갈등을 해결하고, 계약의 상대방을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게 됩니다.

MBA의 세 번째 가치는 세상을 보는 눈을 넓혀준다는 데 있습니다. MBA 의 두드러지는 특징은 다양성(diversity)에 있습니다. 학생들의 국적도, 문화적 배경도, 학부 전공도, 경력도 정말 다양합니다. 중국 대표로 올림픽에 출전했던 친구도 있고, 오바마 대선 캠페인에서 일했던 이도, 하버드에서 학부를 졸업하고 아프리카의 비영리단체에서 일했던 친구도 있습니다. 뉴욕의 슬럼가에서 자란 친구가 있는 반면, 카타르의 석유재벌을 아버지로 둔 이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경험과 시각들이 수업 안팎으로 학생들을 성장시키는 도구가 되고, 취업 이후에도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합니다.

MBA에 진학을 염두에 두고 계신 분들이라면, 스스로가 비즈니스 스쿨에 가서 무엇을 배우고 얻어올 지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로 MBA 어드미션 에세이가 빼놓지 않고 물어보는 질문이기도 하고요. 무엇보다, 자기 자신의 현재 모습에서 미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위에서 언급한 경영 지식, 리더십 훈련, 그리고 다양성을 갖춰야 한다면 MBA에 진학해야 하는 분명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生生MBA리포트] MBA 이후의 진로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 씨는 와튼스쿨 (Wharton School) 졸업한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지난 번에 ‘$$$ of MBA’에서 MBA 졸업자들의 연봉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그 정도의 연봉을 받는 MBA 졸업자들은 어떤 일을 주로 하는 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오늘은 MBA 이후의 진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탑 비즈니스 스쿨들의 경우, 대략적으로 볼 때 졸업자의 30% 이상이 금융, 20-30% 가 컨설팅 업계로 진출하는 것이 금융 위기 이전까지의 경향이었습니다. 그 외의 모든 산업은 나머지 40%에 포함되는데, 구글이나 아마존같은 테크놀로지 회사, P&G나 유니레버 같은 소비재 회사, 그리고 원래 다니던 기업이나 군에서 스폰서를 받고 오는 경우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그러나 2008-2009년에 미국이 격변의 금융위기를 겪음에 따라 월가의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금융계로 진출하는 학생들이 대폭 줄었습니다. 그 자리를 대신 메운 것은 테크놀로지 산업 (스타트업 포함) 지망자들입니다. 하버드의 경우, 2008년까지는 금융계로 진출하는 졸업생이 45%였지만 2013년에는 22%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테크놀로지 산업으로 진출하는 이들은 7%에서 18%로 두 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스탠포드의 경우, 2008년에는 금융계로 진출하는 이들이 34%, 테크놀로지가 17%였으나, 2013년에는 금융이 26%, 테크놀로지가 32%로 아예 역전되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금융계로 진출하려는 학생이 많은 와튼 및 컬럼비아에서도 두드러졌습니다. 와튼과 컬럼비아의 MBA 졸업자 중 2013년에 금융계로 진출한 이들은 39%와 37.9%이지만, 2008년만 해도 55.6%와 47.7%였습니다. 반면, 2013년에 이들 학교에서 테크놀로지 산업으로 이동한 이들은 와튼이 11%, 컬럼비아가 13%로, 2008년의 5.6%와 7.8%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숫자입니다. 컨설팅으로 진출하는 졸업생들의 숫자의 지난 5년간 거의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MBA 졸업생들은 이런 회사에 가서 어떤 일을 하게 될까요? 요즘 MBA 졸업생들을 가장 많이 데려가는 곳은 컨설팅 회사들입니다. 많이들 아시는 McKinsey, Bain, BCG를 비롯하여, A.T. Kearney, Accenture, Booz & Company 등이 대표적이죠. MBA를 졸업하고 컨설턴트로 입사하면 고객이 의뢰하는 프로젝트를 맡아 팀으로 움직이며 솔루션을 제공하는 일을 하게 됩니다. 프로젝트는 고객의 니즈에 따라 미래전략 수립부터, 특정 지역의 오퍼레이션 이슈까지 다양합니다. 컨설팅의 경우, 항상 변화하는 다이내믹한 환경에서 출중한 두뇌들과 일하기 때문에 지적 자극이 크고 많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반면, 기나긴 업무시간과 스트레스 또한 많습니다. 미국에서는 한국만큼 업무시간이 길지는 않지만, 대신 출장이 매우 잦아서 호텔에서 생활하는 날이 많습니다.

금융계의 경우, MBA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곳은 투자은행입니다. Goldman Sachs, Morgan Stanley, UBS, Citi, Credit Suisse 등이 대표적인 투자은행인데, MBA 를 졸업하면 associate로 입사하게 됩니다. 투자은행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로 나뉘어지는데, 산업별(소비재, 에너지, 금융 등)로 나뉠 수도 있고, function별(M&A, LBO, IPO 등)로 나뉠 수도 있습니다. 만일 A 라는 회사가 B라는 회사와의 M&A를 검토하고자 투자은행에 의뢰한다면, associate는 자료를 검토하여 그를 바탕으로 모델링을 하여 얼마의 돈을 어떤 종류의 채권으로, 각 몇 %의 이자율로 빌릴 수 있는지, 그렇게 할 때 내부수익률이 얼마나 될지 등을 분석합니다. IPO(주식 공개상장)의 경우에는, 투자은행가들이 회사의 가치를 분석하여 얼마의 가격에 몇 주를 언제 상장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합니다. 최근 상장한 페이스북의 경우, 모건 스탠리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6조원이 넘는 페이스북 주식을 상장하는 댓가로 페이스북이 지불한 수수료는 1.1%였고 (한화로 1800억이 넘는 금액), 이는 모건스탠리와 JP 모건 그리고 골드만 삭스가 나눠 가졌다고 합니다. 투자은행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associate로 몇 년 지나면 VP(vice president, 그러나 한국적인 개념에서의 회사 부사장이 아닙니다)로 승진하게 되고, 조직 내에서 계속 살아남을 수 있다면 투자은행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MD(Managing Director)의 위치에 오르게 됩니다. MD 정도가 되면 실제 숫자 분석보다는 영업이 주요한 업무가 되는데, 생존 및 영업에 대한 스트레스도 엄청나지만, 보너스만 $1 million(11억원) 이상 가져가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MBA를 졸업하고 트레이더로 투자은행에 입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트레이더는 시장이 있는 모든 것-원유, 목화, 커피, 금, 밀 등등 -을 사고파는 일입니다. 다만 트레이딩은 정말 한 거래에서 얼마를 남기느냐가 중요할 뿐, 중요한 지식을 MBA에서 배울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인맥을 크게 쓸 데가 있는 것도 아니라 MBA 졸업생을 굳이 채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 때문에 트레이더로 입사하는 MBA 졸업생은 적습니다. 기본 연봉은 associate로 입사하는 사람들과 비슷하나, 본인의 트레이딩 성과 여부에 따라 보너스가 강하게 연동됩니다. 또한, 장 시간이 끝나면 퇴근할 수 있어서 투자은행에서 일하는 이들 중에서는 가장 업무시간이 적은 편에 속합니다. 하지만 업무시간 중의 스트레스 강도는 굉장합니다. 영국의 베어링 은행을 파산시킨 것도 결국 트레이더 한 명이었습니다. 그리고 투자은행의 리서치 부서에서도 MBA를 채용합니다.

투자은행 외에 상업은행(commercial bank)들의 경우, MA(Management Associate)이라는 자리를 만들어 MBA를 채용합니다. MA는 미래에 은행의 경영진으로 성장할 사람들로, 처음 2년간은 여러 부서를 돌면서 은행의 기본업무를 배우고 나중에는 원하는 부서에서 성장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는 Citi와 JP Morgan에서 MA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투자은행 associate와 비교할 때, 보너스가 적기 때문에 연봉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지만,대신 야근이 적고 정시퇴근이 가능한 직업이라는 면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투자은행 및 상업은행 이외에 American Express나 AIG 등 큰 보험사 및 카드사들과 회계법인도 MBA를 채용합니다.

MBA 졸업 후 Investment Management 쪽으로 진출하는 학생은 생각보다 많지 않고, 특히 기존에 자산관리 쪽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더욱 드물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쪽으로 취업하는 학생들은 학부 졸업 후 투자은행에서 애널리스트로 2년 정도를 보낸 후, 투자관리 쪽으로 이직하여 이미 경력이 있는 이들이 대부분입니다. 여기에는 Fidelity나 PIMCO같은 회사에 주식이나 채권을 전문적으로research 하는 analyst로서 채용되는 경우(향후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될 수 있는 포지션)와 Carlyle 이나 블랙스톤과 같은 사모펀드(PE: Private Equity)와 헤지펀드의 애널리스트로 들어가는 경우가 포함됩니다.

금융계와 컨설팅을 제외하고 전통적으로 MBA를 계속 채용해 온 산업은 소비재 쪽입니다. P&G나 존슨&존슨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테크놀로지 쪽에서는 요즘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 유명한 기업들은 물론 새롭게 떠오르는 인터넷 회사들도 MBA 채용을 늘려가는 것이 추세입니다. IBM등은 예전부터 계속 채용을 해 왔고요. 또한 세계적인 제약사들도 꾸준히 MBA를 뽑고 있습니다. 테크놀로지나 제약사, 혹은 연구소 등으로 진출하는 분들은 대개 해당 업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이미 보유하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위에서 제가 언급한 진로는 대체로 미국 기준입니다. 한국은 조금 다릅니다. 큰 컨설팅 회사들의 경우, 대부분 서울 오피스가 있고 미국과는 별도로 MBA 채용을 진행합니다. 또한 삼성의 미래전략실이나 두산처럼 MBA들을 채용하여 회사의 미래 전략을 짜는 곳들도 있습니다. 반면 외국계 투자은행들의 경우, 국내 오피스들의 규모가 워낙 작기 때문에 MBA 채용은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외에는 국내 증권사들, 삼일 등의 회계법인, 삼성전자 등의 대기업들이 MBA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MBA 취업은 매년 경기에 따라 그리고 회사들의 수요와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위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채용하는 산업부터 설명했으나, 여기에서 벗어나는 경우들도 상당히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MBA진학을 진지하게 고민하시는 분이라면, MBA 졸업 후 가장 대표적인 진로들에는 어떤 길이 있는지를 잘 알아보시는 것도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生生MBA리포트] $$$ of MBA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 씨는 와튼스쿨 (Wharton School) 졸업한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처음으로 스타트업바이블에 칼럼을 싣게 되면서 쓴 글의 제목은 “MBA에는 답이 있다? 없다?“였습니다. 현재 직업이나 미래 커리어골은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MBA=성공을 위한 지름길”이라고 생각하시는 많은 분들을 보면서 정말 MBA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걸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또한, 꼭 ‘랭킹이 높은 학교= 좋은 학교’가 아닐 뿐 아니라, 되려 반대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전달하기 위해 “MBA랭킹은 정말 얼마나 중요한가?“라는 글을, 그리고 어렵게 입학한 학교생활을 만족스럽게 하지 못하는 분들을 많이 보았기에 “MBA에 가서 성공하려면?“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지난 번에는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MBA 트렌드“라는 제목으로, 최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MBA 어드미션 및 졸업 후 트렌드 등에 대해서 짚어보았습니다.

이런 부분들을 십분 이해하고, 자기 자신의 커리어골 및 개인적 성향을 깊이 고려한 결과, MBA 진학이 꼭 필요하다고 느끼시는 분들이라면, 이제 ROI계산을 위해 MBA 졸업까지 소요되는 비용이 궁금하실 겁니다. 또한 언제나 핫이슈인 MBA 졸업자들의 연봉에 대해서도 호기심이 많으실 것 같아서 오늘은 다소 민감한 주제인 ‘돈’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먼저 MBA를 하는데 얼마만큼의 비용이 소요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Wharton에 입학한 2007년에는 학비(Tuition)와 각종 수수료, 건강보험 등을 더하면 1년에 $50,000을 약간 넘는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6년이 지난 지금은 많이도 올랐습니다. Top MBA 프로그램의 학비들은 대부분 $53,000~$58,000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Wharton의 cost summary를 참고하시면 총 소요비용이 월세 및 생활비를 제외하고도 약 $75,000 정도입니다. 2년이면 15만불 정도가 되겠습니다. 월세의 경우, 필라델피아는 상당히 비싼 축에 속합니다. 차라리 뉴욕에 있는 학교들은 학교 기숙사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고, 조금 먼 거리에서도 통학을 감수하지만, 필라델피아는 MBA들이 살 만한 지역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많지 않습니다. 기숙사도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이 들어가는 독방 스튜디오는 월 $1100 이상이고, 그렇지 않은 일반 아파트의 스튜디오(우리식의 원룸)가 월 $1200 정도, 배우자 및 자녀가 있어서 침실 2개가 필요한 경우는 월 $2000 ~ $3500 정도입니다. 또, 의료보험의 경우, 유펜이 비싼 편이긴 하지만, 학생의 경우 연 $3400, 부양가족의 경우 1인당 연 $3800 정도입니다(2012년 기준). 여기에 식비 등의 기타 생활비를 합치면 MBA를 마치는데 소요되는 총 직접 비용이 됩니다. 2년간 회사에 다니지 못해서 발생하는 기회비용은 별도로 치더라도, 싱글 한 명이 20개월간 MBA 생활을 하는 데, 알뜰하게 살아도 최소 20만불은 소요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배우자와 아이들이 있는 집의 경우 30만불 이상 드는 경우도 심심찮게 보았습니다.

그러면 많은 MBA 학생들은 소요비용을 어떻게 조달할까요?
우선, 직장생활을 하면서 저축한 본인의 자산을 활용하거나 부모님의 서포트를 받습니다. 두번째로는 학교 측의 장학금이 있습니다. 2007년에 저도 입학하면서 Joseph Wharton Fellowship이라는 이름의 장학금을 $15,000 (2년 기준) 받았고, 저 이외에도 여러 한국 학생들이 받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지원자가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학교 측에서 이렇게 장학금을 주는 경우는 의외로 상당히 많습니다. 과거에 함께 작업했던 지원자들의 경우, 탑스쿨 측에서 어드미션을 주면서 5.5만불 까지 장학금을 제시한 적이 있었습니다. 세번째, 다니고 있는 회사의 스폰서십이 있습니다. 커리어를 바꾸거나 이직을 할 수는 없지만, 학비 및 비행기값 뿐 아니라, 월급도 나오기 때문에 금전적인 부담이 가장 적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혜택을 받았던 미래에셋글로벌투자장학금과 같은 장학재단을 찾아보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규모가 크고 잘 알려진 삼성, 관종이종환 장학금 등 대부분은 MBA, 로스쿨, 의대처럼 학자가 아니라 프로페셔널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은 선발자격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글로벌투자장학금이 MBA가 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인데, 연령 및 가계소득의 제한이 있습니다. 또한, 과거 연 $50,000 지원에서 이제는 $20,000 으로 지원금액이 감소하였고, 선발 인원 역시 계속 줄이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 방법은 학자금 대출을 받는 것입니다. 미국에 연고가 없는 외국인 학생들의 경우, 학교를 통해서가 아니면 미국인의 보증없이는 대출이 불가능합니다. 금융위기 전에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인터내셔널 학생들에게 보증없이 저리에 대출을 해줬으나, 2009년 이후 대출금액의 제한이 생기고 이자율이 뛰는 등 불리해진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에서도 대출해 오시는 분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그렇다면 MBA 를 졸업한 이후의 연봉은 얼마나 오르나요?
가장 학생들이 많이 진출하는 전략 컨설팅과 투자은행의 예를 들겠습니다. 2013년 미국에서 가을 입사 기준으로, 대부분의 전략컨설팅 사들의 연봉이 $135,000, signing bonus(계약서에 사인할 때 받는 보너스, 대부분 2년 동안 회사에 묶이는 조건)는 $20,000 입니다. 여기에 연말에 성과급 보너스가 붙는데, 한도는 대개 $35,000까지라고 합니다. 투자은행의 경우도 비슷한데, 2012년 기준으로 평균 연봉이 $110,000~$125,000 이고, 보너스는 대부분 $40,000~$60,000 사이라고 합니다. (금융사의 보너스는 실적과 강하게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2011년은 훨씬 낮았다고 합니다.) 일반 기업들의 경우, (구글 등의 예를 제외하고는) 전문직보다는 연봉 및 보너스가 조금 더 낮은 것으로 보이지만, 업무 시간도 적습니다. 다른 MBA 이전의 연봉과 비교했을 때의 연봉상승률은 MBA랭킹의 산정지표 중 하나이기 때문에, 대체로 연봉이 많이 낮은 인도나 중국 본토에서 일하다 온 지원자들이 유리하기도 합니다. 같은 지원자라면 아무래도 연봉이 많이 오를 것 같은 지원자를 뽑는 건 당연하겠죠.

회사 이름과 연봉숫자만 놓고보면 MBA를 안 갈 이유가 없을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제가 제시한 숫자는 어디까지나 미국 현지의 연봉이고, 한국으로 돌아가는 경우에는, 컨설팅과 외국계 투자은행을 제외하면 이보다 낮습니다. 또한 설사 미국에서 취업을 하더라도, 많은 세금과 월세를 감안하면, MBA 이전에 한국에서 벌던 것과 큰 차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MBA를 가는 게 맞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 심사숙고 할 때에는, MBA 졸업 후의 연봉이 결정의 기준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본인이 지향하는 커리어와 MBA에서 제공하는 기회를 잘 비교해보고, MBA를 졸업했을 때 자신의 꿈을 이룰 가능성이 확실히 높아지는 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는 스스로가 미국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학교생활 및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성향인지를 생각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장 열정적인 MBA 생활을 위한 필수요건입니다.

[生生MBA리포트] 금융위기 이후 MBA Trend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 씨는 와튼스쿨 (Wharton School) 졸업한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MBA 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금융위기 이후 MBA를 채용하는 산업이나 학생들이 지망하는 분야에 눈에 띄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2007, 2008년만 하더라도 MBA 지원자의 절반에서 1/3 가량은 금융계 취업을 희망하는 이들이었지만, 요즘은 매년 급감하는 추세입니다. 리먼 브러더스, 베어스턴스는 없어져 버렸고, 남은 은행들도 합병을 하거나 수익이 나지 않는 사업부문을 상당부분 정리하면서 MBA들이 선호하던 투자은행 쪽 자리가 많이 줄었습니다. 신규채용은 고사하고, 2009~2011년에는 한동안 인원감축 때문에 월스트리트에는 칼바람이 불어 기존의 alumni들도 자리보전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회사들이 어렵다보니 매년 50-100%까지도 지급하던 보너스도 대폭 줄였습니다. 과거에 학생들이 주당 100시간에 육박하는 무시무시한 근무시간과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투자은행 취업에 그토록 열을 올렸던 것은, 다른 post-MBA 직업과는 비교할 수 없는 경제적 보상 때문이었는데, 그 매력이 사라진 셈이죠. 앞으로 얼마나 더 나아질 지는 모르나, 현재로서는 컨설팅과 비교할 때 약간 더 나은 수준의 연봉 패키지를 제공하는 정도입니다. 채용인원도 줄었는데, 매력마저도 반감되다 보니, 이제는 금융계 취업을 위해 MBA에 진학하는 인원이 대폭 감소했습니다. 2011년만 해도, 하버드 학생 중 39%, 스탠포드의 36%가 금융계 취업을 희망했으나, 불과 2년 후인 2013년 동일 업종을 희망하는 학생은 하버드 27%(12% 감소), 스탠포드 26%(10%감소) 로 떨어졌습니다. 탑스쿨 중 대표적인 파이낸스 스쿨인 Wharton의 경우에는, 금융계를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변화가 없었으나, 지난 4년간 탑스쿨 중 유일하게 지원자수가 12%나 감소하여 작년 가을에 MBA Admission director가 갑자기 사임한 바 있습니다. 학교들이 매년 가을에 실제로 발표하는 취업 리포트들도 여기에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금융계로 진출하는 MBA 들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한국인 지원자분들이 요즘 미국 취업에 많이 애를 먹는 듯 보이는 이유도 이와 연관이 있습니다. 컨설팅이나 대기업 전략실에 비해, 투자은행의 업무는 영어나 문화의 구애를 상대적으로 훨씬 덜 받는 분야입니다. 그러다보니 과거에 한국 학생들이 미국에 정착하는 경우의 상당수는 투자은행 취업을 통한 케이스였습니다. 이에 따라 불과 3년전만 해도, 금융계에서 일하던 많은 분들이 MBA를 지원했고, 졸업 후 미국 내 금융기관의 취업을 희망했습니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외국인들에게 더욱 살벌해진 취업전쟁 속에서 이 분들이 미국내 금융기관에 취업하기란 하늘에 별따기가 되었습니다. 그나마 취업이 가장 용이하던 투자은행이 흔들리니, 다른 분야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그러나 금융계 선호자들이 빠져나간 빈 자리는 대신 테크놀로지 쪽으로 가고자 하는 이들이 그 빈자리를 메우고 있습니다. 2013년 현재 하버드는 학생의 18%가, 스탠포드는 금융계 지원자보다 많은 32%가 테크놀로지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은 MBA 채용을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죠. 또한 꼭 테크놀로지 쪽이 아니라도 다양한 산업에서 MBA 채용의 문을 열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예전에는 일반 소비재 회사에서는 MBA를 거의 뽑지 않았었는데 요즘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또한 창업의 바람이 불면서 급증하고 있는 스타트업을 창업하고자 하는 MBA들도 늘고 있습니다. 당장의 경제적 보상은 좀 덜 받더라도,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일과 삶 사이의 균형 또한 유지하고 싶은 이들의 움직임이죠. 대신 좋아하는 일에 열정을 바침으로써, 장기적인 성장 및 성공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지원자들은 이런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우선, 어느 업종을 희망하시건 간에, MBA를 투자적 관점으로 봤을 때, 단기적으로 투자대비 수익(ROI)은 낮아질 확률이 크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제가 2007년에 입학했을 때만 하더라도, ‘졸업 후 투자은행에 가면 MBA에 다니면서 들인 직간접적 투자비용을 x년 만에 회수할 수 있다’는 식의 이야기가 자주 회자되었습니다. 물론 여전히 많은 회사들은 MBA 졸업생들에게 six-figure(간단하게 우리 말로는 억대연봉)을 지급하지만, 그렇지 않은 회사들도 이제 MBA 채용을 늘리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제는 과거와 같은 즉각적인 경제적 보상은 아무래도 어려울 것입니다. 때문에 스스로 MBA를 가려는 이유가 단순히 ‘높은 연봉’이라면 심각하게 재고해 봐야 합니다. 특히, 희망하는 분야가 금융 쪽이라면, 자기 자신의 커리어플랜과 목표 달성 가능성을 예전보다 철저하게 점검해 봐야겠죠.

반면, 전통적으로 MBA와는 별 관련이 없었던 분야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분에게는 최근의 이러한 변화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물론 그런 분야에서 당장 투자은행이나 컨설팅처럼 MBA를 대규모로 채용하지는 않겠죠. 하지만 실제로 게임, 디자인, 테크놀로지 스타트업, 의학 및 약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실제로 좋은 학교들이 이러한 분야의 지원자들에게 주는 어드미션을 점차 늘리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대체로 본인이 가고자 하는 길에 대한 열정과 확신이 있기 때문에, 학교에 가셔서도 흔들리지 않고 목표를 추구해 나갈 가능성이 큽니다. 혹시 본인이 원하는 분야가 과거에 MBA를 잘 뽑지 않는 곳이기 때문에 진학을 망설이셨다면, 최근의 변화 트렌드를 잘 체크해 볼 일입니다. MBA가 열어주는 새로운 가능성에 올라타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