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Detail의 중요성

요즘 난 세세한 detail들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한다. 비슷한 여러 서비스들을 동시에 사용하다 보면 결국 그 중 나한테 가장 유용한 한개의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후에는 그 제품만 사용하게 된다. 사진 앱, 테크 블로그, 브라우저, 음악 서비스, 자산 관리 서비스, 뉴스 앱 등…같은 카테고리에 여러개의 다른 제품들이 존재하지만 우린 보통 그 중 하나만 사용한다. 겉으로 보면 다 비슷한거 같은데 왜 어떤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고 어떤 건 매일 사용하게 될까?

해답은 detail에 있는거 같다. 그것도 눈으로 봤을때는 잘 모르지만, 깊게 사용하다 보면 느낄 수 있는 그런 세심한 detail 말이다. 이 detail이 어떤 서비스들에게는 아이콘의 크기, UI의 색감 또는 영문화 작업의 수준(외국 서비스라면)과 같이 외형적일 수도 있고, 어떤 서비스들에게는 업로드 속도와 같이 내형적일 수 있을 것이다. Detail을 염두하면서 내가 애용하는 서비스들을 자세히 관찰해 봤다. 이 서비스들은 내가 즐겨 사용하지 않는 서비들보다 로그인 절차를 간단하게 했고, 여러번 클릭해야할걸 2번 클릭으로 줄였고, 화면을 스크롤하지 않고 한번에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는 등 여러가지 detail에 신경을 썼다. 궁극적으로 이런 서비스들이 사용자들을 매료하는 ‘좋은’ 서비스들인거 같다.

하지만, launch 하자마자 모든 detail들을 감안한 서비스가 탄생하지는 않는다. 아이러니컬 하게도 초기 제품을 launch 할때는 모든 detail에 신경 쓸 시간과 여유가 없다. 일단 기본적인 기능과 detail만 갖춘 서비스를 출시한다. 그 이후에 본격적인 제품 개발이 진행되며, 지속적인 실험과 수정을 통해서만 고객의 목소리를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써서 적용한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많은 시간, 노력, 실험정신, 그리고 가끔은 돈이 필요한 과정이다. 우리 주위에 95점 짜리 서비스는 많다. 그리고 이런 서비스들은 어느정도 실력만 있으면 누구나 다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고객을 유치하고 돈을 버는건 99점 짜리 서비스이고, 95점을 99점으로 만드는 건 바로 이 detail에 대한 세세한 신경과 관심이다.

배달 문화

얼마전에 TechCrunch에서 Prim 이라는 서비스에 대해서 읽은 적이 있다. 한국에서 혼자 살아본 경험이 있는 분은 분명히 이 서비스를 보고 “이게 뭐 대단한가?”라는 생각을 할 것이다. Y Combinator 출신 스타트업인데 간단하게 말하면 세탁 배달 서비스다. 인터넷을 통해서 빨래 픽업 시간을 예약하면, Prim 직원이 와서 빨래를 픽업하고 깨끗하게 세탁 한 후에 이틀만에 다시 배달해 주는 서비스이다. 솔직히 세탁 배달은 한국에 이미 20년 이상 존재했고 이젠 너무나 당연해진 서비스이다. 나도 논현동에서 혼자 살아본 적이 있는데, 시간도 없고 귀찮어서 그냥 일반 빨래, 드라이, 다림질 등 모두 다 동네 세탁소에 맡겼는데 생각해보면 그 세탁소가 정확히 어디 있는지도 모른다. 전화 한 통이면 세탁소 주인 아저씨가 와서 빨래를 가져가고, 몇일 후에 다시 전화하면 배달해 주셨기 때문이다.

물론, Prim이 조금 다른 점은 있다. 본인들이 세탁소를 직접 운영하는게 아니라 고객들과 세탁소 간의 중개서비스이고 (세탁은 일반 동전 세탁소 중 평판이 좋고 인증받은 곳에서 한다고 한다), 세탁물이 손상되는 경우를 대비 비싼 보험까지 들었다. 그리고 전화가 아닌 인터넷을 이용해서 픽업과 배달 예약을 한다. 하지만, 내가 직접 하려면 시간과 물리적 공간의 이동이 필요한 일을 돈을 조금 더 주고 남한테 시킨다는 개념 자체는 동일하다. 한국 갈 때마다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배달의 민족’ 앱으로 음식을 배달해 먹을 때마다 이런 서비스가 미국 메인스트림 마켓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자주 하는데 Prim을 보고 어쩌면 – 잘 실행하면 – 가능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요새 가끔 한다. 내가 혼자 살 때 또 자주 이용하던 서비스가 만화 배달 서비스였는데, 만화가게에서 한달에 한번 꼴로 배달해 주는 두꺼운 만화 카탈로그를 보고 전화로 만화 배달을 하는 서비스이다. 이런건 미국에서 가능할까?

이런 배달 문화가 한국은 엄청나게 잘 발달되어 있다. 땅덩어리가 작고 인구 밀집도가 높아서 그런거 같은데, 여기에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사용자들의 특정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물리적 공간 이동의 필요성이 없어진 후로 스마트폰 + 배달이라는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걸 느끼고 있다. 미국은 한국과 달리 땅덩어리가 너무 크고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 거기다가 tipping이라는 문화까지 존재해서 – 이런 배달 문화가 아직까지는 자리잡지 못했지만 그동안 많은 시도는 있었다. 내가 기억하는 가장 유명한 서비스로는 재미교포 Joseph Park과 Yong Kang이 1998년도 뉴욕에서 창업해서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 시작과 끝 모두 – Kozmo.com이 있다. 이들도 아마 한국의 배달 서비스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미국식으로 접근을 했는데 아쉽게도 3년 만에 3,0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고 문을 닫았다.

하지만 1998년과 지금은 많은것이 바뀌었다. 특히 mobility 면에서는 세상이 완전히 바뀌었다. 한국의 배달 서비스 중 어떤 것들이 미국에서도 통할지 요새 많이 생각하고 있는데 혹시 괜찮은 아이디어나 이미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가 있다면 알려주면 좋겠다. 우린 이 분야에 투자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한국 대기업들도 할 말 많다

hqdefault나를 잘 알고 내 블로그나 책을 읽으신 분들은 내가 대기업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는 걸 잘 알 것이다. 오늘은 대기업들의 편을 좀 들어보려고 한다. 솔직히 대기업 편드는 건 아니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몇 마디 한다는 게 맞을 듯. 오늘도 한 흥분하고 화난 창업가한테 한국의 대기업들이 벤처기업들을 죽인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지난 몇 년 동안 수백 번 들었던 익숙한 이야기이다. 벤처기업이 좋은 서비스를 시작하니까 대기업에서는 이를 인수할 생각은 하지 않고 자기들이 직접 똑같은 서비스를 시작해서 결국 유망한 벤처기업을 죽였다는 이야기다.

과연 그런 것일까? 미국 대기업들은 무조건 직접 하지 않고 스타트업을 인수하고, 한국 대기업들은 무조건 스타트업을 인수하지 않고 자기들이 다 하려고 하는 것일까? 겉으로만 보면 맞는 말이다. 숫자로 보면 한국에서는 작은 스타트업들이 대기업에 인수되면서 exit 하는 사례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미국, 특히 실리콘 밸리와는 너무나 대조된다. 그런데 여기서 많은 분이 잘못 생각하는 부분이 있는데 미국의 M&A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는 이유는 대기업들의 마인드가 좋아서라기보다는 아주 매력적이고 섹시한 스타트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한국이나 미국의 대기업들의 문화는 다르겠지만, 기본적인 생각이나 전략은 같다. 좋은 제품/서비스를 만들어서 고객을 만족하게 하면서 매출과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혁신이나 새로운 서비스는 작은 스타트업들이 시작한다. 그리고 이런 서비스들이 시장에서 반응이 좋으면 대기업들의 레이더망에 걸린다. 돈이 될 서비스라는 판단이 서면 대기업 인력들은 여러 가지 시장 조사와 내부 연구를 통해서 스타트업을 통째로 인수하는 게 더 좋을지 아니면 본인들이 직접 하는 게 더 좋을지 고민을 한다. 기술적 장벽도 별로 없고, 사용자들의 engagement도 아주 높지 않으면 주로 대기업에서는 무식하게 돈과 사람을 투입해서 서비스를 그대로 카피해 버린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 이런 경우가 한국보다는 미국이 훨씬 더 많다 – 그냥 그 스타트업을 통째로 사버린다. 대기업들이 스타트업을 인수하는 이유는 가지각색이지만 내가 생각하는 이유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기술적 장벽 – 대기업이 따라잡기 힘들거나 따라잡으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어려운 기술
2. 사용자 수 – 이미 tipping point를 넘었기 때문에 아무리 투자를 많이 해도 사용자 수를 따라잡을 수 없는 경우
3. 사용자 engagement –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들이 많은) 서비스를 너무 잘 만들어서 사용자들이 엄청난 애정을 가지고 사용하는 서비스일 경우
4. Team – 실리콘 밸리에서 유행하는 acq-hire(acquire + hire). 제품은 별 볼 일 없지만(좋은 경우도 많다) 팀원들, 특히 똑똑한 엔지니어들이 맘에 들 때

이는 한국이나 미국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한국에서 대기업들이 작은 스타트업들을 인수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위에서 나열한 4가지를 다 가진 스타트업들은 거의 없고(있으면 말해주세요), 이 중 하나라도 보유한 매력적인 회사들이 없기 때문이다. 대기업들이 자선단체도 아닌데 후진 스타트업들을 뭐하러 인수하는가? 본인들이 직접 하면 더 빠르고 잘할 자신이 있으면 직접 하는 거다. 근데 왜 이걸 욕하는지 잘 이해가 안 간다. 언론에서는 마치 대기업들이 작은 회사들을 죽이는 것처럼 기사를 쓰는데 이건 정말 아닌 거 같다. 물론, 대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돈과 영향력을 부당하게 사용해서 작은 회사들의 비즈니스를 방해하면 욕을 먹어도 싸지만 남의 서비스를 카피해서 더 빠르고, 좋고, 싸게 제공하는 건 욕을 먹어야 하는 게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소비자들한테는 좋은, 아주 칭찬받을만한 일이다. 공산주의 국가도 아니고 자유경쟁 시장에서 남이 하는 서비스를 베끼는 건 욕할 수 없다.

얼마 전에 Altos Ventures 한 킴 선배의 Snapchat 이야기를 읽었다. 내가 말하고 싶은 포인트를 정확히 잘 지적해 주셨다. 스냅챗이라는 LA 기반 스타트업의 소셜서비스가 10대들에게 불같이 퍼지는 걸 감지한 Facebook은 ‘Poke’라는 똑같은 자체 서비스를 만들어서 출시했지만, 결과는 참패였다. 그만큼 스냅챗의 팀은 시장과 사용자들에게 사랑받는 서비스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 대단한 페이스북마저 스냅챗을 따라잡지 못했다. 솔직히 큰 기업들이 자만하면서 스타트업을 그대로 카피했다가 재미를 별로 못 본 이런 사례들은 미국에 많다. 한국은 이와 약간 다른 거 같다. 대기업들이 스타트업을 카피하면 훨씬 더 성공적인 서비스를 만드는데 그걸 가지고 대기업이 스타트업을 죽인다고 욕하면 안 된다. 애초에 그 스타트업의 서비스가 별로였기 때문에 그런 결과가 발생한 거다. 시장에서 먹히지도 않는 허접한 제품을 만들어 놓고 대기업이 베껴서 더 잘하면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죽이고 있다는 그런 이야기 이제 좀 질린다. 그렇게 억울하면 대기업이 따라 해도 이길 자신이 있는 제대로 된 서비스를 만들어라. 그러면 큰 회사에서 인수할지도 모른다.

그래도 “우리 회사는 만약에 실리콘 밸리에서 창업했다면 분명히 야후나 구글에서 인수했을 텐데 한국에 있어서 exit을 못 하고 있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면……. 그럼 실리콘 밸리로 가서 야후나 구글에 팔아보라고 말해보고 싶다. 그럴 자신 없으면 불평하지 말고 그냥 좋은 제품 만드는 데 집중해라. 한국의 M&A 시장이 활성화되려면 대기업의 마인드도 어느정도 바뀌어야 하지만, 더 중요한건 좋은 서비스를 만드는 섹시한 스타트업들이 많이 생겨야 한다. 이게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이미지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p6Ba2B7icSU>

Daniel Matthews – part 2: Kickstarter

전에 Dan Matthews라는 한국 입양인 친구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다.
시작은 소박했다. 우리 투자사 Mayrok Media에서 Dan Matthews의 한국 여정을 YouTube 오리지날 시리즈로 제작하기로 했고, 그가 2013 세계한인입양인대회(International Korean Adoptee Association (IKAA) Summit) 폐막식에서 공연하는걸 위주로 촬영을 하려고 했다. 하지만, 준비하는 과정에 많은 해프닝들이 있었고 이 프로젝트의 규모는 금전적으로나 감정적인 면에서 상당히 커졌다.

일단, Dan Matthews의 친부모와 연락이 되었다. 두 분 모두 살아 계시고 아직 같이 사시며 Dan에 대한 죄책감으로 그동안 마음의 고통을 많이 받고 계셨다. 아주 충격적인 사실은 Dan에게 몇 분 먼저 태어난 쌍둥이 형이 있고, 지금은 늠름한 여경이 된 여동생 또한 존재한다는 것이었다.

Dan의 미국 어머님과 할머니(양아버지는 암으로 얼마전에 사망)

 

오늘 Dan과 Mayrok Media 팀은 촬영을 위해서 한국으로 출국했다. 진심으로 이들에게 행운을 빌며 한국에서의 여정을 무사히 마치고 성공적인 YouTube 시리즈 제작을 기원한다. 하지만, 가장 개인적으로 바라는건 Dan이 친가족과의 상봉을 통해서 가족의 소중함과 따뜻함을 – 친가족과 양가족 모두 – 더욱 더 값지게 경험해서 더 따뜻하고 용감한 젊은이로 성장했으면 한다.

실은 Mayrok의 창업자 Eugene과 이 시리즈를 기획하면서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포트폴리오 회사를 도와주는 차원에서(회사의 성공을 위해서) 개인적으로 많은 배움과 깨달음을 준 프로젝트가 되었다. 한국인으로 태어나서 의식이 생기기도 전에 미국이라는 나라로 입양되어 미국인으로 자라면서 어느날 갑자기 본인이 다른 American 들과는 조금 다르게 생겼고 엄마, 아빠랑 피부색이 다르다는걸 깨달으면서 내 친부모님은 머나먼 Korea라는 나라에 있는데 그들은 나를 – 이유를 막론하고 – 버렸다는 사실을 알았을때 Dan의 기분은 어땠을까? 나라면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했을까…그토록 만나고 싶었지만, 마음 한구석에는 한과 증오가 되어버린, 나를 버린 친부모님과 어느날 갑자기 이메일을 통해서 알게된 쌍둥이 형과 여동생의 존재…

YouTube 시리즈지만 촬영비용이 작은 스타트업이 다 부담하기에는 만만치 않아서 그동안 많은 스폰서들과 이야기를 했고, 우여곡절도 많았지만 기본 비용은 고마운 분들이 지원을 해주셨다. 하지만 촬영이 끝난 후 후작업(post-production) 또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부분이라서 현재 Kickstarter를 통해서 $25,000.00을 모으고 있다. 가능하신 분들은 조금이라도 후원해주시면 좋겠다. 그리고 혹시 서울이나 다른 도시에서 Dan이 촬영하는 걸 목격하면 다가가서 따뜻한 격려의 말 한마디씩…

 

Dan Matthews 다큐멘터리 개요
한국 입양인 출신이자 YouTube의 인기 뮤지션 Dan Matthews는 한국의 친부모로부터 편지를 받습니다. 그는 편지를 통해 그의 친부모님이 살아계시며 한국에 쌍둥이 형과 현재 경찰인 여동생이 있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접합니다. Mayrok Media는 Dan Matthews가 한국의 가족을 찾고, 한국인의 뿌리를 발견하는 과정을 다큐멘터리화 합니다. 또한, 7월 서울에서 열리는 2013 세계한인입양인대회(International Korean Adoptee Association (IKAA) Summit)에서 처음으로 모국에서 수백 명의 입양인들 앞에서 공연하는 과정을 카메라에 담을 예정입니다.
Dan Matthews의 다큐멘터리 촬영은 노련한 영상감독 Jason Hwang이 담당합니다. 본 다큐멘터리는 한국 입양인이 친부모를 찾아가는 과정과 여행을 YouTube 세대에게 맞추어서 현대적인 감각으로 촬영하고 재해석할 계획입니다. 

David Karp의 멋진 부모님

David Karp는 얼마 전에 야후! 가 11억 달러에 인수한 Tumblr의 창업자이다. 오늘 아침 신문에 David Karp의 부모님에 대한 내용을 읽었다. 이런 부모가 있기에 David 같은 젊고 용감한 기업가가 있다는 생각을 했고 가정교육과 부모님의 가르침이 우리의 성장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던 토요일 오전이었다.

David은 뉴욕의 신흥부촌인 Upper West Side에서 자랐고 미국 과학 영재의 산실로 불리는 Bronx 과학 고등학교(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만 8명이나 배출한 미국 동부의 대표적인 공립과학고등학교)에 입학했다. 하지만 고등학교 1학년 때 그의 부모님은 그의 관심과 열정이 학업보다는 다른 곳에 있다는걸 – 컴퓨터 프로그래밍 – 발견하고 David의 나이 15살 때 잠시 학교를 휴학하고 컴퓨터 쪽 일을 해보라고 권유했다. David은 그해 여름 미디어 사업가로 유명한 Fred Seibert 의 회사에서 엔지니어로 인턴일을 시작했다. 아들을 너무 사랑하고 그의 관심사에 항상 관심이 많았던 부모님은 David이 프로그래밍하는걸 너무나 즐기는 걸 금방 알아차렸고 어느 날 그에게 물어봤다. “아들. 고등학교 선생님 중 너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만족하게 하는 선생님이 올해 있니?” David이 “아니요”라고 대답하자 그의 부모는 한국 부모라면 상상도 못 할 – 그리고 내 주위에 이런 한국 부모는 정말 단 한 분도 없다. 우리 부모님을 비롯해서 – 일을 했다. 학교로 복학하지 말고 David이 좋아하는 프로그래밍을 계속하라는 말을 했다. 참고로 David의 어머니는 초/중학교 과학 선생님이다.

미국과 한국을 통틀어 내 주위에 David Karp의 부모님 같은 사람이 있을까 생각해봤다. 미국은 아주 극소수이고 한국 부모는 정말 단 한 분도 없다. 우리나라 부모 중 자기 자식들의 진실한 관심과 재능을 제대로 파악하는 부모가 과연 있을까? 무조건 좋은 학교 가서 좋은 회사 또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 되길 바라면서 그게 자식들을 위한 올바른 길이라고 아직도 믿고 계신다. 또한, David Karp와 같이 프로그래밍에 소질이 있다는 걸 알아차려도 과연 어떤 부모들이 그걸 권장하고 계속 지원해 주려고 할까? 그런 건 취미로 하고 일단은 대학교에 가라고 할 것이다.

고등학교 중퇴 11년 뒤인 오늘, 고등학교 졸업장도 없는 David Karp은 2,800억 원의 재산을 보유한 26살의 ‘어린’ 창업가로 성장했다. 그리고 그는 아직도 가끔 부모님과 영화를 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