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경험과 지식이 얼만큼 중요한가?

몇 일 전에 peHUB의 “Tech start-ups show little imagination on board gender diversity”  라는 기사에서 다음과 같은 라인이 있었다.

“At Pinterest, the four-year-old online bulletin board service that is valued near $3.8 billion, some 70 percent of the users are female. But the company’s board of directors is 100 percent male. (38억 달러 기업가치의 4년 된 서비스인 핀터레스트의 사용자 중 70%가 여성이다. 하지만, 이 회사의 이사회는 100% 남성이다.)”

이 기사가 전달하는 내용은 실리콘 밸리에서 남녀평등을 계속 외치지만 막상 보면 대부분 스타트업의 이사회는 남성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아직 IT 분야는 남성들이 지배한다는 거다. 기사의 본질과는 완전히 다르지만, 위 내용을 보고 나는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해봤다.

특정 서비스의 사용자들이 대부분 여성이면, 그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들이 여성이어야 하는가? 습관적으로 생각하면 그럴거 같다. 남성과 여성들은 생리적으로 다르고 생각하는 방식과 사물을 바라보는 각도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여성 위주의 서비스를 만드려면 반드시 그 팀에는 여성이 있어야 한다는 게 말이 되는 거 같다. 마찬가지로 엄마들을 위한 서비스를 만드려면 엄마(아줌마)들을 잘 이해하는 사람들이 그 서비스를 만드는게 성공 확률이 더 높고 게이나 레즈비언들을 위한 서비스를 만드려면 그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이 게이나 레즈비언이면 타겟 시장과 고객을 더 잘 이해하기 때문에 좋은 서비스를 만들 확률이 더 높다. 이게 아마도 전통적으로 생각해보면 맞는거 같다.

하지만 내가 경험해보니 항상 맞는건 아니다. 오히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핀터레스트의 경우 공동 창업가 Evan Sharp와 Ben Silbermann은 둘 다 남자다. 물론, 처음부터 여성들을 타겟으로 핀터레스트를 만들진 않았을 것이지만 둘 다 남자였기 때문에 여성들도 잘 모르는 뭔가를 캣치했고, 이게 어필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우리 투자사 중 엄마들을 위한 쇼핑앱을 만드는 팀이 있다. 두 명의 남성 공동 창업자 중 한 명은 결혼해서 애기들이 있지만 다른 한 명은 결혼도 안 했다. 애기가 있는 분은 아빠의 관점에서 서비스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공하지만, 결혼하지 않은 총각 공동 창업자도 상당히 insightful하고 재미있는 관점을 제품에 불어넣는다. 엄마들의 쇼핑 습관을 전혀 모르지만, 항상 다른 관점에서 이 시장을 볼 수 있는 눈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거 같다. 나도 결혼은 했지만 애는 없는데 이 앱에 대한 이런저런 의견이나 피드백을 가끔씩 준다. 엄마들이 봤을때는 항상 맞는 의견은 아니지만, 그래도 유용한 피드백일 경우가 있다.(그렇다고 애들이 있는 아빠와 엄마의 피드백이 중요하지 않다는 건 아니다)
내가 아는 다른 스타트업은 애견관련 비즈니스를 한다. 그런데 창업팀 중 반려동물을 키워본 경험이 있는 멤버가 한 명도 없었고 처음에는 “개나 고양이를 키워보지도 않은 사람들이 이 비즈니스를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했지만, 오히려 훨씬 더 사업을 잘 하고 있다. 아마도 애견을 키우는 사람들은 이 분야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완전히 새로운 시각과 의견을 가져오기 때문인 거 같다.

그래서 나는 이제 특정 분야의 사업을 하겠다는 사람들한테 그 분야의 과거 경험을 굳이 찾으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런 사람들이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변화를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비트코인 열풍

얼마 전 비트코인 관련 짧게 포스팅을 할 당시에도 한국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열풍이 대단했었는데 그때랑 지금 사이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 열풍 그리고 가격은 정말 엄청나게 증폭이 되었다. 이 글을 쓰는 오늘 하루만해도 (2013.12.6.) 비트 코인 가격은 $1,150 -> $800 -> $900 (미국 서부 시간 오후 3시경) 이렇게 요동을 치고 있다. 역시나 금융에 대해서 좀 알고 세계 시장에 대해 조금 안다고 하는 전문가들과 지식인들은 비트코인의 위험, 버블, 음모 등에 대한 글과 인터뷰를 엄청나게 많이 생산하고 있다.

나는 전문가는 아니지만 꾸준히 비트코인을 follow 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나의 생각은? 솔직히 “I have no fucking clue”가 답변이다. 아직 너무 이르고 솔직히 내 주위에 비트코인에 대해서 정확히 아는 사람들은 없다. 그냥 다들 여기저기서 귀동냥으로 듣고 책으로 공부한 내용들을 떠벌리고 다니는데 솔직히 이 사람들 중 실제로 비트코인을 구매하고, 판매하고, 사용해 본 사람들이 몇이나 있을까? (나도 아직 비트코인으로 뭘 구매해 보지는 않았다)

하지만 한 가지는 확실하다. 아직 전세계의 95%는 비트코인을 투기상품으로만 보지 실제 화폐로 보고 있지 않다. 주식이나 금 같이 모두 싸게 사서 비싸게 팔려고 하는 생각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을거 같다는 생각도 든다. 만약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진심으로 비트코인이 새로운 화폐가 되길 바란다면 – 더이상 정부와 은행을 믿지 못하는 이 험한 세상을 살아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렇게 되길 바랄 것이라고 생각한다 – 비트코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사용하길 바란다. 1,000원짜리 지폐가 1,000원의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이유는 그걸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건 1,000원이야”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비트코인이 화폐가 되려면 대중이 비트코인을 ‘돈’으로 인정해야 하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나도 비트코인이 조금 있다. 그리고 $200 대에 샀기 때문에 투기 상품으로 생각하면 돈을 벌었다. 하지만 나는 투기를 위한 비트코인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오로지 mainstream 도입에 훨씬 더 관심이 많다. 세상이 변하고 있는데 제3자 금융기관을 끼고 하는 돈 거래의 형태는 바뀌지 않았고 이젠 바뀔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내가 내 친구한테 돈을 보내는데 왜 은행이나 다른 기관에 수수료를 내야하는가?

한국비트코인거래소의 김진화 이사의 인터뷰 “전세계 부는 가상화폐 열풍..’비트코인’의 모든 것”를 보면 내가 여기서 말한 내용을 훨씬 더 전문적이고 프로페셔널하게 설명한다.

*공지사항: 우리는 한국비트코인거래소의 주주이다

6.2조원

[Update 2014.11.16. : 2013년 11월 12일 이 글을 처음 포스팅 했을때 “몇 년 후에는 일매출이 10조원을 넘길 수 있다는 의미이다” 라고 썼는데, 알리바바는 딱 1년 만에 일매출 10조원을 돌파했다]

오늘 아침에 신문을 보다가 아주 오래동안 화장실에 앉아 있었다. 변비가 있었던게 아니라 아직도 내 머리속에 박혀있는 아찔한 숫자 때문이다.

6.2조원(57.8억 달러) –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회사 알리바바의 인터넷 쇼핑 사이트의 11월 11일 하루 매출이다. 참고로 11월 11일은 한국에서는 ‘빼빼로 데이’, 미국에서는 ‘Veterans Day(재향군인의 날’ 인데 중국에서는 알리바바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대량 할인 판매를 하는 ‘11.11. 쇼핑 페스티발 데이’로 유명하다. 참으로 엄청나고, 기가막히고 솔직히 상상이 잘 되지 않는 금액이다.

몇가지 재미있는 비교:
-알리바바의 작년 11월 11일 매출은 3.3조원이었다. 올해 거의 2배를 한 셈이다
-미국의 최대 쇼핑 데이는 Thanksgiving Day 다음날인 ‘Black Friday’와 그 다음 주 월요일인 ‘Cyber Monday’인데 미국인들은 작년 이 기간 동안 온라인 쇼핑에 2.7조원을 소비했다
-한국 쿠팡의 년매출은 1조원이 약간 넘는걸로 알고 있다
-할인 판매를 시작하자마자 6분 동안의 매출은 1,800억원 이었다. 참고로, 한국 쿠팡의 월매출은 1,000억원이 약간 넘는다
-11월 11일 24시간 동안 이루어진 총 주문 수량은 무려 1억 7,100만 건이다

중국 시장이 크고 알리바바가 대단한 건 익히 알고 있었지만 하루 매출 6.2조원이라는 수치는 정말로 내 작은 머리로 상상조차 하기가 힘들다. 중국의 인터넷 보급율이 50% 미만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몇 년 후에는 일매출이 10조원을 넘길 수 있다는 의미이다. 곧 상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알리바바와 창업자 Jack Ma 한테는 아주 좋은 결과이다.

중국이라는 나라가 갑자기 무서워졌다.

<글 출처 = “Alibaba 11.11 Shopping Festival Breaks Record” -Wall Street Journal>
<이미지 출처 = http://az598155.vo.msecnd.net/wp-uploads/2014/02/jack-ma-alibaba.jpg>

2013 STRONG Survey – 한국의 창업가들은 누구인가?

2011년 11월에 baenefit.com, 비석세스 그리고 벤처스퀘어 독자들을 대상으로 간단한 서베이를 진행한 적이 있다. “한국의 창업가들은 어떤 사람들인가?”가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한 시간 만에 서베이를 만들었는데 그 결과에 대한 반응은 꽤 좋았다. 2011년도 서베이 결과는 여기서 볼 수 있다.

올해도 거의 비슷한 질문을 바탕으로 간단하게 서베이를 진행했는데 결과는 역시 은근히 흥미로운 거 같아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봤다. 참고로, 전체 결과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는 홍보가 제대로 안되어서 참여 인원은 2011년도의 76명의 거의 절반인 36명이다

1) 남성. 여전히 한국의 창업가들은 남성이 압도적이다(남자가 89%). 2011년도는 95%가 남성이었다.

2) To pivot or not to pivot. 응답자 중 67%인 24명이 창업 초기 아이템으로 현재 계속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즉, 오리지날 아이디어에서 피벗한 창업가들은 33%이다. 2011년에는 정확하게 절반인 37명이 피벗을 했다

3) Global. 83.3%가 글로벌 비즈니스를 하고 있으며, 47.2%는 국내 비즈니스 및 글로벌 비즈니스를 같이 하고 있다. 이는 2011년의 55%와 비슷하다.

4) Exit. 응답자 중 거의 절반이 인수/합병을 통한 exit을 선호한다고 했다. 물론, 이 중 95%는 exit은 커녕 쫄딱 망할 것이다 

5) 창업가들.
-19명(52.8%)이 부모님 중 한 분이 사업이나 창업을 했다고 한다. 사업도 유전인가?
-절반이 오전 7시 ~ 9시 사이에 일어난다. 나는 개인적으로 아침형 인간들이 많을 줄 알았는데 의외였다(늦게 자서 그런가?)
-취침시간은 평균 5시간 ~ 7시간으로 미국과 비슷한거 같다
-아침식사는 1/3은 반드시 먹고, 1/3은 가끔 먹고, 1/3은 먹지 않는다. 아침을 꼭 먹어야지 두뇌회전이 빠르다는 말은 거짓일 수도 있을거 같다
-술은 대부분 먹을 줄 알았는데 36명 중 15명은 술을 먹지 않는다
-절반 이상인 58.3%가 미혼이다
-63.9%가 외국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다. 이는 2011년 결과와 많이 다른데 당시 창업가 중 71%가 토종 한국 출신이었다
-8.3%는 창업한 걸 후회하고 있다
-91.7%가 처음부터 창업 결심을 했지, 취직을 못해서 창업의 길을 선택한게 아니다
-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는: 페이스북 > 카카오톡 > 트위터 > 링크드인
-잠자기 전에 가장 많이 확인하는 건 페이스북이다(31.6%)

6) Communication. 이 부분이 약간 의외였는데, 36명 중 21명이 하루에 이메일 보내고 받는데 사용하는 시간이 1시간 이하였다. 하루에 5시간 이상을 이메일 보내고 받는 창업가는 단 1명 밖에 없었다(내가 설문에 참여했으면 2명이 되었을거다). 대신, 72.2%가 하루의 5~25%를 직원들과 대화하는데 사용한다고 한다. 이것도 의외였다

7) Bootstrapped startups. 이들 중 39.4%는 첫 창업 시 본인들이 직접 자금을 조달했다. 이는 2011년도 수치와 거의 비슷하다.

8) 학력. 58.3%가 학사 학위. 22.2%가 석사 학위. 13.9%가 대학을 나오지 않은 창업가들이다. 이 중 대학교 중퇴는 2명이었다

9) 정신건강.
-불면증에 시달리는 창업가들은 19.4% 밖에 안 된다
-하지만 절반 이상이 회사 이메일을 계속 확인하지 않으면 불안하다
-대부분(66.7%) 공황장애 증상이 없지만, 27.8%는 약간있고 2명은 심각한 공황장애에 시달리고 있다

10) 슈퍼히어로. 한국에서 아이언맨이 대박났다는 소식은 들었는데 역시 창업가들의 44.4%가 슈퍼히어로가 될 수 있다면 ‘아이언맨’이 되고 싶다고 했다

11) 안철수. 안철수씨가 정치를 하든 비즈니스를 하든 창업가들의 44.4%는 관심이 없다

그리고 이들은 후배 창업가들에게 다음과 같은 친절하고 마음에 와 닿는 조언을 주셨다:
-강한 의지야 말로 가장 필요한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하다가 되면 좋고 안되면 말고가 아니라, 반드시 해 낸다는 의지를 가지고 일합시다
-일단 시작하면 뭐라도 됩니다
-God bless you
-열심히해라.시간없다
-성공하는 참고할만한 이야기와 사람들은 주변에 널려있어요. 매일 매일 자신을 반성해 자기를 이겨나가는 것이 성공의 열매는 따먹는 첫 걸음이 아닐까 합니다
-실패한것에서 배워라
-육체적 정신적 고난이 끊임 없이 반복되고 대부분은 실패하는 게 창업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바꾸는 가장 빠른 방법이 창업이 아닌가 싶네요
-일단 저지르자

전체 결과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설문에 참여한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달합니다.

비트코인 경제

우리는 최근에 Korbit(한국비트코인거래소)에 투자를 했다. 거의 항상 그렇듯이 기관투자자로서는 첫번째 투자자로 참여했다. 비트코인에 대해서는 워낙 말들이 많아서 들어는 봤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Korbit에 투자하기 전에는 비트코인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 물론, 지금도 잘은 모르지만 Korbit의 유영석 대표, 김진화 이사로 부터 많이 배우고 있으며 얼마 전부터 비트코인을 조금씩 개인적으로 구매하기 시작하면서 요새 공부를 많이 하고 있다. 알면 알수록 매력적이고 신비로운게 비트코인인데 돈만 있으면 꾸준히 구매를 하고 싶다.

비트코인에 대해서는 비석세스에 김진화 이사가 연재하고 있는 기사들을 읽어보면 대략적으로 감을 잡을 수 있다(또는 김진화 이사가 얼마전에 쓴 책 “넥스트 머니 비트코인“을 참고하면 된다). 일종의 전자 비밀화폐인 비트코인은 현재 1,100만개가 발행되었고 앞으로 2,100만개까지만 발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수량은 제한되어 있다. 비트코인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금과 비슷하게 ‘채굴(mining)’ 되어야 하는데 물리적으로 땅을 파서 채굴하는게 아니라 복잡한 수학 방정식을 계산하는 슈퍼컴퓨터들을 사용해서 채굴된다. 방정식에 대한 정답을 맞출 때마다 비트코인을 하나씩 채굴해서 사용할 수 있다.

두 사람이 돈 거래를 할때 제3의 금융기관이 항상 개입되어야 하는 현재의 거래와는 달리 비트코인 거래는 직거래이며, 투명하고, 간단하며 아주 안전하다(이 부분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는 분들이 많이 있지만, 기술적으로는 매우 안전하다). 아마도 비트코인 지지자들이 비트코인을 좋아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그 누구도 비트코인을 규제할 수 없으며 조종할 수 없다는 점일 것이다. 중앙 서버도 없고 오너도 없기 때문이다.

2013년 10월 31일 자로 전체 비트코인 경제의 규모는 약 23억 달러 정도이며 미국의 경우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허용하는 서비스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2,100만개의 비트코인이 모두 채굴되어 발행된다면 그 경제 규모는 더욱 더 커질거라고 생각되는데 과연 그때까지 비트코인이 살아 있을까?가 많은 사람들의 의문점이다. 분명히 존재는 할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그 누구도 비트코인을 규제하거나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주류사회 도입을 막을수는 있겠지만 완전히 멈출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려면 인터넷을 완전히 shut down 해야하는데 이건 불가능하다.

비트코인 관련 회사에 투자한 투자자 및 비트코인 구매자의 입장에서 나는 비트코인이 앞으로 현금과 같은 화폐로 사용되었으면 한다. 현재 충분히 그런 가능성이 보이지만, 그 반대 입장/의견도 만만치 않다. 미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의 정부에서 비트코인을 아주 유심히 바라보고 있으며 (좋은 시각보다는 나쁜 시각을 가지고) 비트코인의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정적인 면이 더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얼마전에 큰 이슈가 되었던 암시장 웹사이트 Silk Road가 FBI한테 압수되면서 비트코인의 어두운 면이 많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모든 새로운 제품과 방법에는 음과 양이 존재하며 실크로드는 비트코인의 음성적인 면의 아주 작고 단편적인 예라는 걸 나는 강조하고 싶다. 실크로드라는 암시장이 문제였지 비트코인 때문에 사람들이 마약과 무기를 온라인으로 거래했다는 건 대단한 논리의 비약이다. 그리고 이미 불법 마약, 도박, 무기거래, 매춘은 비트코인이 아니더라도 매일 일어나는 현상이며 현금, 신용카드, 금 및 다른 화폐가 사용되고 있다. 마약거래를 차단하기 위해서 ‘현금’이라는 화폐의 사용을 전면 차단할 수 있을까? 

그렇다고 비트코인 경제가 완벽하다는 말은 절대로 아니다. 비트코인은 이제 걸음마 단계에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화폐가 되려면 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할 것이다(그런데 모든 새로운 게 다 그렇지 않은가?) 어쩌면 정부의 적당한 개입과 규제도 필요할지도 모른다.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 나는 앞으로 계속 비트코인을 구매할 것이다. 미국에서는 Coinbase라는 서비스를 사용하면 되고 한국에서는 Korbit을 이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