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beLAUNCH 2014 @DDP

올해로 우리 투자사 beSuccess가 주최하는 beLAUNCH 컨퍼런스가 3살이 되었다. 행사 준비와 실행은 비석세스 정현욱 대표와 그의 team이 전적으로 추진하지만 John과 나도 계속 사이드에서 지원을 해주고 있다. 해마다 느끼는거지만 이 정도 규모의 컨퍼런스를 소수의 인력이 준비를 하고 실행 한다는 건 정말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번 행사를 성공적으로 유치하는걸 보면서 beSuccess 팀한테 많은 걸 배우고 느낀다.

올해도 상당히 기대가 되는 beLAUNCH 행사이다. 일단 규모면에서는 2,000명 이상의 참석자가 예상되며 스피커, 내용 그리고 스폰서들 모두 작년 대비 업그레이드 되었기 때문이다. 장소도 강남의 COEX를 탈피해서 세계적인 건축가 Zaha Hadid가 설계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인데 나는 아직 들어가 보지는 않았지만, 이미 가본 분들에 의하면 매우 멋진 공간인거 같다.

한국에서도 이제 스타트업 관련 많은 유/무료 행사들이 열리지만, beLAUNCH 2014에 오셔서 멋진 경험을 하고 가시길. Let the craziness and party begin!

-When: 2014년 5월 14일(수) ~ 15일(목)
-Where: 동대문디자인플라자
Startup Battle 지원하기
Startup Booth 참여하기
표 구매하기

과거 beLAUNCH summary
-소개 동영상: beLAUNCH http://youtu.be/LsHriNljnXo | beGLOBAL http://youtu.be/iKH_0U1WHR4
-참석자 수: 1,300+ (2012), 1,700+ (2013), 2,000+ 예상 (2014)
-스타트업 전시 부스 수: 50 (2012), 100 (2013), 200+ 예상 (2014)
-과거 연사들: Phil Libin (Evernote CEO), David Lee (SV Angel), 정몽준 (현대그룹 회장) Aydin Senkut (Felicis), Bill Draper, Tim Draper, Adam Draper (Boost), Sarah Lacy (Pando Media), Jeff Clavier (SoftTech VC), Ben Huh (Cheezburger), 이석우 (카카오 대표), 김범석 (쿠팡 대표) 등
-과거 스폰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다음, 미래창조부, KISA 등

마지막 10%

전에 ‘Detail의 중요성‘이라는 글에서 결국 고객이 제대로 사용하고 지갑을 열게 만드는 서비스의 핵심은 마지막 세세한 터치, 즉 ‘디테일’이라고 했다. 지난 주 KOTRA 행사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면서 30개 이상의 스타트업들을 만났고 이들의 서비스를 배우고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아주 기발한 회사는 없었지만, 꽤 괜찮다고 생각한 회사는 몇 개가 있었다. 그렇지만 나한테 이 회사들에 투자하겠냐고 물어본다면 심각하게 고민은 해 보겠지만, 아마도 하지 않을 거 같다.

‘마지막 10%’의 부재 때문이다. 겉으로 보면 괜찮은 서비스이고, 외국에서 잘 되고 있는 서비스를 거의 비슷하게 카피했거나 아니면 조금 다르게 한국 상황에 맞게 고친 서비스들인데 역시 조금만 깊게 사용을 해보면 디테일이 상당히 약하다.
‘비주얼 관심 유발 -> 손으로 클릭 -> 서비스 사용 시도’ 까지는 무난하게 가지만 그 이후에 일어나야하는, 그리고 가장 중요한 ‘서비스 깊게 사용 -> conversion(구매, 회원등록 등)’까지 갈 수 있는 서비스는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다시 한번 디테일의 중요성에 대해서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가 만난 대부분의 한국 회사들과 인력들은 머리도 좋고 손이 빠르다. 이들은 서비스의 완성도를 0% -> 90% 까지는 상당히 빨리 올릴 수 있다. 아주 좋은 능력이다. 미국의 팀들은 같은 90% 완성도를 만드는데 거의 1.5배 – 2배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고 자원도 더 많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91% 완성도부터는 이야기가 조금 달라진다. 시간도 훨씬 더 많이 들어가고, 지속적인 제품 반복 (product iteration)을 해야하는 높은 집중도와 작은거에 대한 세세한 관찰이 필요한데 이상하게도 이 완성도 91% 이상에 있어서는 한국의 팀들이 약점을 보인다. 디테일이 부족한 제품은 절대로 90% 이상의 완성도를 갖출수가 없는데 91% -> 100%의 성역에서는 미국의 팀들이 강한 실행력으로 한국 스타트업들을 압도하는 거 같다.

나는 얼마전에 알게된건데 iOS 7의 시계 아이콘 자체가 실제 시계인지 아는 사람은 생각보다 적을거 같다 (아이콘의 시계바늘이 실제 시간에 맞춰 움직인다). 클릭해서 시계를 실행시키면 몇시인지 알 수 있지만, 아마도 이 한번의 클릭을 없애면서 사용자의 불편함 제거 (뭐, 큰 불편함은 절대 아니다), 배터리 보존 (이것도 그닥 큰거는 아니다) 그리고 눈의 즐거움 증대를 (이건 크다) 하지 않았나 싶다. 바로 이런게 세세한 디테일을 배려한 제품 관리가 아닌가 싶다.

ios7 clock
왜 이 마지막 10%가 중요한가? 고객들이 특정 서비스에 쓰는 돈의 – 유료 서비스라면 – 90%를 바로 이 마지막 10%가 결정하기 때문이다. 어떤 서비스는 이 마지막 10%의 디테일 때문에 매출의 100%가 발생한다. 디테일에 신경을 쓴 서비스가 돈을 벌 수 있는 서비스이다. 90% 완성도를 갖춘 서비스는 껍데기는 화려할지도 모르고, 이에 유저들이 끌려서 서비스를 몇번 사용해 볼지도 모른다. 하지만, 화려한 외관을 보고 몰려든 고객들이 돈을 쓰게 만드려면 이 마지막 10%가 제일 중요하다. 100% 완성도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지만, 93% 완성도의 서비스만 만들어도 아주 훌륭한 서비스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나의 힘들었던 영주권 경험

미국에서 태어나지 않은 외국인이 미국에 체류하려면 누구나 다 한번쯤은 겪어야 하는 과정이 있다. 바로 비자와 이민국이다. 한국에서 좋은 학교 나오고, 미국에서 더 좋은 학교에서 유학한 후 졸업과 동시에 한국으로 귀국해서 취업하는 사람들의 95% 이상은 한국에서 일하고 싶어서 돌아간게 아니라 미국에서 일 할 ‘신분’이 되지 않아서 일 것이다 (최소한 내 주위 사람들은 그렇다). 외국인으로써 미국에서 일하려면 그에 적합한 비자나 영주권이 있어야 하는데 이게 아직도 그리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미국도 이제 외국인 비자를 바라보는 태도와 인식에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고, 최근 들어 실리콘 밸리를 위주로 미국 이민법 개정을 – 대표적인게 Startup Visa이다 – 제촉하는 목소리가 더 커지고 있지만, 의회에서 어떤 결정이 날 지는 아직 두고봐야 한다.

미국이 외국인들의 미국 내 취업에 대해서 이렇게 까칠하게 구는 건 자국민의 고용 보호 때문이라고 하는데 – 채용 캐파는 한정되어 있는데 외국인이 취업을 하면, 그만큼 미국인이 취업할 수 있는 자리가 줄어든다는 논리 – 이런 이민법은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다. 특히 실리콘 밸리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눈에 보이고 있다. 한국, 중국, 인도 등 다른 나라 출신의 머리좋고 능력있는 외국인들이 미국에서 창업을 하고 싶어도 비자 때문에 못하기 때문에 다시 자국으로 돌아가고 있다. 그러면서 오히려 미국 내 고용 창출의 기회를 현재의 미국 이민법이 자발적으로 없애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인구 중 이민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13%지만, 이들은 소기업의 20%를 소유하고 있고, 이민자들이 창업한 소기업들은 2010년도에 500만의 고용 창출을 했다. 스타트업과 창업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는 Kauffman 재단에 의하면 미국의 가장 잘나가는 스타트업의 절반이 외국인들에 의해서 창업되었다고 한다. 우리가 투자한 스타트업들도 보면 90% 이상이 창업팀에 최소 1명 이상의 외국인이 있다. 이 회사들은 미국에서 고용을 창출하고 미국 경기를 강화한다 (hopefully).

오바마 정부도 당연히 미국 경제를 위한 외국인들의 중요성을 절실히 깨닫고 있고, 이를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으로서 학생비자, 투자비자, 영주권의 과정을 모두 직접 체험한 내가 미국 정부에 정말 바라는 건 이민법을 직접 필드에서 실행하는 국토안보부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담당자들 교육을 제대로 시키라는 것이다. 여기 내 경험을 살짝 공유해본다.

수 년 마다 미국 밖으로 나가서 비자를 갱신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나는 2008년도에 영주권을 신청했다. 미국의 이름있는 학교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내가 몸담고 있는 tech 분야에 일하려면 나만의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10개월 안에 받을 수 있을 거라는게 이민 변호사의 말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2.5년이라는 길고 지루한 시간이 걸렸고 그동안 나는 이민국 사람들과 여러번 충돌하면서 그냥 포기하고 한국으로 돌아갈 생각까지 했었다. 문제 발생의 시작은 학교 졸업장 이었다. 스탠포드 대학의 정식 명칭은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이다 (Leland Stanford씨가 어린 나이에 죽은 아들 Junior를 기리기 위해서 새운 학교이다). 물론 이 이름을 쓰는 사람은 그 누구도 없고 모두 다 그냥 Stanford University라고 하지만, 졸업장에는 이 정식 명칭이 찍혀 나온다. 그런데 내 영주권을 처리하던 이민국 직원은 이걸 전혀 모르고 시스템에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를 입력하니까 “인가받지 않은 교육기관”이라고 나와서 나를 ‘교육면에서 영주권을 받을 자격 미달’로 분류를 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비자 시스템이라는게 참 웃겨서 이렇게 중간에 한 번 삐끗하면 수 만개가 넘는 서류 맨 뒤로 다시 가서, 이 서류를 담당자가 다시 검토하려면 한세월이 걸린다고 한다 (이건 객관적으로 입증된 사실은 아니고 들리는 소문이다). 분명 수 천명이 넘는 스탠포드 졸업 외국인들이 영주권 신청을 했을텐데 이 멍청한 이민국 직원은 일반 상식도 없었고, 그냥 인터넷 들어가서 검색하면 알 수 있는 내용을 그냥 지가 귀찮고 무식해서 넘어 간 것이다. 이 직원한테는 내가 그냥 자기보다 ‘신분’이 낮은 수만명의 영주권 신청자 중 한 명이었지만, 그러면서 두 사람의 (나랑 내 와이프) 인생에 아주 지대한 악영향을 끼친 것이다.

그 이후에도 여러 번 골때리는 일들이 있었다. 결국 다 지난 일이고 현재 나는 미국에서 활발하게 투자를 하고 있고, 우리가 투자한 돈으로 많은 회사들이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내 영주권 서류를 마무리 해준 세번째 이민국 직원도 첫번째와 두번째 직원만큼 멍청했다면 상황은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스타트업 바이블 2 무료 배포(3일만)

내 기대와 예상과는 달리 아쉽게도 아직 한국에서는 전자책 시장이 정착하지 못했다. 물론 한 순간에 tipping point에 다다르면 상황은 바뀌겠지만 전자책이 활성화 되려면 인프라, 결제정책, iTunes와 Kindle의 한국정착 그리고 독자들의 태도와 인식이 바뀌어야 하는데 이게 시간이 좀 걸릴 거 같다는 생각이 개인적으로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책으로만 출간한 – 나중에 시장의 흐름때문에 어쩔 수 없이 종이책도 냈지만 – <<스타트업 바이블2>> 전자책은 선전하고 있어서 개인적으로 기뻐하고 있다.

2014년은 한국에도 전자책이 제대로 정착하기를 기원하며 오늘부터 3일 동안만 (미국 서부 시간 기준으로 1월 5월까지) 스타트업 바이블2 킨들 버전을 무료로 배포한다. Enjoy! (그리고 공짜로 읽으신 분들은 아마존에서 review도 부탁~)

스타트업 바이블 2 킨들 버전 무료로 다운받기

DIY 시대

Being A CIO At Tesla Motors, A Startup That Builds Cars And Its Own IT” 기사에서 Tesla Motors의 CIO인 Jay Vijayan은 테슬라의 독특하고 빠르고 유연한 기업 프로세스를 소화할 수 있는 ERP 시스템(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을 찾을 수 없어서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참고로, 테슬라의 전기 자동차가 만들어지는 과정 자체가 전통적인 자동차 회사들과는 다르기도 하지만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서 차를 판매하는 자동차 회사들과는 달리 테슬라는 직접 고객들에게 차를 판매한다. 이런 테슬라만의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을  현존하는 Oracle이나 SAP ERP가 수용할 수 없어서 테슬라의 250명 이상의 IT 팀원들이 4개월 만에 자신만의 ERP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2000년 초 나는 한국에서 자이오넥스라는 벤처기업에서 3년 동안 영업을 했다. ERP와도 연관된 SCM(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솔루션을 개발해서 구축하는 몇 안되는 – 거의 유일한 – 국내 스타트업 이었다. 그때 우리가 강조했던 외산 소프트웨어와 다른 우리만의 강점은 바로 생산과 제조 프로세스가 독특한 한국의 제조업체에 super customize에 된 공급망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 이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 이 분야는 SAP가 꽉 잡고 있던 시장이었고 SAP 제품은 생산, 회계, 인사 등과 같은 기업의 여러 업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모듈화 했었다.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모듈을 각 회사의 프로세스에 맞추었기 때문에 제대로 된 customization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던게 사실이었고 우리는 정말로 처음부터 끝까지 super customization을 할 수 있었던 유연성과 장점이 있었다. 실제로 이런 전략때문에 – 그리고 외산 제품보다 싼 가격으로 – SAP와 입찰에서 이기고 프로젝트를 수주한 적도 있었다.

솔직히 내가 자이오넥스에서 일할때는 ERP와 같은 무거운 소프트웨어를 내부적으로 직접 구축한다는 건 힘들었다. 그리고 직접 해도 수 년이 걸리는 일이었다 – 물론 테슬라는 GM이나 Ford 정도의 규모의 회사가 아니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테슬라 모터스 기사를 읽으면서 10년 만에 세상이 또 바뀌었다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이제는 빠르게 변화하고 남들보다 한 발 앞서가는 회사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프로세스를 소화하기 위해서 내부 IT 시스템도 직접 만들고 더 놀라운 거는 짧은 기간안에 ERP와 같이 복잡한 시스템을 직접 만들 수 있는 세상이 왔다. 이게 다 소프트웨어의 눈부신 발전 때문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