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멍청한 전자정부

몇 달 전에 대한민국 정부민원포탈 ‘민원24‘에서 처리해야 할 일이 있어서 “세계에서 가장 앞선 대한민국 전자정부” 시스템을 사용해 볼 기회가 있었다. 한국 정부의 IT 수준을 대략 아는 일인으로써 솔직히 큰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결국 일 처리는 못하고 한 시간 동안 그냥 열만 받다 브라우저를 닫았다.

한 시간 내내 민원 사이트에서 내가 한 거라고는 끝없는 액티브 엑스 설치와 같은 정보 입력이었다(해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아주 길고 복잡한 양식을 채운 후 [확인]을 눌렀을 때 액티브 엑스가 안 깔려서 설치하면 다시 그 양식을 처음부터 채워 넣어야 한다). 한국 사이트에 어느 정도 적응이 된 나였지만, 태어나서 이렇게 많은 프로그램과 액티브 엑스를 깔아본 적이 있을까? 심지어 민원 사이트에는 ‘민원24 이용에 필요한 프로그램 목록‘을 제공하는데 여기에는 – 윈도우스 사용자라면 – 18개의 프로그램이 나열되어 있다.

사이트 하나 이용하는데 18개의 프로그램 설치라…. 짜증이 엄청났지만 이미 30분 이상을 여기에 낭비했고, 선택권이 없었기 때문에 계속 깔고, 반복하고, 다시 깔고, 생쇼를 했다. 모든 관문을 다 통과했고, 기재한 양식을 출력할 시점에 알아낸 놀라운 사실 – 출력하기 위해서 무슨 보안 모듈을 설치해야 하고 아무 프린터에서나 출력을 못 한다는. 이 시점에서 나는 브라우저를 닫았다. 그리고 한 5분 동안 쌍욕을 했다. 또한,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중앙행정부의 시스템이랑 서울시의 시스템과는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내가 온라인으로 처리하려던 케이스는 어차피 출력해서 직접 담당 부서로 가져가야 한다는 것이다.

비슷한 시점에 나는 미국의 정부 사이트 (FDA)에 몇 가지 제품을 등록했다. UI로 따지면 미국 정부 사이트는 한국 정부 사이트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소박하고 저렴하다. 이미지는 없고 거의 텍스트 기반이다. 하지만, 지저분한 액티브 엑스는 전혀 깔지 않아도 되고 인증서 기반의 로그인도 필요 없다. 물론 인증서가 좋냐 안 좋으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나는 인증서 폐기에 동의하는 일인이다. FDA 사이트는 굉장히 메마르고 이미지 하나 없었지만,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했고 나는 15분 만에 제품을 등록할 수 있었다. UI는 한국 정부 사이트보다 많이 뒤질지 모르지만, UX는 쓸만했다.

전자정부를 설계하고 정책을 만든 사람들한테 묻고 싶다. 무슨 생각으로 이런 시스템을 만들었는지. 그리고 도대체 만들어 놓고 사용은 해봤는지. 한 번이라도 사용을 해봤다면 이게 얼마나 불편하게 만들어진 시스템인지 깨닫고 뭔가 개선책을 만들 법도 한데, 오히려 더 복잡해지는 거 같다. 아니면 나만 이렇게 느끼는 건가?

Daniel Matthews – part 1

YouTube가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다. 정확히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믿을만한 소스에 의하면 YouTube는 이미 흑자전환을 했고 성장률도 해마다 가속화되고 있다. 아직 한국에서는 이렇다할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지만 미국의 10대 ~ 30대 초반의 젊은이들은 이제 더이상 TV를 안 본다. 음악이 듣고 싶어? YouTube로 듣는다. 영화 트레일러가 보고 싶어? YouTube로 본다. TechCrunch 컨퍼런스의 특정 세션을 보고 싶어? YouTube에서 검색한다. 이제 미국의 젊은이들은 대부분의 컨텐츠를 YouTube를 통해서 소비하고 있다. 실로 엄청난 플랫폼이자 서비스이다.

이런 트렌드를 일찍 포착하고 매일 실감하고 있는 우리는 Mayrok Media (매력 미디어)라는 회사에 얼마전에 투자를 했다. Mayrok은 다양한 컨텐츠를 – 특히 한국/아시아/미국계 아시아 컨텐츠 – YouTube를 통해서 배포하는 new media 스타트업이다. 또한, 남의 컨텐츠를 배포함과 동시에 자체 컨텐츠도 직접 제작하는 작은 프로덕션 하우스이기도 하다. Mayrok의 창업자인 Eugene Choi는 저렴한 비용으로 재미있는 컨텐츠를 제작한 경험이 풍부한 친구인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LA의 한인타운을 배경으로 한 리얼리티 쇼 K-Town이 있다.

올 여름 Mayrok Media에서 굉장히 재미있는 유튜브 웹시리즈를 기획하고 있다. 태어나자마자 입양되어 현재 미국에서 인기있는 뮤지션으로 활동하고 있는 Daniel Matthews (’85년생)가 그의 친모를 찾으러 한국을 방문하면서 겪는 모험을 10회 분량의 유튜브 시리즈로 만들어서 배포하는 프로젝트인데 돈없는 작은 스타트업이다보니 약 1.5억원이라는 제작비용이 필요하다. 혹시 개인적으로나 또는 기업/단체 차원에서 후원/광고에 관심이 있다면 직접 Eugene Choi(eugene@mayrok.com) 또는 나한테 연락해 주면 된다.

광고주들의 입장에서 보면 웹시리즈의 내용이나 타겟대상면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들이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그동안 이런 류의 컨텐츠는 대부분 최루성 멜로였지만, Daniel Matthews 프로젝트는 젊음/음악/YouTube/technology/소셜/감동이 공존하는 웹시리즈이다. 특히 Daniel Matthews라는 뮤지션으로써의 브랜드가 많이 부각되어서 기존의 내용들과는 확실히 차별화 될 수 있다.
-(실제 launch해봐야지 알겠지만) 최소 1,000만 조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 타겟은 12살 ~ 32살의 젊은층이다. 이 연령대는 교육 수준이 높고 소셜 미디어를 많이 활용하는 집단이기 때문에 미국의 젊은 층을 대상으로 기업의 브랜드나 제품을 제대로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Daniel Matthews는 YouTube 최고의 탑스타들과 친한 친구이며 이들이 모두 이번 웹시리즈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표명했다. 이런 network를 활용하면 조회수는 폭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10회 분량의 웹 시리즈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그리고 너무 억지스럽지 않게) 인터넷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젊은층한테 브랜드와 제품을 더 알리고 노출할 수 있는 매우 저렴한 기회이다.

Uber의 1조원 가치

Airbnb와 더불어 공유경제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택시 서비스 Uber가 지난 주에 1조원 이상의 밸류에이션에 투자유치를 한다는 소문이 돌면서 다시 한번 벤처의 거품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아직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았고 해결해야하는 문제점들이 많은 – 법적 문제들도 많다 – 스타트업에 어떻게 벌써 1조원 이상의 밸류에이션을 매길 수 있냐라는 익숙한 비난이 많이 쏟아졌다. 나 또한 그렇게 생각했던 회의론자 중 한 명 이었고.

그렇지만 이 높은 밸류에이션을 다르게 보는 사람들도 많았다. 어떤 이들은 Uber의 높은 밸류에이션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같은 수준의 웹서비스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비교해 봤을때 Uber는 아주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이 존재하며, 이미 매출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계속 서비스를 재사용하고 있는 활발한 사용자 층을 이미 확보했기 때문에 충분히 1조원 이상의 밸류에이션이 가능하다고 한다. 페이스북이 10억 달러에 인수한 Instagram을 기억하실 것이다. 현재 매출이 0원이며 광고 수익만이 유일한 매출원이 될 가능성이 높은 인스타그램의 밸류에이션이 1조원 이상이었다면 Uber의 가치는 놀랄만한게 전혀 아니라고 이들은 반박한다.

이런 의견들을 읽고 생각해보면 Uber의 가치는 가격을 매기기 애매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들보다 훨씬 더 명확하긴 하다. Uber는 이미 매출이 발생하고 흑자 전환을 했다고 한다. 재방문 고객을 계속 만족시키며 동시에 신규 고객을 계속 유치하고 있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은 운전자와 승객 모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win-win 서비스이다.

여러분의 생각을 듣고 싶다. 과연 Uber와 같은 서비스가 1조원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제조업의 부활

“신흥 시장 (Emerging Market)”이라는 용어의 창시자이자 경제학자/투자자인 Antoine van Agtmael이 작년에 중국을 방문했을때 지난 40년 동안 아시아를 연구하면서 한번도 들어보지 못했던 이야기를 들었다. 한명이 아닌 여러명의 중국 제조업체 사장들이 ‘미국의 제조 경쟁력’이 신경쓰인다고 했던 것이다.

미국의 제조 경쟁력이 살아나고 있다. 실제로 숫자와 분위기가 이러한 현상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10년 전만해도 10개 제조업체 중 9개 업체가 중국에 공장을 짓고 있었는데 이젠 5개 업체는 미국에 직접 공장을 짓고 제조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있다. 중국 노동의 가격 경쟁력은 이제 옛날 이야기다. 중국의 인건비는 해마다 15%씩 증가하고 있는 반면 미국의 인건비는 제자리 걸음이기 때문에 곧 중국과 미국의 인건비는 비슷해 질 것이다. 내가 여기저기를 다녀봐도 “Made in China” 딱지가 많이 줄어든거 같다. 대신, “Proudly made in the USA”가 더욱 더 많이 보인다.

물론 하루 아침에 벌어진 현상은 아니다. 갑자기 미국인들이 손재주가 좋아지거나 노동을 선호하게 된 건 더욱 아니다. 주 원인은 바로 기술을 이용한 제조경쟁력이다. 미국은 중국보다 인터넷과 휴대전화 인프라가 훨씬 발달되어 있고 이를 기반으로 3-D 프린팅과 로봇 자동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미국 제조업체들은 중국 노동자들 100명이 일주일 걸리는 일을 기술자 5명과 로봇 2대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제조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기술 또한 실리콘 밸리에서 나오고 있고 Kickstarter의 대표적인 프로젝트들이 이런 현상을 잘 반영한다. 특히 스탠포드와 MIT의 젊고 용감한 공학도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절묘하게 접목시키면서 가전제품, 로봇산업과 3-D 프린팅 분야에서 과거 그 어떤 대기업도 하지 못했던 빠른 속도로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제조업은 한물 갔다”라는 생각 자체가 이제는 한물간 생각일 정도로 제조업은 cool해지고 있다. 한때는 제조업의 강국이었던 우리나라도 갑자기 너무 소프트웨어만 외치지 말고 이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잘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지 뒤지지 않을 것이다.

<이미지 출처 = http://www.artworx.ro/t-shirt_designs-2011-2012.html>

개밥 같이 먹기

벤처의 MUST – 개밥 먹기‘에서 언급했듯이 나는 “개밥 직접 먹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모든 창업가나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본인이 만들고 있는 제품을 직접 사용 해봐야한다. 그것만이 고객한테 내 제품을 판매하고, 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개밥 먹기는 창업가/직원 뿐만이 아니라 투자자들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자신이 어떤 회사에 투자를 하고 있고 이 회사는 어떤 제품을 만들고 있는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건 당연하며 조금 더 나아가서 제품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야지만 현명한 투자를 할 수 있다.

우리가 투자한 회사 중 추천 기능 API를 제공하는 Recomio라는 스타트업이 있다. 내 블로그를 읽는 분들 중 이미 아시는 분들도 있지만 글 끝 부분에 ‘추천 글 목록’이라는 최근에 추가된 섹션이 있다. 바로 Recomio API를 사용해서 만든 추천 기능이다. Recomio에 투자할 때는 솔직히 제품이 없었기 때문에 창업자 김태호 대표를 보고 투자를 했지만, 추천 기능을 내가 직접 구현해 보니 실제로 매우 유용한 서비스임을 매일 경험하고 있다 (광고 매출은 3~5배 증가, pageview는 ~3배 증가).

우리의 또다른 투자사 한인텔에서도 현재 Recomio로 추천 기능을 구현했고 지금까지의 결과는 매우 긍정적이다. 한인텔 외에 우리가 투자한 다른 몇 스타트업들에서도 Recomio를 검토 중이다.

내가 개밥을 직접 먹어보니 맛있어서 Strong Family라는 다른 가족들한테도 먹이고 있는 좋은 eco-system이 만들어지고 있는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