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디지털 자산에 대한 생각 – 2021년 3월

3월도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는 꽤 재미있는 일들이 많이 발생했다. 일단 비트코인 가격이 초반에 너무 많이 상승해서, 다시 한번 가격 하향 조정이 있을 거라고 많은 분이 주장했지만, 큰 가격 조정은 없었고, 아직도 비트코인 가격은 5만 달러 중반을 유지하고 있다.

2월에 내가 더 많은 기관투자자, 그리고 기업이 안전한 자산의 개념으로 비트코인을 보유할 거라고 했는데, 아주 천천히 이런 일들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일단, 미국의 Coinbase가 곧 $70B ~ $100B에 IPO를 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한데, 실제로 이 기업가치에 IPO를 할 수 있을진 잘 모르겠지만, 디지털자산이 주 비즈니스인 코인베이스가 전통 기업들의 무대인 나스닥에 상장되고, 그리고 일반인들에게 코인베이스 주식거래 기회가 제공된다는 게 의미하는 건 상당히 크다고 생각한다. 지금도 디지털자산에 대해서는 금융인들의 의견이 극과 극으로 갈리고, 한국만 해도 불법과 사기의 의심스러운 눈빛으로 비트코인을 바라보는 입장이 더 대세인데, 이 시점에 이 시장의 대표회사 코인베이스의 IPO는 시사하는 점이 상당히 많다고 생각한다. 암호화폐와 비트코인이 사기고 불법이다 등의 싸움을 하고 있지만, 이미 메인스트림 시장으로 진입했고, 오히려 법을 만드는 사람들과 금융인들은 이미 자산의 한 종류로 디지털 자산을 인정했다는 점이 가장 큰 시사점인 것 같다.

또 한 가지 괄목할만한 점은, 제도권을 대표하는 투자은행 중 하나인 모건스탠리의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의 발빠른 행보이다. 계속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지만, 내가 알기로는 모건스탠리가 고객들에게 비트코인 관련 금융상품을 제공하려고 준비하고 있고, 소문일 수도 있지만, 한국의 빗썸 거래소를 직접 인수하는데도 관심이 있다고 한다. 실은, 몇 년 전만 해도 상상도 못 할 일이 요새 발생하고 있는걸 보면, 비트코인은 확실히 디지털 골드로 변모하고 있고, 10년이 걸릴지 20년이 걸릴지 모르겠지만, 이 과정을 개인들이 아닌 기관들이 뒷받쳐주기 시작했다는 게 재미있다.

dorseyfirsttweet

이미지 출처: @jack / Twitter

그리고, 같은 블록체인/크립토 분야이지만, 위에서 이야기한 제도권 금융과는 약간 다른 색깔의 NFT 시장에서도 매우 재미있고, 가끔은 이해하지 못할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역사상 첫 번째 트윗인, 2006년 3월 22일 자 잭 도시의 트윗 “just setting up my twttr“가 1,630.58 ETH(=약 31억 원)에 판매됐고, 이 외에 상상도 못 할 다른 디지털 자산들이 엄청난 가격에 판매되면서 블록체인 장부에 영원히 기록되고 있다.

세상은 이미 바뀌었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생각 – 2021년 2월

1613427451015

이미지 출처: space / 크라우드픽

비트코인 가격이 그동안 계속 요동을 쳤지만, 결과는 엄청나게 올랐다. 계속 up and down이 있지만 비트코인 6,000만 원, 그리고 시총 $1 trillion 시대가 왔고, 앞으로 이 시장이 어떻게 될지는 더욱더 불확실해진 것 같다. 개인적인 생각은, 결국 비트코인 가격은 장기적으로는 계속 상승할 거라고 본다. 일단 기관투자자들이 계속 비트코인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고,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점점 더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store of value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계속 기관투자자들의 매수가 일어날 것이고, 이들은 주로 자산을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총발행량이 한정된 비트코인을 장기 보유하면 유동성이 떨어지고 희소성이 올라가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가격은 계속 올라가지 않을까 싶다. 물론, 불장에 기름을 부은 일론 머스크 효과도 꽤 크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참고로, 기업의 시가총액 $1 trillion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마이크로소프트 44년, 애플 42년, 아마존 24년, 구글이 21년인데, 비트코인은 12년 걸렸다. 이걸 어떻게 해석하냐는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이런 시각에서 보면 엄청난 위엄이긴 하다.

기관투자자들, 마이크로스트라테지나 테슬라 같은 기업의 비트코인 투자가 과연 메인스트림이 될지에 대해서는 말들이 참 많다. 이러다가 말겠지라는 의견도 있지만 나는 이 추세는 멈추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 특히 기관 투자자의 생리를 잘 아는 사람으로서, 이들의 비트코인 매수는 하루 아침에 결정된 게 아니다. 아직도 위험한 자산으로 분류되는 비트코인에 기관이 투자하려면, 여러 가지 내부 승인을 거쳐야하며, 이들에게 돈을 주는 LP들의 승인도 필요한데, 이 과정이 3개월에서 6개월 정도는 걸린다. 즉, 작년 12월이나 올해 1월에 비트코인을 대량 매수한 기관투자자들은 작년 6월에 이미 이 결정을 내렸다고 보면된다. 같은 논리를 적용해보면, 비트코인 가격이 오르면서 점점 더 금과 같은 저장소 역할을 하자 연초에 투자 결정을 내린 기관들은 실제로는 올해 2,3 사분기에 투자를 집행할 것이고, 그러면 또 가격은 오를 확률이 높고, 이걸 보고 다른 기관들이 비트코인을 매수할 것이다. 올해는 이 패턴이 반복되지 않을까 싶다.

미국의 비트코인 옹호론자들은 궁극적으로는 연방준비은행과 같은 중앙은행이 비트코인을 보유하게 될 거라고 하는데, 이건 정말 나도 잘 모르겠다. 그런데 이렇게 주장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동의를 할 수밖에 없다. 점점 더 비트코인이 디지털 골드라고 인정하는 분위기가 대세인 것 같고, 이게 맞는다면, 금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중앙은행들이 당연히 디지털 골드인 비트코인을 대량 보유하게 될 것이라는 이론인데, 이게 현실화 돼서 한국은행도 비트코인을 보유하게 된다면 정말 재미있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싶다.

2008년도 사토시 나카모토의 비트코인 백서가 세상에 공개됐고, 그 이후에 그냥 덕후들의 놀이로 조롱받던 비트코인을 수많은 전 세계 개미들이 투자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2년 만에 드디어 기관투자자들이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많은 기업 또한 재무제표상 비트코인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 이런 진화과정과 시장의 FUD를 고려해보면, 정말로 중앙은행들도 비트코인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생각 – 2021년 1월

2018년 초 이후부턴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분야에 관심을 껐던 많은 분들이 새해부터 나한테 비트코인 가격과 전망에 관해서 물어보는걸 보면 이 시장에 다시 한번 불이 붙었다는 걸 느낄 수 있다. 4만 달러를 잠깐 넘었다가 지금은 또 떨어지긴 했지만, 비트코인 3만 달러 시대는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될진 나는 전혀 모르겠다.

그나마 다행인 건, 2017년도의 가격 폭등은 미디어와 투기가 만들었는데, 이번 불장에서는 이 둘의 영향이 많이 줄었다는 점이다. 그럼 도대체 가격이 왜 이렇게 많이 뛰었냐고 물어본다면, 많은 전문가가 팔려는 사람은 적은 데, 사려는 사람은 많은, 전형적인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때문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이 현상을 조금 더 깊게 본다면, 대량으로 구매하고, 오랫동안 팔지 않고 그냥 보관하고 있는, 그리고 이렇게 보관할 수 있는 기관투자자들의 등장도 한몫을 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투자에 대해 적용되는 FUD(Fear, Uncertainty, Doubt)의 영향이 이번에도 가장 크게 작용하는 거라고 나는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비트코인 가격이 이렇게 올라가는 현상이 좋은 건지 나쁜 건지는 나도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블록체인과 크립토 분야의 회사에 다시 한번 많은 관심이 집중되는 건 여러모로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우린 2013년 코빗 투자를 시작으로 그동안 한 번도 이 분야를 등한시한 적이 없고, 많진 않지만, 꾸준히 회사들을 검토하고 블록체인 관련 창업가들을 만났다. 지금까지 우리가 투자한 한국과 미국의 직접적인 블록체인/크립토 관련 스타트업과 간접적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서비스는 대략 10개 안팎이다. 암호화폐의 gateway 역할을 하는 거래소 고팍스, 비트코인 <-> 상품권 거래를 가능케 하는 디지털자산 거래소 비트로와 암호화폐로 이자수익을 벌 수 있는 디지털 자산 은행 샌드뱅크가 최근에 우리가 투자한 회사들이다. 이 밖에 송금이나 정품인증 등에 블록체인을 도입했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투자사도 있고, 하여튼 이 분야에서 계속 다양한 실험을 하는 재미있는 팀들이 많다.

이런 작은 실험과 노력이 계속 쌓이다 보면, 어느새 이 기술과 시장이 주류로 들어오는데, 이게 올해가 될진 잘 모르겠지만, 미국통화감독청의(OCC – Office of the Comptroller of the Currency) 스테이블코인 승인으로 시작한 2021년은 꽤 재미있는 한 해가 되지 않을까 싶다.

dapp Campus

우리는 2013년도에 국내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에 투자하면서, 한국에서는 남들보다 훨씬 빨리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시장에 눈을 떴다. 그동안 이 분야에는 정말 많은 up and down이 있었고, up 시장에는 스마트폰이 없는 할머니, 할아버지도 코인 구매에 관심을 보였고, down 시장에는 스스로 “Crypto Architect”라고 부르던 투자자들마저도 등을 돌리는 일들이 반복됐다. 나도 실은 이 시장에 대한 단기적인 믿음이 왔다 갔다 하긴 했지만, 장기적인 관심과 믿음은 한 번도 변함없이 계속 높았고, 꾸준히 이 시장을 보고, 계속 이 시장에서 뭔가 하려고 하는 팀을 꾸준히 만났다.

2018년은 크립토 시장의 맹신과 불신이 교체하면서, 불신이 더 커졌던 거 같고, 2019년 와서도 이 트렌드는 계속 지속되고 있는 거 같다. 나는 이 시점이 크립토/블록체인에 투자하기 가장 좋은 시기라고 생각한다. ICO로 단기적인 한탕을 바라는 사람들은 시장을 떠났고, 장기적으로 이 시장을 믿는 창업가들만 남았고, 회사의 밸류에이션도 이제 어느 정도 적당한 수준으로 수렴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우리는 블록체인 기반 자산으로 재미있는 시도를 하고 있는 겜퍼라는 회사에 투자했다.

투자하기 전에 한 8개월 정도 만나면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는데, 이 팀은 이보다 훨씬 전부터 크립토 분야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그동안 얻은 지식을 활용하여 이더리움/하이퍼레저 유튜브 채널 dapp Campus를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 무료이며, 누구나 다 구독할 수 있다. 내가 개발자는 아니라서, 자세히 이해하진 못하지만, 교과서에서 얻은 지식이 아니라 겜퍼팀에서 직접 현장에서 뛰면서 제품 만든 노하우를 담았기 때문에 상당히 실용적이라는 피드백을 많이 받고 있다. 흔히 말하는 “탈중앙” , “분산원장” , “위조불능” 등의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하는 게 아니라 직접 실습까지 보여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블록체인을 좋아하는 분들과 오픈소스 정신으로 이 커뮤니티를 함께 발전 시켜 나가면 좋지 않을까 싶다.

Security Token 가이드

작년과 비교하면 확연하게 줄었지만, 요새도 코인과 토큰 발행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팀이 있다. 시장이 워낙 죽었고, 앞으로 암호화폐가 어떻게 규제될지 모르기 때문에, 다들 펀드레이징에 대한 고민도 많고, 비즈니스 방향에 대한 고민도 많고, 하여튼 골치가 아주 아플 것이다. 그래도 이 시장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믿고, 토큰 이코노미를 만들려고 한다면, 만들려고 하는 토큰이 security 토큰이 되지 않게 설계해야 할 것이다. 토큰이 증권(security)으로 분류되는 순간부터 증권법의 적용을 받게 되는데, 이러면 법의 규제를 받는 거래소에서만 거래될 수 있고, 특정 대상에게만 판매해야 하고, 토큰과 프로젝트에 대한 많은 정보를 공개하고 공시해야 한다. 실은, 증권에 적용되는 증권거래법은 암호화폐와 같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는 말이 안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토큰을 설계할 때는 security token의 성격이 없게 해야 한다.

그럼 security 토큰의 성격은 어떤게 있을까? 여기서부터 상당히 모호해지고, 관련해서 다양한 논의가 현재 진행되는 거로 알고 있는데, 얼마 전에 Blockchain Association에서 이에 대한 꽤 명쾌한 글을 하나 올렸다. 일단 지금까지 공개된 내용에 의하면,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가 제시하는 프레임은, 어떤 토큰이나 그 네트워크가 비트코인 또는 이더리움보다 더 탈중앙화되어 있으면, 충분히 탈중앙화되어 있기 때문에 시큐리티 토큰으로 분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2018년 6월 14일, SEC의 기업금융국장 William Hinman에 의하면). 계속 법이 새로 만들어지고, 이에 따른 규제도 새로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 내용이 또 어떻게 바뀔지는 모르지만, 일단 현재로서는 내가 토큰을 설계하려고 하면, 스스로 물어볼 질문은, “이 토큰은 충분히 탈중앙화되어 있나?” 이다. 이 토큰의 네트워크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네트워크만큼 탈중앙화되어 있으면, 이 토큰은 ST로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증권법의 적용대상에서는 제외된다. 이 토큰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보다 덜 탈중앙화 되어 있으면(=더 중앙화), ST로 구분될 확률이 높다.

아직 한국은 이런 논의 자체도 없고, 규제를 만드는 분들이 중앙화/탈중앙화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을지도 미지수이지만, 아마도 미국을 따라가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되면, 한국에서도 새로운 토큰을 만들면, 정부에서는 이 토큰의 탈중앙화 정도를 판단할 것이고,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만큼 탈중앙화되어 있으면, ST로 분류하지 않을 것이고, 반대로, 중앙화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ST로 분류할 것이다.

여기서 미국 증권거래법이 생겨난 배경을 잠깐 설명하면 좋을 거 같다(미국증권거래법 설명은 위키피디아 참고). 증권을 발행하는 측과 증권에 투자해서 이익을 보려는 투자자 간의 정보의 비대칭을 해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게 증권거래법이다. 내가 주주인 나이키의 예를 들어보자. 나이키의 창업자인 필나이트 회장과 마크파커 대표이사는 나이키에 대한 정보를 나 같은 투자자보다 훨씬 더 많이 알고 있다. 우리가 전혀 모르는 내부 정보를 다 알기 때문에 이들이 원한다면, 이런 내부정보를 기반으로 부당하게 나이키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행동 하나하나가 나이키 회사의 미래와 실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들이 나쁜 마음을 먹으면, 본인의 이익을 위해서 주가를 조작할 수 있다. 즉, 나이키와 투자자 간의 네트워크는 나이키라는 회사와 그 회사의 내부자를 중심으로 중앙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나이키의 주식은 증권거래법의 적용을 받고, 나이키는 해마다 큰 비용을 지급하면서 회사의 많은 정보를 직접 또는 중개인을 통해서 공시해야 한다. 또한, 나이키 주식은 법의 규제를 받는 증권거래소에서만 사고팔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금의 예를 들어보자. 금의 가격과 정보는 상당히 탈중앙화되어 있다. 모든 사람이 금에 대한 시장 정보를 거의 비슷한 수준에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위의 나이키의 예와 같이 특정인이 금의 가격을 조작하는 게 쉽지 않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도 비슷하게 탈중앙화되어 있다 – 물론, pump and dump와 같은 위험은 존재한다.

즉, 새로 만드는 토큰 네트워크가 소수의 내부자한테 의존하고, 이들이 조종 가능하다면, 이 네트워크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보다 덜 탈중앙화(=더 중앙화)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그러면, 이 토큰은 security 토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고, 증권거래법의 적용을 받게 된다. 오픈소스 프로젝트라도 법으로 요구되는 많은 정보를 공시해야 하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특정 거래소에서만 거래되어야 할 것이다.

이 ‘탈중앙화 정도’에 대한 정량적 내용은 아직 없지만, Blockchain Association에서 Hinman 가이드에 대한 꽤 자세한 기능적 분석을 도표로 정리하긴 했다. 물론, 이 내용은 계속 논의되면서 수정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