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는 해야지? – Pinterest 쳐들어가기

요새 점점 예비창업가들과 창업가들을 만날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모두가 다 투자를 물색하고 있으며, 회사가 성장할 수 있는 돌파구를 찾기 위해서 열심히 도움을 요청한다 (물론, 그렇기 때문에 나랑 미팅을 하겠지만). 하지만 이들과 잠시 이야기를 해보면 항상 12%의 부족함을 느낀다. 모두가 다 열심히 하고 있다는건 절대적으로 동의하지만, 나를 비롯한 다른 분들에게 도움을 청하기 전에 과연 이들이 스스로 최선을 다 해봤는지 의심이 들기 때문이다.

오늘은 이런 분들을 위해서 내 27년지기 친구이자 Strong Ventures의 비즈니스 파트너 John Nahm (@john_nahm)의 최근 일화를 소개한다. 6월 13일, 14일 양일 비석세스의 주최로 서울에서 열리는 beLaunch 2012 행사에 우리가 어느정도 관여되어 행사 준비를 도와주고 있다.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다행히도 행사의 모습이 잘 잡혀가고 있는데 현재 가장 큰 고민은 첫날 기조연설자를 섭외하는 것이다. 이미 내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를 총 동원해서 한국의 창업가 커뮤니티에 많은 영감을 불어넣어 줄 수 있는 분 섭외를 시도했지만 대부분 많이 바쁜 관계로 쉽지가 않다. 그러다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한국에서도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Pinterest의 창업자 Ben Silbermann을 초청하면 좋을거 같다는 의견에 모두가 다 만장일치 합의를 보고 연락을 시도하기로 했다. 이 중대한 미션은 존한테 떨어졌다.

벤 실버만한테는 전화나 이메일과 같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힘들거라는걸 이미 경험적으로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존은 일단 무작정 첫 비행기를 타고 LA에서 실리콘 밸리로 날라갔다. 핀터레스트 사무실로 직접 쳐들어 가기로 결심한 것이다. 근데 핀터레스트 사무실이 어딨더라? 열심히 검색해보니 Facebook Places에 핀터레스트 사무실 주소가 나와있었다. 우리도 잘 알고 있는 스탠포드 대학교 근처의 California Avenue 상에 있었다. 생각보다 쉽게 찾았음을 존은 기뻐하면서 그 주소로 찾아갔지만 건물안은 텅 비어있었고, 빈 공간에는 책상이 하나 딸랑 있었다. 몇명의 개발자들이 일은 하고 있었는데 이들에게 물어보니 이 장소는 핀터레스트의 옛날 사무실이고 얼마전에 이사를 갔다는 것이다. 어디고 갔는지 정확히는 모르지만 스탠포드 바로 앞의 University Avenue 어딘가로 갔다는걸로 기억한다는 애매한 말과 함께.

자, 이제 어떻게 하지? University Ave.로 가는건 문제가 안되지만 그 많은 건물 중 핀터레스트를 어떻게 찾지? 왠만한 사람들이라면 여기서 포기했을 것이다 (아니, 왠만한 사람들이라면 LA에서 실리콘 밸리로 무작정 날라가지도 않았을 것이다). 존은 아이폰과 아이패드로 미친듯이 검색어를 집어넣고 핀터레스트 주소를 찾기 시작했다. 구글 맵스에도 안나오고 수백개의 검색 결과에도 핀터레스트의 새로운 주소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검색 결과 중 올해 3월 6일 Mashable에 실린 “Peek Into Pinterest’s Palo Alto Pad (핀터레스트의 팔로 알토 본부 엿보기)” 라는 기사를 발견했다. 그리고 그 기사 맨 밑의 첫 사진을 보면 핀터레스트 사무실 밖의 모습이 보이고, 오른쪽 옆 건물의 The Princeton Review라는 간판이 보인다.

존은 딸랑 이 사진 하나를 참고로 University Avenue를 뒤지면서 The Princeton Review 간판을 찾아 다녔다. 지성이면 감천이라고 결국 큰 길가가 아닌 옆의 작은 쪽길에 Princeton Review 간판이 보였고, 위의 사진과 대조해 보니 동일한 건물이었다. 그리고 그 옆 건물로 들어갔다 (참고로 이 건물에는 핀터레스트 관련 어떤 간판이나 표시물도 없었다). 일단 들어가자마자 눈이 처음으로 마주친 사람한테 – 그 사람은 아직도 처음보는 이 동양인이 어떻게 핀터레스트 본사를 찾았는지 의아해하고 있었다 – 자초지종을 설명하면서 “벤 실버만 어디있어? 어디갔어?”를 연발했지만 아쉽게도 그는 사무실에 없었다. 대신, 핀터레스트의 외부활동을 담당하는 PR 에이전시 담당자 소개받았고 그녀를 통해서 실버맨을 beLaunch 2012에 정식으로 초청했다.

이 스토리가 해피엔딩으로 끝났으면 더할나위없이 좋았겠지만, 유감스럽게도 실버만은 이번 행사에 스케줄 충돌로 인해서 참석할 수 없다는 의사를 전달해왔다.

BUT, 내가 말하려고 하는건 그게 아니다. 정말로 뭔가를 해보고 싶고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면 최소한 위의 존 정도는 해야하지 않을까? 그러고 나서는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해봤는데 잘 안됐다.”라면서 남에게 도움을 구해야 하지 않을까? 우리는 매사에 정말로 최선을 다하고 있을까 스스로를 한번씩 진단해볼 필요가 있을거 같다. 어쨌던간에 이 재미있지만 슬픈 결과의 사건으로 인해서 다시 한번 존의 실행력과 그 무모함에 놀랐고 존경을 표시한다.

나도 한국에서 영업하면서 고객사 사장이 결제를 안해줘서 식칼을 가지고 찾아간적이 있다. 그래서 돈을 다 받았고 그날밤 나는 비로써 “정말 최선을 다했다.”라고 스스로에게 떳떳하게 말하면서 편안하게 잠을 청했다.

독자 여려분들도 혹시 이런 경험이 있다면 밑에 댓글로 공유해 주면 좋겠다.

스타트업 바이블 2

올해 들어와서 아주 insightful하거나 생각을 많이 하고 쓴 글을 올리지 않았다. 아니, 좀 바빠서 그렇게 할 시간이 없었는데 이제 주말은 어느정도 한가해졌다. 1년 정도 자료를 취합하고 작년 말 부터 작업하기 시작한 ‘스타트업 바이블 2‘의 윤곽이 어느정도 나타나고 있다. 뭐, 그렇다고 해서 당장 다음 주에 출간된다는건 아니고, 아마도 3-4개월 후에는 독자분들에게 보여줄수 있을거 같다.

자세한 내용은 책을 읽으면 되지만, 진행사항에 대해서는 종종 블로그를 통해서 계속 업데이트를 할 계획이다. 스타트업 바이블 2에 대해 아주 조금만 공유하자면:

1. 전자책 only – 고민을 많이 했다. 아직 한국은 전자책 시장이 미국과 같이 활성화되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digital 유통을 하기로 했다.
-Lean Startup: 내가 작년부터 계속 주장하던게 싸고, 저렴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한 lean startup 모드로 인생을 살아가는 것이다. 출판업계에는 너무나 많은 거품과 지방이 작가와 독자 사이에 존재하는거 같다. 그래서 중간 단계를 다 제거하고 공장 (나)에서 고객 (독자)에게 direct로 가려고 한다. 물론, 독자들은 종이책보다는 더 저렴하게 좋은 컨텐츠를 접할 수 있고, 나도 종이책보다는 더 큰 인세 %를 누릴 수 있다.
-Experimentation: 나는 항상 ‘고민’ 보다는 ‘실험’을 중시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나 젊은 창업가들한테 항상 새로운 실험을 해보라고 하는데, 나도 이런 철학을 책 출간에 적용해보고 싶었다. 남들과 같이 종이책을 만들어서 서점에서 파는 방식을 탈피해보려고 한다. 아 물론 그러다가 영 아니다 싶으면 종이책으로 만들 수도 있다 ㅎㅎ.

2. 내용 – 스타트업 바이블 1권을 2010년 8월 출간하고 많은 사람들과 communication 할 기회가 있었는데, 아직도 창업과 스타트업 관련해서 오해를 하거나 잘못알고 있는 점들이 많은거 같다. 그 중에서 항상 공통적으로 부각되는 내용들을 위주로 책을 구성했다.

3. 웹사이트스타트업바이블 웹사이트를 만들고 있다 (지금은 그냥 sign up만 할 수 있다). 주위 분들을 가장 많이 refer하는 25명한테는 책이 출간되면 무료로 제공하려고 한다 (전자책).

더 자세한 내용은 밑의 동영상 참조…

별로 하고 싶지 않은 patent trolling

내가 2008년도에 “언젠가는 한번 해보고 싶은 patent trolling“이라는 글을 올린적이 있는데 이젠 이 제목을 “언젠가는 한번 해보고 싶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patent trolling”으로 바꿔야 할때가 온거 같다. Patent troll(특허 괴물)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만들지는 않지만 특허를 보유하면서 소송을 통해서 수익을 올리는 회사들이다. 아마도 내가 아는 가장 유명한 patent trolling 사건은 2006년도에 블랙베리 제조사 RIM이 모바일 이메일 특허 침해 때문에 NTP라는 patent troll에게 6.13억 달러를 지급한 사건이다. 물론, patent troll 본인들은 소송을 목적으로 특허를 취득하는게 아니라 오히려 자신들은 대기업들로부터 부당하게 특허를 빼앗기는 개인 발명가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존재한다고는 한다.

특허 때문에 아직도 지저분하게 싸우고있는 Apple과 삼성, 2011년 8월 구글의 125억 달러 Motorola Mobility 인수 그리고 바로 이번 주에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11억 달러 AOL 특허 구매 (현금!)…이 모든게 빌어먹을 특허 때문이다. 나도 한때는 patent trolling을 하면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생각에 꼭 해보고 싶었지만 (한국의 대학이나 개인 발명가들로부터 특허를 구매해서) 이렇게 지저분해 지고 있는 tech industry의 판을 보고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현재 특허법에 의하면 특허 소유자가 그 특허를 기반으로 만든 물리적인 제품이 없어도 특허 침해 소송을 걸 수 있게 되어있는데, 이거 자체가 바뀌어야 한다. 특허 침해 소송을 하려면 반드시 그 특허를 기반으로 자신이 직접 제품을 만들어서 상용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이디어’는 그 어떠한 가치도 없는 쓸모없는 쓰레기이다. 아이디어가 가치를 가지려면 반드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승화되어야 하는데 단지 아이디어를 처음 고안해낸 사람들한테 특허권을 부여하고 이들이 수년 동안 피땀흘려 열심히 제품을 만들어서 상용화한 사람들을 상대로 특허 소송하는건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물론, 특허법 전문가들은 생각이 다르겠지만. 

이런 비합리적인 특허법 때문에 patent troll들이 존재하는 것이고, 뭐 하나 만드는것도 없는 이런 회사들이 떼돈을 버는 것이다.

특허 소송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보험으로 구글이 125억 달러를 주고 Motorola Mobility를 인수하고 마이크로소프트가 AOL이 보유하고 있는 800개의 특허를 11억 달러 현금구매를 했다. 두 회사가 쓴 136억 달러를 신제품 연구 개발에 대신 투자했다면 우리는 더 발전된 좋은 세상에서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참고:
Andy Kessler, Patent Troll vs. Progress” (The Wall Street Journal, 2012.04.13.)
-John Cook, “Nathan Myhrvold’s Intellectual Ventures slaps AT&T;, T-Mobile and Sprint with patent lawsuit” (GeekWire, 2012.02.16.)  

이메일 홍수와 공황(恐慌)

Y Combinator의 Paul Graham의 글보다 요새 더 재미있게 읽고 있는 Union Square Ventures의 Fred Wilson의 블로그에서 얼마전에 ‘The Black Hole of Email’이라는 포스팅을 읽었다. Fred는 아마도 하루에 수백개의 이메일을 받을텐데 그의 이메일 법칙은 매우 간단하다. 오전, 오후 그리고 저녁에 각각 한시간씩 할애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하루에 딱 3시간만 이메일을 읽고 답장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결론은 자기한테 이메일을 보냈는데 답장을 못 받았다고 해서 기분나쁘게 생각하지 말라는 것이다. 하루에 3시간만 이메일을 하니까.

이걸 읽고 많은 생각을 했다. 왜냐하면 – 잘해서 그런건지, 잘 못해서 그런건지 – 요새 내가 바로 이메일 홍수속에서 바둥거리고 있기 때문이다. 난 성격상 모든 이메일에 대해서 48시간 안으로 답변을 해야하는 스타일인데 나의 이런 원칙이 요새 무너지면서 굉장히 많은 스트레스와 공황(恐慌)을 경험하고 있다.

내가 정신적으로 이상이 있는건가? 다행히도 그건 아닌거 같다 🙂 Entrepreneur 성향을 가진 에너지 레벨이 높은 많은 사람들이 아마도 이런걸 경험하는거 같다. Inbox에 이메일이 막 쌓이는걸 보면 스트레스 레벨도 같이 올라가고, 하나씩 답변해서 unread email을 계속 줄이는 동시에 새로운 이메일이 오는걸 보면 정말 고통스럽다. 그래서 과거에는 퇴근하거나 자기전에 반드시 그날의 inbox는 모두 비우는걸 내 근무 철학 중 하나로 정했고 거의 10년 이상을 지켜왔는데, 이제는 정말 시간의 한계를 느끼는 관계로 이 원칙을 포기했다.

그리고 최근에 Fred Wilson을 따라하면서 새로운 이메일 관리법을 스스로 정했다. 일단 일어나서 간밤에 온 이메일들을 모두 눈으로 대충 확인하고 아주 급한 이메일은 바로 처리한다. 답변하는데 3분 이상 걸리거나 생각을 많이 해야하는 이메일은 모두 읽지 않은 상태로 놔두고 오전 2시간 동안 열심히 처리한다. 2시간이 되면 손을 땐다. 그리고 오후에는 1시간만 이메일을 한다. 물론, 이렇게 하면 하루에 받는 이메일의 절반 정도밖에 처리를 못하지만, 시간이라는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거 같다. 지금도 이 새로운 방식이 아주 편하지는 않고, 처음에는 오히려 이메일을 처리하지 않고 그냥 잔다는거 자체가 엄청난 스트레스였다. 그런데 이렇게 얼마동안 해보니까 이메일을 받는 즉시 답장하지 않아도 큰일 나는게 아니고, 오히려 생각을 하고 일을 할 수 있는 시간과 여유가 생기는거 같아서 지금은 꽤 만족한 work life를 즐기고 있다.

나같이 이메일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분들한테는 이런 방식을 고려해보는걸 권하고 싶다.

그리고 스스로가 이메일에 중독되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전에 내가 쓴 글을 읽어보시길.

참고:
Fred Wilson, The Black Hole Of Email” (A VC, 2012.02.09.)
-배기홍, “이메일 중독 – help me climb out of my inbox!” (thestartupbible.com, 2010.03.07) 

스타트업 바이블 iBook과 iPad App

**제가 몇 주 전에 무료로 배포한 ePub 파일을 타 웹사이트나 본인들이 운영하는 카페에 아직도 올려놓고 있는 분들은 내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물론, 제가 DRM도 안걸린 파일을 무료로 배포해서 스스로 자초한 상황이기도 하지만 (그리고 예상을 못했던것도 아니지만), 책을 잘 읽으셨다면 작가와 출판사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는 지켜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그동안 [스타트업 바이블]의 digital 버전에 많은 변화와 업그레이드가 있었다. 한달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iBook과 iPad App이 출시되었다.

스타트업 바이블 iBook
요구맹 출판사 (@eh_dirty)에서 깔끔하게 제작했다.
장점은 iBook만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종이책을 넘기는거와 거의 비슷한 느낌, 밑줄귿기 등의 유용한 기능, 각주/미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점 그리고 저자가 직접 전달하는 handwritten 노트가 있다는 것이다.
단점은 아직 iTunes Bookstore가 우리나라에서 공식 출시되지 않아서 미국 iTunes (또는 다른 나라) 계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주 큰 단점이다.
가격은 $0.99

*요구맹 출판사의 제작 후기는 여기서 읽을 수 있다.

스타트업 바이블 iPad App
교육용 컨텐츠 앱 전문개발업체 포도트리 (@podotree)에서 매우 아름답게 제작했다.
장점은 UX와 UI에 대한 깊은 지식이 있는 업체에서 제작한 아름다운 UI, Facebook과의 부분적 연동, 그리고 제약없이 앱 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은 아이북만큼의 섬세한 느낌,각주/미주 링크, 밑줄귿기와 같은 유용한 기능이 없으며 또한, 새로운 아이패드의 Retina display에 최적화되지 않아서 화면이 선명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구형 아이패드로는 어떤지 잘 모르겠지만 아직 한국에서 New iPad를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괜찮을듯).
4/4일까지는 무료 배포하고 그 이후부터는 $0.99

*포도트리의 제작 후기는 여기서 읽을 수 있다.

어쨌던간에 유명하지도 않고 아직 백만부도 팔지 못한 검증되지 않은 책과 작가를 이렇게 믿어주시고 흔쾌히 iBook과 iPad App을 제작해주신 두 분/두 출판사에 이렇게 블로그를 통해서나마 감사의 말씀을 전달드린다.

THA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