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

The Anti-network

관계 형성의 중요성‘이라는 글을 비롯해서 여러 번 강조하지만, 일의 종류를 떠나서 ‘관계’는 너무나 중요하다. 특히 창업가나 투자자 커뮤니티와 같이 좁고 서로가 서로한테 항상 평판을 확인하는 분야에서 관계와 네트워크는 두말할 필요 없이 중요하다. 아니, 어쩌면 이게 전부일지도 모른다. 우리가 투자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텀블벅이 얼마 전에 한국의 네이버와 실리콘밸리의 DCM으로부터 시리즈 A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우리도 다시 같이 참여를 했다). 모든 투자가 그렇지만 실제 계약을 마무리하기 전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많은 우여곡절이 있는데 텀블벅도 예외는 아니었다. 특히, 기존 투자자였던 우리와 새로 들어오는 투자자인 DCM/네이버와 상당히 많은 communication이 오고 갔었다. 네이버와 DCM 담당자들과 나는 개인적으로 이미 알고 있었고 꽤 친분이 두터웠는데, 특히 DCM 일본사무소의 파트너 Osuke Honda와는 거의 7년 동안 알고 지냈다. 오늘은 이 관계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해보고 싶다.

나는 2008년부터 약 4년 반 동안 미국에서 뮤직쉐이크를 운영했다. 특히 첫 2년 동안은 투자유치를 위해서 실리콘밸리와 LA의 VC들과 정말 많은 미팅을 했고 피칭할 기회가 있었는데, 아마도 거의 70번 이상 한 거 같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 70번의 피칭 중 투자로 연결된 건 0건이다. 투자로 이어질 뻔 한 건 2건이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DCM과 진행하던 투자건 이었다. 당시 DCM에서 뮤직쉐이크를 담당했던 심사역이 바로 지금은 파트너가 된 Osuke 였다. 같은 동양인이고 와튼 출신이라서 그런지(나는 졸업은 안 했지만) 처음부터 나한테 잘 대해줬는데, consumer 제품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음악에 대한 관심 때문에 Osuke는 우리를 내부적으로 많이 밀어줬다. 투자를 한 번이라도 제대로 진행해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최종 투자 결정은 창투사의 파트너들이 하는 거지만 이 파트너들을 설득할 수 있는 내부 챔피언은 바로 투자를 직접 담당하고 실사를 하는 심사역이기 때문에 심사역한테 잘 보이는 건 중요하다. 뭐, 결국에는 투자가 성사되지 않았지만 이로 인해서 나는 Osuke와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나도 이 친구가 믿을만하고 성실한 투자자라고 생각했지만, 아마도 이 친구도 내가 거짓말 안 하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을 거 같다. 아주 좋게 헤어진 거로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우린 7년 후에 다시 만났다. 이번에는 창업자-투자자가 아닌 같은 VC로 만나서 아주 좋은 회사에 공동투자를 했다. 참 재미있는 인연이다.

다른 69개 이상의 VC들과도 최대한 이렇게 헤어지려고 노력했다(그중에는 좋지 않게 끝난 경우도 있긴 있다. 내가 열 받아서 화를 버럭 내고 자리를 뜬 경우도 있는데 지금 굉장히 후회하고 있다). 그리고 7년이 지난 이 시점에서 나는 내가 당시 피칭했지만 거절당했던 대부분의 VC와 같이 – 창업가가 아니라 같은 투자자로서 – 투자할만한 스타트업과 공동투자 기회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특히 우리와 같이 초기에 투자하는 마이크로 VC들에는 후속 투자가 매우 중요한데 과거에 나와 뮤직쉐이크를 거절했던 VC들이 스트롱벤처스의 훌륭한 후속 투자 네트워크가 되었다. 내가 거절당했기 때문에 네트워크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고, 오히려 anti-network이라고 하는 게 맞지 않을까?

이 분야에서 오래 일하려면 – 솔직히 짧게 일해도 – 네트워크는 너무나 중요하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거와 같이 나를 거절하고 나를 싫어하는 사람들과의 anti-network도 상당히 중요하다.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거대한 로켓

original우리 투자사 텀블벅에 가보면 재미있는 프로젝트들이 상당히 많다. 나도 정기적으로 프로젝트들을 보는데 어제 내 관심을 끈 KMART 라는 프로젝트가 있었다. 자세한 건 프로젝트 페이지를 보면 되지만, 중학교 3학년 학생 2명이 자작 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는 데 필요한 자금 40만 원을 크라우드펀딩하고 있다. 이걸 보자마자 난 자신에게 “난 중학교 3학년 때 도대체 뭘 했을까?”라는 질문을 했고, 인류와 역사가 발전할수록 인간은 당연히 진화하지만, 학생들이 그동안 많이 똑똑해지고 당차졌다는 생각을 했다.

프로젝트 오너인 정재협이라는 중학생을 나는 개인적으로 알지도 못하고 이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지켜본 것도 아니지만, 이 젊은 친구들의 패기, 실험정신 그리고 끈기가 맘에 든다. 펀딩 페이지를 본인이 직접 만들었는지, 부모님이 해줬는지, 아니면 텀블벅 팀이 제작했는지 모르지만 어쨌든 이 프로젝트를 크라우드펀딩 하려고 생각한 거 자체가 이미 생각이 앞서가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첫 번째 로켓 KR-1은 발사대가 없어서 중심을 잡지 못하고 옆으로 기울어져 실패, 두 번째 로켓 KR-2는 KR-1의 문제점을 해결해서 350m까지 올라갔지만 여기서 또 로켓이 무게중심을 잡지 못하고 실패했다고 한다. 이제 이들은 KR-1과 KR-2의 문제점을 해결한 KR-3 로켓을 고도 800m까지 올리기 위한 제작비용을 모집하고 있다. KR-3는 성공할까? 잘 모르겠다. 아마도 또 다른 이유로 실패할 거 같다. 하지만, 이 젊은 친구들은 왠지 성공할 때까지 KR-199 까지도 만들 거 같다. 이 과정에서 나는 실패와 실험이 일상이 된 우리가 투자한 많은 스타트업들을 떠올렸다.

나는 전체 목표 중 25%를 후원했다. 현재 40만 원 중 29만 원이 모였고, 11만 원이 모자란다. 11만 원이 적은 돈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주 많이 부담되는 금액도 아닌 거 같다. 막말로 친구들이랑 술 한번 안 먹으면 된다. 누군가 한방에, 아니면 여러 명이 이 11만 원을 꼭 후원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1,000원부터 자유롭게 후원 가능). 참고로 이제 3일 남았다. 텀블벅의 펀딩 방식은 목표 금액이 100% 모이지 않으면 모든 게 무산되기 때문에 40만 원이 안 모이면 이 학생들은 한 푼도 못 받는다.

나는 애들이 없어서 ‘우리 아들 생각이 나서’ 후원한 게 아니다. 한국같이 과학과 공학이 아직도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나라에서는 이런 꿈나무들이 필요하다. 이들이 성공해서 주위 친구들도 이런 좋은 실험에 동참하게 만들어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이들이 대학에 진학하고 졸업할 때 제발 이런 과학적 마인드를 계속 유지하고 이 분야에 종사할 결정을 하면 좋겠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한국이 지금 당장 더 많이 필요한 건 변호사, 회계사, 선생, 의사, 공무원이 아니라(친구들 미안~) 엔지니어, 과학자 그리고 창업가들이다. 정재협 학생이 Elon Musk의 SpaceX와 같은 회사를 만들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계속 도전하길 바란다. 실패하고, 고치고, 또 실패하고, 또 고치고 하다 보면 언젠가는 근처에는 갈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3학년 학생 두명이서 날리는 거대한 로켓 발사~~] 후원하러 가기


<이미지 출처 = https://tumblbug.com/ko/kmartproject>

Context.IO App Challenge

*이 포스팅은 Fred Wilson의 “The Context.IO App Challenge“라는 블로그 포스팅을 거의 복제했고, 내가 조금 추가한 내용으로 작성했다.

Fred Wilson의 블로그를 한국에서도 구독하는 분들이 있지만 미국 VC들의 블로그를 생각보다 많이 안 읽는거 같아서 오늘 Fred가 포스팅한 글을 한글로 한번 적어본다. 특히 한국의 학생들과(공대) 개발자분들도 충분히 도전해 볼 만하다고 생각한다. Context.IO App Challenge는 Context.IO라는 API를 사용해서 2015년 9월 1일까지 B2C 앱을 만드는 일종의 장기 해커톤이다. Context.IO는 사용자들의 이메일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하는 RESTful API이다. 개념은 간단하지만 이 API를 사용하면 Gmail, Yahoo!, Outlook 등의 다양한 이메일 제품의 서버와 정보를 손쉽게 접근하고 개발시간을 극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음…”그런데 이메일 정보를 가지고 뭘 만들 수 있을까?”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겠지만(나도 처음에 그렇게 생각했다), 직장 또는 개인적인 업무의 대부분이 이메일로 진행된다는 걸 감안해보면 그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사진과 문서 공유, 영수증과 쿠폰 저장, 업무 관리, 다른 앱으로부터 알림 받기, 여행 일정 관리 등등…..이 모든게 이메일을 통해서 진행된다. 나같은 사람한테는 이메일이 인생 그 자체라고 할 수도 있다.

125,000 달러의 상금이 7팀에게 주어지는데, 심사위원들이 상당한 고수들이라서(Fred Wilson, Brad Feld, David Cohen, Matt Blumberg) 우수한 제품들이 많이 발굴되지 않을까 싶다. 나는 API 비즈니스 예찬론자이기 때문에 1.한국에서도 이 대회에 참석 2.한국에서도 Context.IO와 같이 좋은 API들이 많이 만들어지면 좋겠다.

Context.IO App Challenge 참여하기

기업의 전략적 펀드 출자

우리를 비롯한 대부분의 벤처펀드는 남의 돈을 가지고 운영되는 투자도구이다. 수백 ~ 수천억 원 규모의 펀드라면 펀드운용사 또는 운용 매니저들이 이 정도 규모의 자금을 직접 조달할 능력이 대부분 없으므로 ‘출자자(펀드 투자자)’ 들로부터 자금을 유치하고, 이 자금을 다시 여러 스타트업들에 투자하고 집행한다. 출자자의 종류는 다양하다: 우리가 잘 아는 대기업들; 국민연금; 모태펀드(정부의 돈); 대학교(한국은 아직 활발하지 못하다); 돈 많은 개인 등이다.

출자자들의 펀드 출자 목적도 매우 다양하다. 개인 출자자들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출자하지만, 정부는 돈보다는 고용창출이나 자국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의 공공 목적 때문에 출자한다. 여기서는 대기업들의 출자 목적에 대해서 조금 말해보려고 한다. 우리도 대기업 투자담당자들에게서 많이 듣는 질문이다. “전 세계에서 우리 회사를 모르는 사람들이 없고, 우리도 내부적으로 투자팀이 있는데 굳이 외부 펀드에 출자할 필요가 있을까요?”

출자할 필요가 분명히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대기업들이 우리와 같이 크고 작은 펀드에 출자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스타트업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스타트업 발굴: 많은 대기업 임원들과 투자 담당자들은 – 특히, 미국보다는 한국이 더 심하다 – 본인들이 모든 스타트업들을 발굴할 수 있고 알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현실은 이와는 정반대이다. 물론, 이미 유명해져서 언론에 많이 노출된 회사들은 누구나 다 알지만 아무리 네트워크가 좋고 잘나가는 회사에서 일하고 있어도 하루에도 수십 개씩 새로 생기는 모든 스타트업들을 전부 다 알 수는 없다. 그러므로 다양한 분양의 벤처펀드에 출자하면 어디에 어떤 스타트업들이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VC 들을 안테나와 같이 활용하는 전략인데 수십억 또는 수백억을 여러 개의 펀드에 출자하는 게, 나중에 전혀 모르고 있던 좋은 스타트업을 경쟁사에 빼앗김으로써 발생하는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와 이로 인한 금전적인 손실보다는 훨씬 더 저렴하고 좋은 전략이다.

-대기업을 싫어하는 스타트업에 투자: 뜻밖에 대기업들과 같이 일하거나 투자받는 부분에 대해서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스타트업들이 많다. 특히, 자신감 있고 장래가 밝은 스타트업 중 대기업 담당자들이 찾아오면 만나주지도 않는 회사들도 많다. 대기업들에 대해 워낙 좋지 않은 이야기들을 많이 들었고, 이런 좋은 스타트업들은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투자받을 수 있는 채널이 많기 때문이다. 벤처 펀드에 출자했다면, 대기업의 이름은 숨기면서 펀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런 좋은 회사들에 투자할 수가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스타트업들과의 관계를 만들 수 있고 이는 파트너쉽, 대기업의 직접 투자 또는 인수로 이어진다.

-기업 이미지를 손상할 수 있는 비즈니스에 투자: 대기업들은 언론의 눈치를 많이 봐야 한다. 툭하면 “대기업이 그런 것도 하냐” 하면서 여론을 몰아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 도박 또는 마리화나 관련 비즈니스에 국내 유명 대기업이 투자하면 언론에서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비칠게 뻔하다. 하지만, 도박이나 마리화나도 앞으로 크게 성장할 수 있는 비즈니스이며 실행만 잘하면 사회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외부 벤처펀드에 출자하고, 그 펀드를 통해서 이런 비즈니스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면 된다. 그러면 기업 이미지 손상을 방지하면서 이런 비즈니스에 대해서 더 배울 수 있고 남들보다 한발 앞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물론, 순수 금전적인 보상을 목적으로 벤처 펀드에 출자하는 대기업들도 있지만 내가 아는 대기업들은 모두 위에서 나열한 전략적인 목적을 가지고 펀드에 출자한다.

Strong Ventures와 LA

LA많은 분들이 잘 모르는 사실인데, 스트롱벤처스는 실리콘밸리가 아니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창투사이다. 그리고 우리가 LA에 있는걸 아는 많은 분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자주 한다. “스트롱벤처스는 왜 실리콘밸리가 아니라 LA에 있나요?”

실은 나는 뮤직쉐이크를 운영하기 위해서 2008년 부터 LA로 이사와서 살고 있었고, John은 처가가 LA에 있고 아이들도 다 여기서 학교를 다니고 있었기 때문에 큰 고민없이 LA에 스트롱벤처스를 설립했다. 하지만, 약 3년 동안 한국, LA 그리고 실리콘밸리의 다양한 회사에 투자를 하면서 왜 우리가 LA에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도 왜 계속 LA에 있을건지에 대한 생각들이 명확하게 정리가 되었다. 이제 우리는 한국의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에(=북미) 진출하기 위해서는 실리콘밸리보다 오히려 LA가 더 좋은 발판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 관련해서 몇가지 생각을 여기서 공유한다:

1. 한국 바깥에 있는 한국의 수도 – 일단 LA에는 한국 사람들이 많다. LA의 한인 인구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찾을 수 없지만, 약 50만 ~ 100만 명으로 추정된다(LA와 그 주변 county들을 합치면). 이는 한국의 왠만한 소도시들보다 더 규모가 크며, 한인들끼리만 생활을 해도 경제권과 상권이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LA에서 50년 이상 사신 분들 중 영어를 전혀 못 하는 분들도 있고, 실제로 LA의 많은 한인들이 영어를 제대로 못한다. 어쩌면 영어의 필요성을 전혀 못 느낄지도 모른다. 영어를 안하고 한국어만 해도 살아가는데에는 전혀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LA의 코리아타운에 가면 한국에 있는 왠만한건 다 있다. 한인 인구가 많아서 그런지, LA는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매우 friendly 하다. LA의 시장 Eric Garcetti 씨는 “LA is the capital of South Korea, outside of South Korea (LA는 한국 외부에 있는 한국의 수도 입니다.)” 라는 말을 할 정도로 한국인과 한국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고, 그만큼 LA에는 한국인들이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 존재한다.
내 파트너 John이 농담같이 항상 하는 말이 있다. “뽀빠이가 신선한 시금치를 먹어야지 힘을 쓸 수 있듯이, 한국 사람들은 신선하고 맛있는 김치를 먹어야지 일을 할 수 있다” 이다. LA 만큼 맛있고 신선한 한국 음식이 풍부한 도시는 미국에 없다. 재료가 더 신선하고 좋기 때문에 오히려 어떤 음식들은 한국보다 더 맛있다(예: ‘북창동순두부’의 원조는 LA이다. 여기서 한국으로 넘어갔다).

스타트업을 하는 토종 한국 분들이 미국 시장에 처음 진출하면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게 낯설고 어렵다. 사업적인 부분도 당연히 어렵지만, 정서적인 부분도 무시할 수 없다. 굉장히 외롭고 쓸쓸하다. 하지만 ‘한국’ 이라는 나라, 문화 그리고 음식에 매우 익숙한 도시인 LA를 발판으로 북미시장 진출을 시도하면 정서적인 부분의 어려움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른 나라/시장으로의 이주로 인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더 빨리 적응하고, 일에 모든 걸 집중할 수 있다.

2. 한국 기업들의 북미시장 공략 발판 – 한국과의 끈끈한 관계 때문인지 한국을 대표하는 인터넷/게임 기업들은 대부분 LA에 북미 본사 및 지사를 설립하고 있다. 넥슨, 엔씨소프트, 스마일게이트, 게임빌, 라인, NHN 엔터테인먼트, 쿠팡 모두 LA에 북미 사무실이 있고 앞으로 한국 스타트업들이 LA로 진출하면 같은 한국 기업들끼리 서로 도움을 주면서 성장할 수 있길 기대한다. 같은 곳에 있다고 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는건 아니지만 내 경험에 비추어보면 물리적으로 같은 공간에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자주 만나고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파트너쉽, 투자, 인수 등이 활발하게 진행된다.

3. 소비자 tech 컨버젼스의 중심 – LA가 전통적으로 컨텐츠와 엔터테인먼트가 강하다는 건 왠만한 분들은 잘 알고 있다. 할리우드와 대부분의 음반사들이 LA에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모르는 사실이 또 하나 있다. 하드코어 기술이 아닌 이러한 기술을 활용한 – 한국에서 소위 말하는 BM 위주의 서비스들 – 소비자 제품에 있어서는 LA가 상당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LA의 패션/의류/섬유 시장은 미국에서 가장 크며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다양한 모델의 패션/의류 전자상거래 비즈니스들이 탄생했다. 그리고 이런 모델들이 성숙해지면서 자연스럽게 다른 카테고리의 전자상거래 모델들로 발전했다. 확실한 자료는 없지만, subscription 기반의 전자상거래 모델도 LA에서 탄생했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렇게 하드코어 기술 기반의 IT 산업 외의 산업들이 발달하다 보니 LA는 기술자나 투자자들 보다는 평범한 일반 소비자들과의 연결고리가 훨씬 더 강한 지역이 되었고, 일반 소비자들을 위한 창조경제가 실리콘밸리보다 더 먼저 형성된 독특하고 유일한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조금 유식하게 포장해보면 기술, 미디어, 컨텐츠, 엔터테인먼트, 패션과 전자상거래의 컨버젼스가 이루어 지는 곳이며, 공교롭게도 한국이 꽤 잘하는 영역이 이런 분야들이다(물론, 원천기술도 요샌 강세이지만)

4. 급부상하는 유니콘 농장 – 3번의 독특한 환경에 IT가 접목되기 시작하면서 최근 LA의 스타트업 시장이 활짝 열리기 시작했다. 매우 빠른 속도로 10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가진 유니콘 회사들이 LA에서 창업되어 성장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유니콘 회사 Snapchat도 LA 회사이다. 페이스북이 2조원 이상에 인수한 가상현실 기업 Oculus, 디즈니가 1조원 이상에 인수한 유투브 기반의 프로덕션 회사 Maker Studios, 그리고 할리우드 유명 연예인 제시카알바와 한인창업가 Brian Lee가 공동창업했고 곧 IPO를 계획하고 있는 The Honest Company 모두 다 LA를 대표하는 유니콘 벤처기업들이다. 이미 LA에만 10개 이상의 유니콘 스타트업들이 있다.

5. 창업에 관심을 갖는 대학생들
– 실리콘밸리의 형성과 성장에는 스탠포드 대학과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이 큰 기여를 했다. 실리콘밸리와 샌프란시스코 주변의 학교에서 좋은 교육을 받은 공대생들이 창업을 통해서 미래의 꿈을 실현하고 있고, 이미 창업한 회사에 지속적인 엔지니어링 인력들이 공급되면서 엄청난 기업들이 만들어 지고 있다. LA에도 이에 뒤지지 않는 학교들이 있다. 대표적인 대학교들은 UCLA, USC(남가주 대학) 및 Caltech(캘리포니아공대) 이며, 이 외에도 수십개의 대학이 LA에 있다. 실리콘밸리 보다는 많이 늦었지만, 최근 몇년 전부터 LA의 대학생들도 창업과 기술쪽에 많은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명문대를 졸업한 똑똑한 젊은 공학도들이 실리콘밸리의 장점만을 흡수하여 LA만의 자체 벤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한국 스타트업들도 이런 좋은 인력들을 실리콘밸리 보다는 조금 더 저렴하게 채용할 수 있다.

6. LA의 ‘코리아 마피아’ – LA에는 우리가 자체적으로 이름을 붙인 ‘Korea Tech Mafia’ 라는 한인 출신 창업가/투자자 그룹이 존재한다.
LA K-mafia
-David Lee/SV Angel: David Lee는 세계 최고의 시드 펀드/마이크로 VC인 SV Angel의 대표이다. SV Angel은 지금까지 500개 이상의 회사에 투자했으며 이 중 160개 이상의 회사가 IPO 또는 인수를 통해 성공적인 exit을 했다. SV Angel의 투자는 마치 성공의 보증수표와도 같다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로 브랜드가 강한데 몇 년 전에 David은 LA로 이사와서 거주하고 있다.
-Michael Yang: 한인 출신 창업가 중 북미에서 가장 성공한 기업가 중 한 명인 Michael Yang은 3번의 성공적인 exit을 했으며, 현재 스트롱벤처스 사무실인 Kolabs에서 4번째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특히 2000년도에는 mySimon을 CNET에 8,000억원에 매각하면서 당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Brian Lee와 Richard Jun/BAM Ventures: 한인 출신 창업가 중 현재 북미에서 가장 유명한 분은 Brian Lee 이다. Brian은 온라인 법률서비스인 LegalZoom을 창업했으며(기업가치 약 6,000억원), 그 이후 할리우드의 유명한 연예인 Kim Kardashian과 신발 전자상거래 사이트 ShoeDazzle을 창업해서 7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후 또다른 LA의 유니콘 회사인 JustFab에 성공적으로 매각했다. 이후 또 다른 할리우드의 유명배우 제시카 알바와 The Honest Company를 창업했고 1조원 이상의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Brian이 지금까지 창업한 기업들이 창출한 시장가치는 약 4조원 정도가 된다. BAM Ventures는 Brian Lee와 그의 동료 Richard Jun이 운영하는 LA 기반의 마이크로 VC 이다.
-Peter Lee/Baroda Ventures: Baroda Ventures는 LA의 스타트업들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VC 이다. 지역적인 focus가 있기 때문에 그 어떤 창투사 보다 훨씬 더 양질의 LA 기반의 스타트업들을 찾아서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eter Lee는 Baroda Ventures의 대표이다.

LA의 Korea Mafia는 굉장히 중요하다고 나는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자주 연락하면서 항상 한국과 한국의 스타트업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는데 주로 요새 어떤 회사들이 잘 하고 있고, 이런 회사들이 미국에 진출하면 우리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한다. 인생의 선후배인 이 분들 모두 한국 회사들이라면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 투자하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고, 이미 우리는 5개 이상의 한국 스타트업에 공동 투자를 했다. John과 나는 이 그룹에서 스트롱벤처스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나름 생각한다. 왜냐하면 다른 분들은 상대적으로 한국어 능력도 부족하고 한국 시장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해서 한국 스타트업 투자 및 이들의 미국 진출에 대해서는 스트롱벤처스를 많이 신뢰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LA의 Korea Mafia를 하나로 만드는 접착제와도 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

누구나 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 그리고 일하는 곳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있다. 우리도 크게 다르지 않지만, 위에서 나열한 이유들 때문에 우리는 LA가 한국 기업을 위한 최적의 북미시장 진출 발판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회사가 성장하고 커지면 비즈니스의 방향에 따라서 실리콘밸리, 뉴욕, 시애틀, 텍사스 등 미국의 다른 곳으로 이주를 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의 영원한 숙제인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첫번째 진입 도시로서는 LA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우리도 이 부분에 많은 투자와 고민을 할 계획이다.

<이미지 출처 = http://laepiclosangeles.com/public/blog/where-in-los-angeles-should-you-live-in-your-2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