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undersAtWork

문제를 사랑하기

1614204387412

이미지 출처: ezps / 크라우드픽

빠르면 이번 주에 쿠팡이 티커 CPNG로 NYSE에 IPO를 한다. 아마도 구정 연휴 기간 동안 쿠팡의 상장 신청 소식을 듣고 많은 분들이 놀랐을 것이다. 우리도 쿠팡의 작은 주주이며, 미국에서 IPO를 계획하는 정도까진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빨리 진행됐고, 그리고 목표 밸류에이션이 $50B인줄은 몰랐다. 나도 이 소식을 접한 후, 적잖게 놀랐고, 우리가 하는 업, 투자하는 회사, 그리고 우리랑 항상 교류하는 창업가들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번 하게 됐다. 큰 시장을 석권하는 큰 회사를 만들려면, 남들과는 뭔가 다른 자세와 마인드가 필요하고, 미국 친구들이 말하는 go big or go home 자세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됐다.

쿠팡이 소위 말하는 문샷(moonshot)회사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겠지만, 이 밸류에이션은 한국 기업으로서는 충분히 문샷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회사를 만들기 위해서는 남들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일에 도전해야 하고, 일반적으로 봤을 때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에 대부분 망하겠지만, 누군가 성공할 것이고, 성공하면 이건 쿠팡같이 엄청난 기업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 내 철학은 모든 창업가들이 유니콘 회사를 만들 필요는 없다이지만, 그래도 뭔가 시작을 했다면, 이런 문샷에 도전하는 자세는 모두 다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대부분 실패할 것이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배움을 얻을 수 있고, 그 배움은 그대로 다음 창업 또는 다음 도전에 큰 영양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문샷 회사 또는 프로젝트에 도전하는 창업가들의 공통점이 몇 가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누가 봐도 약간 미친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이 글의 영감을 준 쿠팡의 김범석 대표, 김범석 대표한테 영감을 준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 그리고 한국에서도 유명한 엘론 머스크와 같은 기업인들은 회사가 성공하니까 대단한 비즈니스맨으로 존경받지만, 그 과정에서는 모두 다 불가능에 도전하는 또라이라는 소리를 여러 번 들었다. 물론, 지금도 가끔 이런 소리를 듣는다.
또 다른 공통점은 이런 분들은 특정 문제의 해결책(=솔루션) 보단 그 문제 자체를 좋아한다는 점이다. 아니, 그냥 문제를 좋아하는 게 아니라, 문제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다.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에 더 많은 초점을 두면, 아무래도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되는 것만 주로 하는데, 문제 자체를 사랑하면, 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말도 안 되는 시도를 하고 아이디어를 생각해낸다. 나는 이 과정에서 문샷 비즈니스가 만들어진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과정에는 어쩔 수 없이 수많은 실패가 동반된다. 이런 수많은 실패로부터 얻는 배움이 오랫동안 더해지면서 누군가는 문샷 성공을 만들고,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아주 진부한 말을 우린 너무 자주 하지만, 진부한 만큼 이 말에는 뼈가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문샷 창업가의 대명사인 엘론머스크는 멋지면서도 기능도 좋은 전기자동차 테슬라를 만들고 양산하는 데 성공했지만, 전기자동차의 역사를 보면 수많은 실패한 창업가들이 있다. 엘론과 인터뷰를 해보면, 본인과 대부분의 다른 전기자동차 창업가들은 어릴 적 봤던 영화 백투처퓨처에 등장한 드로리안 자동차를 보고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드로리안도 망했고, 다른 많은 전기자동차 창업가들도 망했지만, 이들의 실패 사례를 잘 연구했고, 실패로부터의 배움을 개선하고, 실패한 기술과 사례를 잘 취합해서 그는 성공했다고도 할 수 있다.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 큰 걸 하려면, 해결책보단 문제를 사랑해라. 그리고 수많은 실패로부터 배움을 얻어라.

믿습니다

iwanttobelieve

이미지 출처: https://www.slashgear.com/x-files-2015-guide-catching-up-with-mulder-and-scully-24375084/

투자금의 100배 이상의 수익이 생기는 사례를 보면, 주로 모두가 다 안 된다고 할 때, 이걸 된다고 본 소수의 VC가 투자했을 때, 이런 말도 안 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모두 다 안 된다고 했기에 당시 이 비즈니스의 밸류에이션은 낮을 수밖에 없었고, 이런 상황에서 투자해서 회사가 크게 잘 되면 100배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있진 않지만, 우리도 경험했고, 다른 VC들의 성공 이야기를 가끔 듣게 된다.

이런 수익을 경험하는 투자자들에게 사적인 자리에서 그 과정과 경험에 관해서 물어보면, 모든 투자자와 창업가의 이야기는 항상 다르지만, 나름대로 내가 공통으로 뽑아낸 배움이 있다면, 바로 이런 투자자들은 당시에는 말도 안 되는 비즈니스를 100% 이해하기 전에, 일단 100% 믿었다고 한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가 버릇처럼 하던 말이 있다. 그는 앞으로 10년, 20년 후에 어떤 기술이 나오고,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가 유행할진 모르겠고, 이런 걸 예측하는데 별로 시간 낭비하고 싶지 않다고 한다. 왜냐하면, 본인은 기술자도 아니고, 미래학자도 아니고, 경제학자도 아니라서 미래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한다. 하지만, 이해는 못 하지만, 100% 믿음을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사실이 있는데, 그건 바로 시대가 아무리 바뀌고, 로봇이 사람을 대체하고,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나와도, 소비자는 항상 더 많은 선택을 원하고(더 적은 선택이 아니라), 더 싼 제품을 원하고(더 비싼 게 아니라), 그리고 더 빠르게 배송받길 원한다는(더 늦게 받는 게 아니라) 것이다. 이 3가지를 100% 믿기 때문에, 이 믿음을 가능케 하는 기술, 제품, 팀에 주저 없이 과감하게 투자할 수 있고, 아마존은 지금까지 그렇게 해 왔기 때문에 항상 경쟁사보다 다섯 발은 앞장 서는 것 같다.

나도 투자를 시작할 때는, 내가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하면 절대로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고수했다. 실은 이건 내 원칙이기도 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워런 버핏의 원칙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전략은 한동안 잘 맞아떨어졌던 것 같지만, 이제 너무 많은 창업가가 너무 대단한 비전을 갖고 창업하기 때문에, 내가 만나거나 검토하는 회사들의 절반 정도는 내가 잘 이해하지 못하는 시장에서 비즈니스를 하거나, 내가 잘 이해하지 못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 이제 나는 이런 회사를 볼 때, 가장 먼저 스스로에게 주입시키는 건, “이해하기 전에 믿자” 이다. 믿는다면 언젠가는 이해할 것이고, 나도 이해하고 세상이 이해하게 되면, 그때 이 비즈니스는 대박 성공하고 우린 100배 이상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이 꿈꾸는 미래를 믿는가? 믿는다면 과연 이 팀이 이걸 할 수 있나? 이게 미래에 투자하는 투자자로서 내가 물어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질문이다.

이제 나는 믿는다. 남들이 이해하기 전에 믿는다. 그리고 내가 이해하기 전에 믿는다. 아멘.

The Giving Pledge Korea

2010년도에 포춘지에서 워런버핏과 빌게이츠가 기부 관련 재미있는 모임을 했다는 기사를 읽고, 이 기사를 요약한 걸 나는 블로그에 포스팅했었다:
1/ The $600 Billion Challenge – Part 1
2/ The $600 Billion Challenge – Part 2

2009년 5월 5일, Rockefeller University에서 이와 관련된 첫 만남이 이루어졌고, 14명의 부호들이 이 만찬에 참석했다. 이게 바로 The Giving Pledge 운동의 시작이다.

지난주에 배달의 민족 창업가 김봉진 대표님의 Giving Pledge 서약 소식을 듣고, 10년도 넘은 이 글을 다시 읽었다. 당시에는 40명의 서약이 웹사이트에 올라가 있었는데, 그때 한국인의 서약은 단 한 개도 없었고, 그 이후로 218개의 서약이 올라올 때까지도 한국인은 한 명도 없었다. 그리고 김봉진 대표 부부가 219번째 서약을,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이 웹사이트에 올렸다.

감동까진 아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참 즐겁고 유쾌했다. 막 친하진 않지만, 개인적으로 아는 분이 쉽지 않은 결정을 했다는 점, 한국에서도 Giving Pledger가 나올 수 있다는 걸 증명한 점, 내가 종사하는 이 tech 분야에서 이런 분이 나왔다는 점, 그리고 앞으로 더욱더 많은 후배 창업가들이 김봉진 대표의 발자국을 따를 수 있다는 희망적인 시그널. 이 모든 게 참으로 감사하게 느껴졌다.

김봉진 대표님 부부의 Giving Pledge를 보면, 이런 내용이 있다.

“마지막으로 10년 전 창업 초기 20명도 안 되던 작은 회사를 운영할 때 빌게이츠와 워런버핏의 기사를 보면서 만약 성공한다면 더기빙플레지 선언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막연하게 꿈꾸었는데요. 오늘 선언을 하게 된 것이 무척 감격스럽습니다. 제가 꾸었던 꿈이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도전하는 수많은 창업자들의 꿈이 된다면 더없이 기쁠 것 같습니다. 그렇게 누군가 이 이야기를 계속 이어주시길 바랍니다.”

한국에서도 많은 분이 이 이야기를 계속 이어주길 진심으로 바란다.

Thank you Bongjin and Bomi.

디지털 자산에 대한 생각 – 2021년 1월

2018년 초 이후부턴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분야에 관심을 껐던 많은 분들이 새해부터 나한테 비트코인 가격과 전망에 관해서 물어보는걸 보면 이 시장에 다시 한번 불이 붙었다는 걸 느낄 수 있다. 4만 달러를 잠깐 넘었다가 지금은 또 떨어지긴 했지만, 비트코인 3만 달러 시대는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될진 나는 전혀 모르겠다.

그나마 다행인 건, 2017년도의 가격 폭등은 미디어와 투기가 만들었는데, 이번 불장에서는 이 둘의 영향이 많이 줄었다는 점이다. 그럼 도대체 가격이 왜 이렇게 많이 뛰었냐고 물어본다면, 많은 전문가가 팔려는 사람은 적은 데, 사려는 사람은 많은, 전형적인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때문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이 현상을 조금 더 깊게 본다면, 대량으로 구매하고, 오랫동안 팔지 않고 그냥 보관하고 있는, 그리고 이렇게 보관할 수 있는 기관투자자들의 등장도 한몫을 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투자에 대해 적용되는 FUD(Fear, Uncertainty, Doubt)의 영향이 이번에도 가장 크게 작용하는 거라고 나는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비트코인 가격이 이렇게 올라가는 현상이 좋은 건지 나쁜 건지는 나도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블록체인과 크립토 분야의 회사에 다시 한번 많은 관심이 집중되는 건 여러모로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우린 2013년 코빗 투자를 시작으로 그동안 한 번도 이 분야를 등한시한 적이 없고, 많진 않지만, 꾸준히 회사들을 검토하고 블록체인 관련 창업가들을 만났다. 지금까지 우리가 투자한 한국과 미국의 직접적인 블록체인/크립토 관련 스타트업과 간접적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서비스는 대략 10개 안팎이다. 암호화폐의 gateway 역할을 하는 거래소 고팍스, 비트코인 <-> 상품권 거래를 가능케 하는 디지털자산 거래소 비트로와 암호화폐로 이자수익을 벌 수 있는 디지털 자산 은행 샌드뱅크가 최근에 우리가 투자한 회사들이다. 이 밖에 송금이나 정품인증 등에 블록체인을 도입했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투자사도 있고, 하여튼 이 분야에서 계속 다양한 실험을 하는 재미있는 팀들이 많다.

이런 작은 실험과 노력이 계속 쌓이다 보면, 어느새 이 기술과 시장이 주류로 들어오는데, 이게 올해가 될진 잘 모르겠지만, 미국통화감독청의(OCC – Office of the Comptroller of the Currency) 스테이블코인 승인으로 시작한 2021년은 꽤 재미있는 한 해가 되지 않을까 싶다.

관리가 필요 없는 회사

작년 한 해 동안 스트롱에서 꽤 많은 회사에 투자했다. 어떤 회사 투자소식은 미디어에 보도가 됐지만, 대부분의 투자 관련 소식은 기사화되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를 비롯해서, 어떤 VC가 몇 건의 투자를 했는지는 – 그리고, 투자를 많이 하냐, 적게 하냐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 공식적으로 관리되고 있진 않지만, 아마도 2020년도에 한국에서 가장 많은 투자를 한 VC 중 하나가 우리이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8년 넘게 지금까지 우린 160개 이상의 회사에 투자했다. 5명도 안 되는 인력으로 투자하고 관리하기엔 너무 많은 숫자인데, 이게 실은 우리가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이기도 하다. 우리도 펀드레이징할때 잠재 출자자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는 게 그 많은 회사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냐는 질문이고, 다른 동료 VC들도 깜짝 놀라면서 그렇게 많이 투자하면 관리는 어떻게 하느냐는 질문을 종종 한다.

이 질문에 나는 주로 두 가지 답변을 드린다. 아마 전에도 내가 몇 번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일단 나는 우리 투자사 중 힘든 회사와 창업가들과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이미 잘 하는 회사는 내가 굳이 적극적으로 도와주지 않아도 잘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말하는 관리가 필요 없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나의’ 관리는 필요가 없다. 나보다 더 사업을 오래 한 창업가들이, 자기 비즈니스에 대해서 나보다 훨씬 더 잘 알고 있는데, 내가 굳이 이래라저래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건 오히려 회사의 비즈니스에 방해가 되는 간섭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힘들어하는 회사는, 내가 많이 도와주면, 어쩌면 잘할 가능성이 조금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 또는, 그렇게 될 거라고 나는 믿기 때문에 – 이런 분들과 적극적으로 같이 고민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현실은 내가 아무리 같이 고민하고 같이 옆에서 뛰어주어도 힘든 회사들이 잘 되는 건 쉽지 않다는 걸 많이 경험했다.

관리의 질문에 대한 나의 두 번째 답변은, 바로 우린 관리가 별로 필요 없는 회사와 창업가에게 투자하는 걸 선호한다는 것이다. 우린 투자하기 전에 이 창업가는 어떤 분인지 파악하고 배우는데 대부분의 시간과 에너지를 할애한다. 우리의 실사는 회사의 서류나 재무제표를 보는 게 아니라, 창업가들이 어떤 사람들이고, 어떤 생각을 하고 있고, 그동안 어떤 삶을 살았는지에 대한 나름의 배움과 확신의 과정이다. 그리고 이런 과정에서 확신이 생겨서 투자하면, 이분들은 주로 관리라는 게 별로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이런 창업가들은 스스로 관리를 잘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실은, 시장의 변화, 자본의 변화, 경쟁의 변화 등과 같은 요인은 투자자들이 아무리 관리해도 관리가 안 된다. 이런 변화가 발생했을때 – 그리고 스타트업을 하다 보면, 이런 예상치 못한 변화는 매일 발생한다 –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대표와 경영진에 투자하는 게 우리가 보는 성공적인 투자이다. 그래서 나는 관리에 초점을 맞추는 투자자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결국, 이분들은 본인들이 관리를 잘하면 회사가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잘 될 수 있다고 어느 정도 믿는데, 내가 보기엔 이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회사가 잘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만드는 건, 투자자가 관리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렇게 관리에 너무 집중하는 투자자일수록, 회사가 잘 되면, “그 회사 우리가 키웠다”라고 말하는 경향이 큰데, 이 역시 내가 술자리나 모임에서 가장 듣기 싫어하는 말이다. 그러면, 이런 사람들은 회사가 잘 안 되서 망했을 때도 똑같이 “그 회사 우리 때문에 망했다”라고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분들에겐 망하는 건 항상 창업가와 회사의 잘못이다. 잘되면 우리가 키웠고, 안되면 쟤네가 문제 있다는 식의 생각은 그 누구한테도 도움이 안 된다.

그래서 되도록 우린 관리가 필요 없거나,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창업가들을 좋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