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창조

얼마 전에 마크 저커버그가 페이스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7년 동안 고수했던 Facebook이라는 이름을 버리고, 사명을 Meta로 바꿨다. 구글이 몇 년 전에 모기업을 Alphabet, Inc.로 바꾸고, 모든 제품과 법인을 알파벳이라는 지주회사 밑으로 붙였는데, 동일한 방법으로 Meta라는 지주회사를 만들고 이 밑에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오큘러스 등의 자회사를 소유하는 방법이다.

Meta를 Social Technology Company라고 설명한 걸 보면, 솔직히 그냥 페이스북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은 것 같지만, 거의 1,000조 시총의 기업이 이런 큰 변화를 시도하는 건 시사하는 바가 꽤 크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일단 시장의 반응을 보면, 역시 다양한 의견과 이론이 존재한다.

부정적인 의견은 우리가 모두 잘 아는 그런 내용이다. 프라이버시 침해, 의도한,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다양한 여론 조작과 데이터 가공 등의 의혹을 받는 페이스북이 그냥 법의 망을 최대한 피하고, 사회의 비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껍데기만 바꾼 것이고, 결국엔 돈으로 모든 걸 해결하려는 개수작이라는 의견들이 웹에 난무하고 있다. 이름만 바꿨고, 마크 저커버그는 앞으로도 계속 부도덕한 일을 페이스북이 아닌, 더 큰 Meta라는 애매모호한 법인에서 할 것이라는 맹비난을 퍼붓고 있다.

하지만, 이걸 또 매우 긍정적으로 보는 분들도 많다. 페이스북이 지금까지 했던 많은 일이 미래가 오는걸 기다린 게 아니라, 직접 미래를 만든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메타버스에 모든 걸 올인 한다는 건 역시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직접 만들어 보겠다는 의지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Facebook이 Web 2.0을 만들었다는데 많은 분이 동의하리라 생각한다. 엄청난 투자를 하고, 좋은 인재를 채용해서, Web 2.0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매우 큰 시장과 산업들이 만들어졌다. Meta를 통해서 이젠 Web 3.0을 위한 인프라를 직접 만들겠다는 의도로 해석을 해보면, 역시 저커버그만이 할 수 있는 그런 대담한 시도라는 면에서는 칭찬할 만하다.

나는 솔직히 아직도 메타버스가 정확히 뭔지 잘 모르겠다. 누구나 다 말하고, 누구나 다 너무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 누구도 정확히 이게 뭔지 모르는, 그런 전형적인 예가 이 메타버스가 아닐까 생각한다. 좀 old school이라서 그런지, 메타버스라고 하면 ‘트론’이라는 영화가 계속 생각나는데, 난 게임 세상 속에서 살고 싶진 않다.

그런데도, Meta에 대해선 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욕을 엄청 먹고 있긴 하지만, 어쨌든 페이스북은 Web 2.0을 만든 회사이고, Web 3.0의 헤게모니를 확실히 장악하기 위해서, 사명까지 변경하면서 대단한 의지와 투자를 보이고 있다. 물론, 메타버스라는게 실현되지 않고, 완전히 망할 수도 있지만, 이런 새로운 분야는 주로 몇몇 앞서가는 기업의 선행 투자가 충분히 투입되면, 관심이 생기고, 돈과 관심이 있는 곳에 좋은 인재들이 모이게 된다. 그러면, 분명히 메타버스를 잘 모르고, 이걸 잘 믿지 않았던 분들도, “혹시나?” , “우리만 뒤처지는 거 아냐?”라는 의심과 두려움 때문에 관심을 두게 되고 이 관심은 자연스럽게 다시 투자로 이어진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정말로 새로운 미래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 모든 것의 시작이 Meta.com이라고 본다.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 그리고 엄청난 돈과 시간이 낭비된 후에 실현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미래가 오길 기다리기보단, 미래를 스스로 만들겠다는 Meta의 의지만은 응원해주고 싶다.

성공으로 가는 계단

힘든 사업을 아주 오랫동안 하고 있는 친한 친구가 있다. 주위 사람들은 이 친구한테 그렇게 오래 했는데 시장의 반응도 신통치 않고, 돈도 잘 못 벌고 있으면, 그냥 안 되는 거니까 이만 접으라고 한 지 오래 됐다. 나도 뮤직쉐이크를 하지 않고, 스트롱을 하지 않았다면, 쓸데없는 짓 말고 그냥 포기하라고 했을 것이다. 하지만, 사업과 투자를 하면서 내가 배운 것이 하나 있다면, 사업과 인생은 어쩌면 내가 살아 있는 동안 이 세상에서 가장 오래 버티면서 참여해야 하는 장기전이고, 성공이라는것은 – 만약에 내 인생에 그런 게 있다면 – 겉으론 순간적인 것 같지만, 실제론 수년, 또는 수십 년의 아주 길고 지루한 순간들이 모이고, 여기에 운, 타이밍, 그리고 우연이라는 기폭제가 적용돼야지만 경험할 수 있는 그런 신기루와 같은 것이다.

이 친구가 항상 입버릇처럼 말하는 게 있는데, 그냥 사업을 아주 오래 해야 하는 장기전으로 보고 성공할 때까지 사업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말이다. 주로 술 먹으면서 우스개 안주로 하는 말이지만, 그동안 내가 만나왔던 수많은 회사와 창업가를 생각해보면, 이 말은 그렇게 우스갯소리만은 아니다. 일단 우리가 투자한 회사 중, 정말 오랫동안 바닥을 헤맸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이런 삽질과 틀린 판단이 충분히 쌓이면서 경험이 됐고, 이 경험이 항상 맞는 판단을 할 수 있게 하는 발판이 됐다. 그리고 이 발판 위에 운, 타이밍, 그리고 우연이 쌓이면서 엄청난 성공을 거둔 회사를 몇 번 직접 가까이서 봤기 때문에, 요샌 정말로 그냥 성공할 때까지 하면 언젠간 성공할 수 있다는 말을 본능적으로 믿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우리가 투자하지 않았지만, 성공한 창업가들도 성공까지의 과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걸 잘 알고 있다.

그런데도, 미디어와 소문을 통해서 우리 눈에 보이는 것과 귀에 들리는 것은 하루아침에 대박 난 사업가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사업을 해본 경험이 없거나, 인생 경험이 별로 없는 어린 친구들이 이런 이야기를 접하면, 정말로 성공은 소위 말하는 “신의 한 수”로 한 방에 달성 가능한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래서 단기간 안에 성공할 방법을 파는 사기꾼들이 널려있고, 이런 내용에 대한 대중의 식욕은 항상 왕성한 것 같다. 너무 많은 사람이 벼락 성공을 갈망하고, 이게 마치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사업에서 100% 확실할 건 없다. 그냥 그때의 상황과 내가 가진 자원에 따라서 모든 게 유기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가 100% 확신을 갖고 말 할 수 있는 건,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성공은 이 세상에 없다는 것이다.

성공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는 없다. 단지 오르고, 오르고, 계속 올라가도 끝이 보이지 않는 계단만 있을 뿐이다. 그냥 꼭대기에 도달할 때까지 이 계단을 올라야 한다. 이게 싫으면 사업 안 하고, 성공을 안 바라면 된다.

뒷바람과 앞바람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의 최대 수혜자 중 하나가 바로 골프 관련 산업이 아닐까 생각한다. 한국은 골프를 잘하는 나라이고, 골프는 한국에서 항상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더 인기 있는 게임이 됐고, 여성 골퍼와 젊은 골퍼 덕분에 새로운 성장의 국면을 맞이하게 된 것 같다. 미국은 더 드라마틱하다. MZ 세대에게 골프는 너무 지루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게임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미국의 골프 산업은 수년 동안 하락세였지만, 요샌 미국도 주말엔 골프장 예약하는 게 정말 어렵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실내가 아닌, 넓은 자연에서 하는 운동이라서 골프는 본인의 실력 외에도 여러 가지 외부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바람이 그 대표적인 요소이다. 앞바람이 불면 스윙에 변화를 주거나 – 세게 또는 탄도를 낮게, 등등 – 또는 더 긴 골프채를 잡는다. 반대로 뒷바람이 불면, 스윙을 작게 하거나 평소보다 짧은 채를 잡는다. 이렇게 아마추어 골퍼든, 프로 골퍼든, 바람에 따라서 여러 가지 내부, 외부 요소에 변화를 준다.

내가 전에 몇 번 글을 쓴 적이 있는데, 비즈니스도 골프와 비슷한 점이 많은 것 같다.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환경이 아닌, 야생의 정글에서 사업을 하다 보면, 상상치도 못한 다양한 외부 요소와 장애물을 만나게 된다. 사업을 하면서 맞이하게 되는 앞바람은 경쟁과 규제가 대표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예상치 못한 앞바람을 만나는 창업가는, 마치 골퍼가 스윙과 도구를 바꿔서 환경에 자신을 적응시키고 변화하는 것처럼, 제품, 펀딩, 사람에 대한 전략 등을 계속 수정하면서 새로운 시도를 한다. 어떤 건 바뀐 환경에 잘 맞아서 그때의 위기를 잘 모면하지만, 많은 경우, 잘 안 된다. 그러면, 다시 또 여러 가지 변화를 주면서 이 앞바람을 뚫고 가기 위한 노력을 한다. 그러다가 바람이 잠잠해질 수도 있지만, 더 강해질 수도 있어서, 그때마다 계속 창의적으로 대응을 해야 한다.

반면에, 사업을 하면서 만나는 뒷바람은 흔치 않다. 우리 투자사를 보면, 뭔가 기술적인 혁신을 경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좋은 기술은 사업의 뒷바람 역할을 해줄 수가 있다. 동일한 전략과 노력을 구사하지만, 뒷바람의 효과로 더 멀리 갈 수가 있다. 물론, 이런 호재를 맞이했을 때도 위에서 말한 제품, 펀딩, 사람에 대한 전략에 수정이 필요하기도 하다.

제일 바보 같은 건,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데, 계속 같은 스윙과 클럽을 고집하는 골퍼, 그리고 계속 같은 전략을 고수하는 창업가이다. 또는, 바람의 방향을 잘 못 읽고, 앞바람인데 오히려 클럽을 짧게 잡고, 뒷바람인데 오히려 클럽을 길게 잡는 것도 흔한 실수 중 하나이다.

어쨌든 제일 중요한 건,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계속 민첩하게 잘 대응하고 반응하는 것이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생각 – 2021년 10월

10월의 가장 큰 뉴스는 아마도 최초의 비트코인 ETF 승인이 아닐까 싶다. 비트코인 ETF는 2013년도부터 SEC에 지속적으로 요청됐었는데 – 아마도 윙클보스 형제가 가장 먼저 시도했을것이다 – 그때마다 여러 가지 이유로 거절됐다. 처음엔 그냥 고려도 안 되고 바로 거절됐지만, 승인 문턱까지 갔다가 안 된 경우도 여러 번 있었다. 국민의 자산 보호를 위한 안전성이 그 이유로 항상 거론됐는데, 내가 보기엔 그건 그냥 핑계이고, 그때마다 다양한 이해관계와 세력의 충돌이 일어난 게 아닐까 생각된다.

가장 먼저 승인된 건 ProShares Bitcoin Strategy ETF (BITO)인데, 시장의 반응은 기대 이상으로 너무 좋다. 거래 시작하자마자 20분만에 $280M 이상이 거래됐고, 하루만에 거래량 $1B에 도달했다. ETF로서는 완전 역대급 기록이다. 나는 솔직히 비트코인 ETF를 절대로 사지 않고, 그냥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을 직접 살 텐데, 다양한 이해관계와 다양한 시각을 가진 투자자들이 있고, 어쨌든 시장은 비트코인 ETF를 환영하는 것 같다. 비트코인 ETF의 승인이 갖는 더 큰 의미는, 암호화폐가 이제 메인스트림 시장에 한 발 더 가까이 왔다는 거라고 생각한다. 이번 ETF 승인을 미디어에서 상당히 크게 조명했고, ETF와 비트코인이 뭔지 모르던 대중의 관심을 끌어들이는데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결과로 더 많은 일반인들이 비트코인을 알게 됐고, 비트코인을 직접 사거나 ETF를 통해서 비트코인에 간접적으로 노출되면서 이 시장은 이제 더 커질 것이다.

이미 비트코인 가격은 이런 시장의 동향을 반영하고 있다. 6만 달러를 넘었고, 한때는 $66,000로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물론, 비트코인 가격은 앞으로도 계속 FUD를 반영하면서 요동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가격이 단일 척도가 될 순 없겠지만, 그동안 수많은 압박과 규제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잡초같이 버티면서 죽지 않고 계속 커지는 걸 보면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 정말 비트코인을 시작으로 많은 디지털 자산이 메인스트림 시장으로 진입하는 건 시간문제일 거라는 확신이 든다.

호기심, 기술, 그리고 발전

날이 갈수록 정신없고, 복잡해지는 이 세상에서 나는 가끔 스스로 이 질문을 한다. “기술의 진보로 인해서 인류가 정말로 발전하고 있긴 한 건가?”

기술에 투자하고, 세상을 조금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창업가들에게 투자하는 사람으로서 “YES”라는 답을 바로 해야 할 것 같지만, 오히려 더 곰곰이 생각하고 고민하게 만드는 질문이다. 가끔, 나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의 삶이 더 복잡해져서 삶의 질 자체가 떨어졌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메일도 없고 스마트폰도 없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지만, 결론은 기술로 인해서 인류가 발전했고, 앞으로도 계속 발전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우리가 현재 누리고 있는 눈부신 기술의 발전의 시작은 호기심이라고들 한다. “왜 이게 안 될까?” , “왜 항상 우린 이런 방식으로 일을 해야 할까. 다른 방법은 없을까?” 뭐 이런 종류의 질문으로 시작한 호기심으로 인해 다양한 고민과 연구가 시작되고, 이런 고민과 연구가 엄청난 기술과 비즈니스가 되면서, 이로 인해 세상이 더 좋은 곳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데에는 나도 동의한다. 대부분의 창업 동기, 그리고 창업가와 일반인들을 구분하는 큰 특징 중 하나가 이 호기심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호기심이 비즈니스가 되어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선, 기술이 필수라고 생각해서, 반대로 기술이 없다면, 호기심 자체가 생기기 어렵다는 생각도 요샌 하고 있다. 얼마 전에 내가 이런 기사를 읽었는데, 매우 흥미롭게 봤다. Biological reprogramming이라는 시도를 하는 스타트업에 대한 기사인데, 생명공학을 이용해서 사람의 세포를 프로그래밍하고 수정해서 수명을 연장하는, 마치 공상과학 소설에서나 나올법한 그런 일을 하는 회사에 대한 내용이다. 그런데 이 회사의 창업가들이 세포를 새로 프로그래밍해서 인간의 수명을 무한연장시킬 수 없겠냐는 호기심을 갖게 된 동기는 바로 이걸 가능케 하는 기술이 어느 정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과거에 공상과학소설 작가들도 호기심과 상상력이 있었지만, 이런 시도를 실제로 하지 못하고 글로만 표현했던 이유는 당시엔 기술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젠 정말 호기심과 상상력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실제로 시도를 할 수 있는데, 그 정도로 기술이 뒷받침해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기술이 계속 발전하면서, 우리가 그동안 상상만 해왔던 미래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호기심이 계속 생길 것이고, 호기심과 기술이 서로에게 플라이휠 같은 영향을 미치면서 계속 인류는 발전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