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바이블 QA

글로벌 벤치마크

투자자들이 스타트업을 검토할 때 물어보는 공통 질문들이 몇 가지가 있는데, 이 중 하나가 글로벌 벤치마크에 대한 질문이다. 특정 스타트업이 혹시 벤치마킹하고 있는, 이미 시장에서 잘하는 서비스나 제품이 있는지, 그리고 조금 더 확장해서 국내 벤치마크도 좋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잘하는 글로벌 벤치마크가 있는지를 VC들이 자주 물어본다.

이 질문을 하는 배경은 대략 다음과 같다. 물론, 이건 개인적인 생각이라서 투자자마다 다를 수 있다.

일단 투자자에게 서비스가 생소해서 시장성이 있는지, 시장성이 있어도 어느 정도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 잘 파악할 수 없을 때 이런 질문을 많이 한다. 만약에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이미 이와 비슷한 제품이 존재하고, 잘 사업하고 있다면, 투자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장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어느 정도 해결해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내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면, 우리가 투자한 운전선생이라는 서비스가 있다. 주변의 운전학원을 찾고 예약하는 서비스인데, 겉으로만 보면 시장성에 대해선 의문을 품게 하는 제품일 수도 있다. 나도 처음엔 갸우뚱했지만, 창업가를 만나고 너무 좋았고, 이미 프랑스에 이와 비슷한 사업을 하는 Ornika라는 유니콘 스타트업이 있다는 걸 확인한 후에는 앞으로 운전선생이 어떻게 발전하고 성장하면 될지에 대한 조금 더 뚜렷한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위에서 내가 검토하는 서비스의 시장성과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어느 정도”만 해결해 줄 수 있다고 한 이유는, 글로벌 벤치마크가 존재해도 그 서비스를 대부분 국내 VC들이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그 벤치마크 서비스를 VC들이 연구하고 공부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프랑스에서 잘 된다고 한국에서 잘 된다는 보장도 전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대형 글로벌 서비스가 있으면 VC들의 검토가 전반적으로 좀 쉬워지긴 한다.

이 포인트랑 직결되는 이야기인데, 이렇게 이미 비슷한 서비스를 잘하는 글로벌 유니콘 기업이 있으면, VC들의 내부 투심위에서 이 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승인받는 게 조금은 수월해진다. 아무래도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거나, 아직 그 어떤 시장에서도 증명되지 않은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승인하기보단, 이미 비슷한 사업으로 유니콘이 된 글로벌 벤치마크 스타트업이 존재하고, 이 회사가 특히나 Sequoia, a16z나 Benchmark 같은 곳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면, 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투심위에서 승인받는 게 더 쉽다. “이미 유럽에는 이 컨셉을 기반으로 3조짜리 유니콘을 만든 회사가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최소 1조 원짜리 비즈니스는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라는 주장을 그냥 상상력을 동원한 게 아니라 어느 정도 현실감을 동원했기 때문에 담당 심사역도 더 자신 있게 이야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벤치마크가 있는지, 이 회사는 어떤 식으로 성장했는지, 어떤 곳으로부터 투자받았는지, 제품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 이런 걸 창업가가 알고 있다면, 이분이 시장 조사를 나름 면밀하게 했다는 의미이고, 이런 태도는 투자자들에게 조금 더 믿음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이런 서비스의 존재에 대한 기사를 읽었는지, 아니면 정말로 본인들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유니콘 기업을 A to Z로 알고 있는지는 자세와 태도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쓴 글을 다시 읽어보니, 글로벌 벤치마크 유니콘 스타트업이 있고, 이 스타트업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면 투자받을 확률이 더 높다는 내용 같은데, 그건 아니다. 외국에서 아무리 우리와 같은 서비스로 10조짜리 유니콘이 탄생했다고 해서 한국에서도 그 서비스가 잘 된다는 보장은 전혀 없다. 결국엔 다른 팀이 다른 시장에서 비슷한 서비스를 하는 건데, 이런 환경에는 너무나 많은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글로벌 벤치마크의 존재 여부는 투자의 가능성이나 성공의 가능성과 비례하지 않는다. 하지만, 창업가가 눈과 귀를 활짝 열어놓고 시장을 계속 보고 있다는 면에는 긍정적인 시그널을 VC들에게 보낼 수 있다.

복리효과

며칠 전에 프라이머 23기 워크숍에 잠깐 참석했다. 마지막 날엔 프라이머 파트너들과의 Q&A 세션이 항상 있는데, 이번에도 다른 프라이머 파트너분들과 지금까지 우리가 보고 느끼고 경험한 내용을 진심을 다해서, 이 힘든 시기에 창업해서 험난한 여정을 떠나는 창업가분들과 공유했다.

이 세션의 마무리 부분에선 각 파트너분들이 프라이머 창업가분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을 짧게 하는데 나는 매번 똑같은 걸 강조하곤 한다. 그건 항상 “복리(compounding)의 힘을 믿고, 복리의 힘을 잘 활용하세요.”이다. 실은 이 말은 프라이머 창업가분들뿐만 아니라 모든 창업가,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내 주변 모든 분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다.

일주일에 20시간을 일 한다고 치자. 아마도 일주일에 20시간만 일하는 창업가들은 없겠지만. 그러면 월요일 하루만 20시간 일하고, 화 ~ 금 쉬는 것 보단, 월 ~ 금 매일 4시간을 정확하게 나눠서 일하는 게 훨씬 좋다. 이 루틴을 1주, 5주, 50주, 100주, 1,000주 반복한 후에 그 결과를 한 번에 몰아서 일했을 때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하늘과 땅의 차이가 날 것이다. 오랜 기간 동안 똑같은 일을 꾸준히, 그리고 규칙적으로 반복하다 보면 복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하루에 20시간 일하면 일주일 동안의 생산성은 20시간이지만, 5일 동안 매일 4시간씩 일하면 20시간 이상의 생산성을 경험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매일 같은 일을 반복하다 보면 이 일이 습관이 되면서 자기만의 루틴이 만들어지는데, 루틴이 고도화되면 일반인을 전문가의 영역까지 올려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린 이 현상을 모든 분야에서 관찰할 수 있고, 나는 루틴의 동물인 창업가와 그렇지 않은 분들을 꽤 많이 관찰하면서 성공하는 창업가들은 자기만의 루틴을 통해서 복리 효과를 잘 활용하는 분들이라는 걸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위의 예시에서는 하루 20시간을 일하면 일주일에 한 번의 루틴이 만들어지지만, 5일을 4시간씩 일하면 5번의 루틴이 반복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복리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꾸준함이다. 꾸준하지 않으면, 반복하지 못하고, 반복하지 못하면, 루틴을 만들 수 없고, 루틴화 되지 않으면 복리의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AI 스타트업 바이블

우리 투자사 마인드로직은 GPT 기반의 대화형 AI 에이전트를 기업에 제공해 주고 있다. 많은 분들이 이미 이런 컨셉에 익숙할 텐데, 웬만한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간단한 질문에 답을 해줄 수 있는 챗봇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런 구시대의 챗봇은 제대로 된 답변을 전혀 못 하지만, 마인드로직의 ChatAPI는 높은 IQ의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답변을 제공하는 새로운 챗봇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솔직히 나는 AI 전문가도 아니고, 그동안 AI 회사들이 너무 과대평가 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일인이었다. 기술을 완벽하게 모르기 때문일 수도 있는데, 요새 이 좋지 않은 경기 속에서 AI 회사들이 투자받는 금액과 밸류에이션을 보면, 이 분야에 역시 너무 많은 거품이 있고, 이 거품이 좀 꺼지면 AI 회사들에 본격적으로 투자 검토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렇다고 OpenAI나 Gen AI를 부정하는 건 아니다. 기술을 완벽하게 모르는 나 같은 사람이 봐도 이들이 하는 작업은 매우 놀랍고, 10년에 한 번씩 오는 큰 흐름의 기술 주기를 봤을 때, 앞으로 10년 동안은 AI가 우리 삶의 많은걸 지배하고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10년 전에 봤던 공상과학 영화 속의 머나먼 미래가 이미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이 됐고, 이런 흐름을 가장 잘 타고 있는 기업 중 하나인 엔비디아의 젠슨 황이 전에 했던 이 말이 당시엔 그냥 그렇다고 생각했지만, 요샌 정말 소름이 끼칠 정도로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If the last 20 years was amazing, the next 20 will seem nothing short of science fiction.( 지난 20년이 어메이징했다면, 다음 20년은 공상과학과 같을 것입니다.)”

우리가 투자한 회사의 제품을 개밥 먹기를 하는 차원에서, Gen AI를 계속 공부하는 차원에서, 그리고 내 편의를 위해서 마인드로직의 ChatAPI를 이 블로그에 적용해 봤다. 블로그 하단의 챗 아이콘을 클릭하면 AI 스타트업 바이블이 이 블로그에 대해 궁금한 점들을 모두 다 답변해 준다. 물론, 그 답변이 맘에 드냐, 안 드냐는 각자 판단해야 하지만.

“안녕하세요. 저는 스타트업 바이블 저자 배기홍보다 더 똑똑하고 투자 경험이 많은 인공지능 스타트업 바이블입니다. 이 블로그에 대해서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욕설은 거부합니다.”

모두 한번 사용해 보길 권장한다.

사람에 대한 타협은 없다

이 글에서 강조했듯이, 무에서 유를 만들고, 유에서 더 많은 유를 만드는 창업가의 필수 자질 중 하나는 유연함이다.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이 계획에 따라서 일을 진행하는 건 좋은 습관이고, 일 잘하는 사람들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이제 시작하는 스타트업에서는 이런 계획에 따라서 일을 진행하는 게 쉽지 않다. 그렇다고 계획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는 건 아니지만, 모든 예측이 빗나가는 상황에서 원계획에 집착하는 건 회사를 망하게 하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모든 가설은 대부분 틀리기 때문에, 예측과 예상을 하기보단, 그냥 그때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하고, 조금이라도 더 나은 결과를 위해서 타협해야 한다.

실은, 창업가들은 ‘타협’이라는 말을 정말 싫어한다. 전에 우리가 투자한 어떤 대표는 이 세상에서 본인이 가장 싫어하는 말이 타협이라고 했는데, 남들이 만들어 놓은 틀에서 살지 않고, 본인이 만든 틀로 남을 인도하려고 창업한 분들이 왜 타협이라는 말을 증오하는진 충분히 이해가 간다. 하지만, 싫든 좋든 스타트업을 운영하거나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은 그 어떤 것과도 타협하면서 일을 진행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

하지만, 내가 창업가분들에게 세상 모든 것과 타협해도, 이거 하나는 절대로 타협하면 안 된다고 이야기하는데, 바로 ‘사람’이다. 모든 것에 대해서 유연해야 하고, 모든 것과 타협해도, 절대로 사람에 관해서는 타협하면 안 된다. 많은 경우에 우린 제품, 수치, 시장 등을 너무 과대평가하고 이 모든 걸 실제로 만들고 가능케 하는 사람을 과소평가하는데 실은 모든 걸 이 반대로 봐야 한다. 사람을 가장 과대평가해야 한다.

사람 채용하는 게 너무 힘드니까, 어느 정도 맘에 드는 사람이 있으면, 나머지는 회사에서 부족한 부분을 메꿀 수 있다는 논리로 채용을 진행하는데, 특히 초기 스타트업엔 이게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대기업이라면 조금 부족한 부분을 회사의 시스템이 채워주는 방법이 잘 작동하지만, 초기 스타트업은 초기 팀이 회사의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므로, 오히려 이 반대이다. 회사의 부족한 부분을 사람들이 채워줘야 하고, 이렇게 해서 회사의 시스템이 만들어져야지만 나중에 회사가 사람들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 줄 수 있다. 그래서 우리 투자사 대표들에게 나는 100% 맘에 들지 않으면 되도록 채용하지 말라고 한다. 사람에 대해서는 타협하면 안 된다.

같이 일하는 동료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같이 일을 좀 해보니까, 이 사람이 좀 아니다 싶으면 그 느낌이 주로 맞다. 조금 더 두고 봐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런 분들이 회사에 더 오래 있을수록 팀워크는 더 망가진다. 이런 분들은 바로 내보내는 게 맞다. 약간 다른 의미지만, 이 경우에도 사람에 대해선 타협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스타트업 할 때 타협은 주로 좋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사람에 대한 타협은 절대로 하면 안 된다.

경계선

지난주에 창업, 번아웃, 자존감, 그리고 운동에 대해서 몇 자 적어봤다. 실은, 이 글에서는 매우 단순하게 힘들고 자존감이 떨어지면, 몸을 격렬하게 움직이라고 했는데, 현실은 이보단 훨씬 복잡하다. 우리 몸은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자존감이 조금 떨어진다고 운동만 하면 다시 원상태로 100% 복귀되는 건 아니다.

나도 과거에 뮤직쉐이크를 하면서 2010년 전후로 이런 번아웃과 공황장애를 처음으로 직접 경험했는데, 처음엔 내 몸이 이걸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생전 처음 느껴보는 감정과 고통이었다. 당시엔 이런 현상을 지금같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분위기도 아니었고,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면 오히려 이상한 사람 취급을 했기 때문에, 내 몸과 정신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상당히 당황스러웠다.

이런 일을 경험하기 전에는 나는 스스로 불도저라고 생각했고, 내 체력과 정신력은 절대로 고갈되지 않는 무한자원이라고 바보같이 믿고 있었다. 이런 어리석은 믿음 때문에 한 번 켜진 몸의 스위치를 끄지 않았고, 너무 오랫동안 스위치가 켜진 채 혹사당한 몸과 정신이 제대로 고장 났던 것이다. 내가 이렇게 나약한가라는 원망을 하면서 오만 감정이 교차했고, 난생처음 내 몸과 정신을 컨트롤할 수 없어서 너무 혼란스럽고 당황스러웠다. 당연히 자존감은 바닥을 쳤고 몇 달 동안 아무것도 제대로 못 했던 때가 있었다.

이때 내가 안정을 찾고, 다시 자존감을 서서히 회복할 수 있었던 방법이 몇 가지 있다. 너무 부끄럽고 싫었지만, 나랑 가까운 사람들에게 내 몸이 좀 망가졌다고 이야기했다. 그래서 당분간 쉬면서 체력과 정신력을 주워 담아야겠고, 한동안 잠수타야겠으니 내가 그동안 하던 일을 맡아달라는 부탁을 했다. 가장 먼저 와이프에게 말했고, 그리고 뮤직쉐이크 동료분들에게 말했다. 그런데 내 예상과는 달리 – 나는 남들이 나를 나약하고 실망스러운 인간이라고 생각할 줄 알았다 – 모두 다 너무 따뜻하게 내 이야기를 들어줬고, 공감했고, 나에게 아주 용감하다고 하면서 격려해 줬다.

그리고 계속 몸을 움직였다. 격렬한 운동을 시작했고, 마일로랑 매일 산책을 했다. 실은, 이때 나랑 마일로랑 많은 본딩을 했고, 나랑 많은 이야기를 했다.(나 혼자 중얼거렸지만) 마일로는 이젠 죽었지만, 내 은인이기도 하다. 너무 하기 싫어도 그냥 강제로 매일 무거운 웨이트를 들었다. 그리고, 해가 떠오르는 걸 보면서 매일 새벽에 뛰었다. 이걸 몇 달 반복하니까, 다시 정상 생활로 서서히 돌아갈 수 있는 자신감과 자존감이 몸 안에서 생기기 시작했다.

그런데 그동안 내가 쭈욱 느껴온 건, 창업이든 투자든 뭐라도 너무 과하게 열심히 하면 이런 과정이 계속 반복되는 것 같다. 그리고 내가 내린 결론은 결국 우린 모두 번아웃과 공황장애와 함께 살아야 하고,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선을 왔다 갔다 하면서 몸이 그때 상황에 맞춰 스스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학습과 훈련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번아웃을 완전히 예방할 방법이 있으면 좋겠지만, 우리가 몸담은 이 빠르게 변하고 스트레스 가득한 스타트업 분야에서 이런 방법이 존재하는진 잘 모르겠다. 오히려, 번아웃과 공황장애를 완전히 예방할 순 없지만,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선을 아슬아슬하게 줄타기 하면서 내 몸에서 어떤 시그널들이 이런 현상에 대해 경고하는지 꾸준히 스스로를 학습시키는 게 효과적인 방법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