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ft VC

VC들은 기본적으로 남의 돈을 관리해주는 사람들이다(물론, 자기 돈으로만 투자하는 부러운 VC도 있다). 그래서 실은 모든 걸 굉장히 냉정하고 냉철하게 보고,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좋은 기술, 재미있는 기술, 좋은 팀에 투자를 하는 거지만, 궁극적으로 우리는 펀드 출자자분들한테 원금뿐만 아니라, 이보다 훨씬 더 높은 배수의 자금을 돌려줘야 할 책임이 있으므로, 결국에 “이 회사에 지금 100원을 투자하면, 이게 몇 년 후에는 얼마가 될 수 있을까?”를 생각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런지, 왠지 ‘투자자’라는 말 자체가 굉장히 차갑고, 욕심 많고, 인간미 없고, 찔러도 피 한 방울 나오지 않을 것만 같은 이미지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고, 내가 아는 어떤 투자자들은 정말로 이렇다. 실은, 나도 한때는 제대도 된 투자를 하려면, 감성적인 면은 철저히 배제하고, 이성으로만 모든 걸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펀드의 수익만을 생각하면, 잘하는 회사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상대적으로 못 하는 회사에는 시간을 많이 투자하지 말고, 망할 거 같은 회사는 그냥 과감하게 버리는, 이른바 성공적인 선배 투자자들이 말하는 double down을 해야 한다는 걸 잘 알고 있다.

우리도 이제 투자한 회사가 많아져서, 회사들을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가 있다. 너무나 잘하고 있는 회사, 고생하고 있지만, 가능성이 보이는 회사, 그리고 고생하고 있고 망하는 게 거의 확실한 회사, 이렇게 나눌 수가 있다. 펀드의 수익률만 고려한다면, 잘하고 있는 회사에 더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하고, 가능성이 보이는 회사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 그리고 – 이 회사들에는 정말 미안한 이야기지만 – 망할 회사들은 그냥 포기해야 한다. 아무리 노력해도 이 회사들은 대부분 잘 안될 게 거의 확실하기 때문이다.

펀드를 계속 만들어서, 투자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이런 ‘냉정한’ VC가 된다는 조언을 많이 들었는데, 나는 요새 오히려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가는 거 같다. 워낙 많은 창업가를 만나는데, 대부분 힘들어하고, 밖에서 내가 말은 안 하지만, 모두가 나름대로 감동적인 스토리들이 하나씩 있어서 그런지, 이런 분들과 이야기를 많이 할수록, 이성보다는 감성이 많이 발달하는 거 같다. 요새 나를 오랜만에 본 분들은 내가 많이 유해졌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아마도 여기에는 이런 배경이 있는 거 같다.

전에 Fred Wilson도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VC 투자의 특성상 극소수의 잘 되는 회사가 펀드의 수익률을 좌지우지 하므로, 다수의 회사가 망해도, 이 망하는 회사는 펀드 수익률에는 거의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래서 이성적으로 판단을 해보면, VC 한테 이런 망하는 회사들은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이 망하는 회사들의 창업가와 가족한테 이 회사는 인생 그 자체이자 전부이다. VC의 수익률과는 눈곱만큼 상관 없을 수 있지만, 이들의 인생에는 큰 영향을 미치고, 훌륭한 VC이기 전에, 제대로 된 인간이라면 이런 회사들에 신경을 써야 한다. 한 배를 탔다는건 이런 의미인 거 같다. 다행인 건, 내가 아는 많은 VC가 투자자 이전에 훌륭한 인간들이라는 점이다.

생존과 밸류에이션

snail-graph-slow얼마 전에 구글캠퍼스 카페에서 정말 오랜만에 어떤 창업가를 만났다. 한 2년 만에 만났나? 내 기억으로는 당시에는 내가 큰 흥미를 갖지 않았던 비즈니스를 하고 있었는데, 다행인지 불행인지는 모르겠지만, 아직도 같은 비즈니스를 하고 있었다. 전형적으로 조금 애매하다고 할 수 있는 비즈니스인데, 아예 돈을 못 버는 건 아니지만, 성장이 굉장히 더디고(또는, 거의 성장하지 않는다고 해도 될 듯), product/market fit을 찾는데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릴 수 있는 비즈니스라고 판단을 했다. 물론, 찾기 전에 돈이 떨어져서 회사가 망할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2년 동안 회사는 잘 버틴 거 같다. 그것도 팀원이 외주나 정부 프로젝트를 한 것도 아니고, 계속 왔다 갔다는 했지만, 그래도 본업을 통해 간신히 먹고 살 정도의 매출을 만들면서 생존하고 있었다. 여기서 일단 대표이사에게는 정말 축하한다는 진심의 말을 전했다. 돈 없는 스타트업이 2년 동안 죽지 않고 살아남는 거 자체가 기적 같은 일이고, 매출을 만들고 있다는 것도 대단하기 때문이다. 이 분이 “우린 오랫동안 살아남았으니까 투자 받을 때 밸류에이션이 더 높아야 하지 않을까요?”라는 이야기를 했는데, 이 말에 대해서 나중에 조금 생각을 해봤다.

실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살아남은 거 자체에 대해서는 정말로 높은 존경심을 표시하고 싶다. 회사의 객관적인 밸류에이션도 이런 점을 고려해보면, 높게 줄 수 있다고도 생각한다. 밸류에이션에는 창업자와 창업팀의 자질도 참작되어야 하고, 이들의 끈기와 바퀴벌레 근성은 자질의 큰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런 각도에서 보면, 오랫동안 죽지 않고, 시장에서 버틴 것만으로도 이 회사의 가치는 높아야 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특히, 유니콘 성장에 익숙한 우리 같은 VC들을 설득하기에는 생존만으로는 힘들다. 높은 밸류에이션을 위해서는 ‘성장’이 필요하다. 실은 내가 아는 대부분의 미국 VC들은 “내가 아는 유니콘 기업 중, 창업 초기에 J 커브를 그리면서 미친 성장을 하지 않았던 스타트업은 없었다”라는 말을 하는데, 이 글 초반에 언급한 회사는 이 논리로는 절대로 큰 회사가 될 수 없고,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을 수가 없다. 그러므로 오랜 시간 동안 살아만 남았고, 성장이 없거나, 또는 굉장히 더디게 성장을(=수평선) 하는 회사는 오히려 낮은 밸류에이션을 받을 확률이 더 높다.

나도 투자자이다. 그리고, 나도 유니콘 회사에 투자하고 싶지만, 큰 VC와는 조금은 다르게 본다. 일단, 한 분야에서 아주 오랫동안 같은 비즈니스를 하면서 살아남는 창업가들을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한다. 이미 이 포스팅을 통해서 밝혔듯이, 한 분야만 10년 이상 파고들어 가서 연구하고 고민한 창업가들은 남이 보지 못한 통찰력을 가진다는 걸 나는 믿는다. 하지만, 꾸준한 성장은 있어야 한다. 성장이 없는 버티기는, 살아 있지만, 서서히 죽음으로 가는 길이다. J 커브는 아니더라도, 오래 버틴 만큼 남보다 뭔가를 알고 있다는 걸 증명할 수 있는 성장이 있어야지만, 밸류에이션에 대해서 이야기라도 할 수 있다. 그 성장은 1%도 좋고, 10%도 좋다.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성장이 가능하다면.

그냥 생존하는거와, 더디지만 꾸준히 성장하는 거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다.

<이미지 출처 = BetaNews>

한국 대기업은 스타트업을 죽이는가?

이거 참 민감하고, 의견이 가지각색인 주제라서, 실은 많은 분이 나랑 동의하지 않을 거라는 건 잘 안다. 요새 가는 곳마다 이와 비슷한 질문을 받고, 항상 같은 답변을 하는 나는 맹비난을 받는데, 그럼에도 불구하는 내 생각은 절대 다르지 않다.

한국의 exit 시장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다 보면, 좋은 이야기가 나올 수가 없다. 일단 exit 사례가 별로 없고, 우리가 매체를 통해서 접하는 수천억 원 또는 수조 원짜리의 exit은 – IPO보다는 인수 – 아직은 남의 나라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창업가의 수준이나, 한국 스타트업의 서비스나 제품의 수준은 시간이 갈수록 개선되고 있는데, 왜 높은 가치에 인수되는 성공스토리가 안 만들어지고 있느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다 보면 인수를 해야 하는 대기업이 오히려 스타트업을 죽이고 있다는 쪽으로 자연스럽게 대화가 흘러간다.

물론, 선례들이 많으므로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삼성이 오랫동안 같이 일해왔던 협력업체의 기술을 카피하면서, 중소기업이 망한 사례나, 네이버가 작은 스타트업의 서비스를 그대로 베껴서 욕을 먹은 사건들은 누구나 다 하나 정도는 기억할 것이다. 미국은 대기업이 스타트업을 활발하게, 아주 높은 가격에 인수하는데, 왜 한국 대기업은 항상, “저거 우리가 직접 하자”라는 마인드를 갖고 스타트업을 죽이는가에 대한 열띤 토론이 벌어지는 공적, 사적 자리에 있어 본 경험이 나도 여러 번 있다. 그리고 여기서 항상 내 생각을 물어본다.

실은, 나는 이걸 조금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다. 대기업이 작은 회사의 서비스를 직접 카피하는 건 실은 미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 한국만큼 자주 일어나거나, 오히려 더 많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자유롭게 경쟁하는 환경에서 대기업이라고 작은 기업이 하는걸 따라 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대기업도 바보가 아닌 이상, 새로운 분야로 진출할 때 본인들이 직접 하는 거랑 기존 회사를 인수하는 걸 여러모로 따지면서 잘 검토한다. 그리고 인수하는 거보다 직접 하는 게 경제적이나 전략적인 면에서 더 낫다고 판단되면, 직접 팀을 만들어서 이 분야로 들어온다. 새로운 분야로 들어올 때, 이 분야에서 이미 비즈니스를 하는 회사가 있다면, 당연히 그 회사의 서비스를 벤치마킹하고, 심한 경우 아예 카피해버린다.

여기에 대한 내 생각은….작은 스타트업이 정말로 좋은 제품을 만들어서 고객들을 매료시키고 있다면, 대기업이 아무리 막강한 화력을 갖고 공격을 해도, 절대로 이길 수 없다는 것이다. 제품의 껍데기는 카피할 수 있지만, 정말로 잘 만든 서비스라면 제품 내부에 녹아들어 간 수만 번의 iteration과 사용자 경험에 대한 고민은 돈만 있다고 단시간 내에 따라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대기업이 작은 스타트업보다 단시간 내에 더 좋은 서비스를 만들었다면, 애초부터 그 스타트업의 제품은 고객에게 큰 감동이나 유용성을 제공하지 못 했다는 게 내 지론이다.

얼마 전에도 나는 이와 비슷한 말을 했는데, 청중으로부터 비난을 받은 기억이 난다. “한국 스타트업에 대한 애정을 가진 줄 알았다” , “한국의 생태계를 강화하고 싶어 하는 줄 알았는데 정말 실망이다” , “한국에 대해서 너무 모르는 거 아니냐” 등 다양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도 내 생각은 변함없다. 수천억 원에 회사를 exit 하고 싶으면, 수천억 원 짜리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 그냥 돈 있는 회사가 베꼈는데, 우리 서비스보다 더 잘 만들 수 있다면, 이건 대기업이 우리를 죽이는 게 아니라, 어차피 결국엔 죽을 서비스를 우리가 만들고 있다고 생각하는 게 맞다. 그리고 한국 회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없다고 하시는 분들은….내가 전에 쓴 포스팅을 여기서 다시 소개하니, 이걸 읽어 보시면 조금은 다르게 보실지 모르겠다.

[과거글: 나는 좇밥 회사들에 투자한다]

얼마 전에 올린 ‘한국 대기업들도 할 말 많다‘라는 글에 대해서 논란도 많았고 예상치 못했던 코멘트들도 많이 달렸다. 솔직히 나는 이 글을 나쁜 의도 보다는 좋은 의도에서 썼는데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았던 분들도 많았나 보다. 전반적인 의견은 한국과 미국은 환경 자체가 다르므로 미국과 같은 exit을 한국에서 기대하는 건 말이 안 된다는 것이었다. 많은 댓글 중 솔직히 상당히 거슬렸던 내용이 있었는데, 여기서 한번 공유해 본다(내 블로그에 직접 올라온 거는 아니고 비석세스에 올라온 답글이다). 그런데 이 정도 소신으로 답글을 쓰시려면 왠만하면 ‘익명’이나 ‘가명’이 아닌 본명을 쓰라고 권장하고 싶다. 이딴 욕지거리를 익명으로 쓰는 사람들은 자기주장이 강하다기보다는 그냥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글을 읽어보면 기본적으로 그냥 너는 ‘미국 상황 잘모르는 병신’ ‘너는 자본주의 개념조차 모르는 jot밥’ ‘자유경쟁이 뭔지 모르는 개병신’ 이렇게 상대를 기본적으로 하대하고 글을 적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기업가 분이였는데 정말 큰 실망했습니다.

.중략.

미국식 자본주의 개념 많이 배우고 똑똑하셔서 좋으시겠습니다. 미국에서 창업 경험해보았고, 대 성공(?)은 모르겠으나 투자자로 활동하셔서 스타트업 평가하는 사회적 위치에 올라가셔서 좋으시겠습니다. 미국상황 잘 모르는 한국 스타트업에 ‘닥치고 개발해라’라고 좋은 말씀해주시면 ‘어익후’ ‘이런 좋은 말씀을’ 하고 립서비스 해주는 분들이 많아서 좋으시겠습니다.

.중략.

끝으로 배기홍님. 아무리 좆밥처럼 보이는 아시아 변방, 한국의 스타트업이라고 해도 인내심을 가지고 소통하시길 권합니다. 배기홍님이 좆밥처럼 생각한 한국 스타트업 중에서도 인고의 세월을 거쳐 훌륭한 기업들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얼마나 잘나셨는지 모르겠으나 겸손하시길 권합니다.

솔직히 난 이 분의 정확한 포인트를 잘 모르겠다. 그리고 이 분이 옳다 틀렸다는 것에 대해서는 판단하고 싶지도, 할 자격도 없다. 이건 각자의 판단에 맡기겠다. 어차피 우린 우리만의 의견이 모두 있다. 하지만, 한가지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고 싶다. 우리 Strong Ventures는 이 분이 말하는 ‘좇밥’같은 한국 회사들에 매우 활발하게 투자를 하고 있고, 어떻게 하면 이 좇밥같은 회사들이 빨리 글로벌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회사들로 성장할 수 있을까 대가리 터지게 1년 365일 고민하고 있다. 이 분이 말하는 “배기홍님이 좆밥처럼 생각한 한국 스타트업 중에서도 인고의 세월을 거쳐 훌륭한 기업들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 와, 제발 이렇게 되길, 그리고 제발 우리가 투자한 회사들이 이렇게 훌륭한 기업이 되길 나랑 내 파트너 John은 매일 기도하고 있다. 이 분은 뭘 하시는 분인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는 우리가 투자한 한국 스타트업들의 결과에 따라서 천국으로 날아갈 수도 있고 지옥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우리의 인생과 커리어가 이 분이 말하는 ‘좇밥’같은 한국 스타트업에 달려있는데 내가 과연 ‘너무 잘나서’ 한국 회사들이 잘 안 되길 바라는 사람으로 보이는 건가?

하지만, 현실은 냉정하다. 우리가 투자한 한국 회사들이 잘 돼야 하지만, 이 중 너무 매력적이어서 대기업이 당장 큰 금액에 인수를 고려하게끔 하는 회사들은 아직 없다. 아니 – 우리가 투자해서 어떻게 보면 우리 얼굴에 침 뱉기지만 – 대부분의 회사는 한참 멀었다. 그렇지만 좋은 사람들로 구성된 회사라면 항상 가능성은 존재하며, 우리 모두 창업팀들과 같이 재미있게 일하고 있다.

그래, 어쩌면 전에 쓴 글에서 내가 한국 스타트업들을 ‘좇밥’으로 보고 있다는 냄새를 풍겼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야말로 이 회사들에 활발하게 투자하고 같이 일하고 있고 한국 회사들이 잘되길 가장 바라는 사람 중 한 명이라는 점도 제발 기억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이 분은 이렇게 열정적으로 댓글을 쓸 수 있는 에너지를 제발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하시길. 벤처를 운영하시는 분이라면 자신의 회사가 ‘좇밥’이 되지 않도록 좋은 서비스를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다. 정말로.

안개 속에서 길 찾기

며칠 전에 Fred Wilson이 ‘Seeing Through The Fog‘라는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서 초기 투자자가 좋은 회사를 발견하는 건 마치 뿌연 안개 속에서 길을 찾는 거와 비슷하다는 이야기를 했고, 쉽진 않지만, 안개 속에서 좋은 회사를 찾을 수 있는 기술을 연마하기 위해서 본인이 수년 동안 해왔던 훈련방법을 공유했다.

좋은 포인트들이 있는데, 정리해보면, 공부, 집중, 직접사용해보기(개밥 먹기) 인 거 같다.
공부와 집중에 대해서는, 모든 분야에 투자하기보다는, 특정 섹터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하다 보면, 남들보다 그 분야의 많은 비즈니스를 접하게 되고 공부를 하므로, 이 시장의 원리와 특징에 대한 이해도를 훨씬 더 높일 수 있는 나만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이 섹터가 너무 좁을 필요는 없다. 가령, 프레드 윌슨은 본인은 오랫동안 ‘인터넷’이라는 분야에 투자했다고 한다). 또한, 이 특정 분야에 대해서는 가능한 많은 연구와 조사를 하라고 하는데, 책보다는 논문이나 백서를 많이 보라고 권장한다. 왜냐하면, 책이 출판될 정도면, 이미 그 기술이나 제품에 투자하기엔 늦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물론, 이 분야에서 일하고 있거나, 관련된 사람들을 자주 만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하다고 한다.

또 다른 포인트는, 바로 투자 원칙이다. 프레드 윌슨은, 특정 분야에 투자하기 전에, 투자자들은 자신만의 원칙과 철학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한다(영어로는 주로 이걸 ‘thesis’라고 하는데, 한글로는 ‘원칙’이나 ‘철학’이 가장 적합한 번역인 거 같다). 물론, 투자 철학이란 시대, 기술, 사람이 바뀌면서 같이 변하지만, 어쨌든 모든 투자자는 항상 이런 투자 철학이 있어야 하고, 특정 분야에 대한 특정 철학을 기반으로, 앞으로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지 충분히 공부하고 예측을 한 후에 투자를 시작해야 한다는 걸 강조한다.

철학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이게 명확해야지만, 잡음을 피할 수 있다고 그는 강조한다. 즉, 된장을 알아보는 자신만의 방법과 철학이 있어야지만, 똥과 된장을 구분할 수 있다는 말이다. 나도 전에 이와 비슷한 내용에 대해서 포스팅을 한 적이 있는데, 절대적으로 동의한다. 그냥 돈 될만한 회사에 투자하거나, 유행만을 좇다가는, 좋은 투자자가 되기는 힘들다는 걸 이 일을 하면 할수록 몸소 느끼고 있다. 자신만의 믿음과 철학이 확실하면, 이 믿음과 철학에 어긋나는 건 모두 다 잡음이 되며, 이렇게 하면서 자신의 focus를 더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Fred는 새로운 기술을 직접 사용해보라고 강조한다. 비트코인을 예로 들었는데, 실은 나도 비슷한 경험이 있다. 우리가 코빗에 최초로 투자하면서,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에 대해서 진지하게 공부하기 시작했고, 비트코인을 직접 사고팔기 시작했는데, 이는 다양한 암호화 화폐 기술에 대한 지식을 쌓으면서, 이 분야에 대한 시각을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앞으로 세상을 바꿀 새로운 기술은 끊임없이 나올 것이다. 이런 트렌드를 어떻게 남들보다 먼저 발견하고, 여기에 투자해서 좋은 회사를 만들면서 좋은 투자자로 성장할 것인가? 운이 좋아서 성공할 수도 있겠지만, 아마도 준비된 사람한테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지 않을까 싶다.

[生生MBA리포트] MBA와 스타트업 part.1 – 스타트업을 하려고 MBA 를 간다?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씨는 와튼스쿨(Wharton School) 졸업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고, 할 수도 없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마음에 스타트업을 향한 열망을 품고 계신 분 중에 MBA를 가야 하나 말아야 하나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이 주제에 대해서는 찬반이 크게 갈립니다. 사업을 경영한다는 것은, 그것도 세상에 없는 새로운 사업을 구상하고 전략을 세워 상품을 시장에 선보이고 투자를 받는다는 일련의 과정에는 너무나 많은 변수가 있기 마련이라 도저히 교실에 앉아서 배울 수 있는 게 아니다, 그리고 MBA 과정을 이수하는데 적게 잡아도 20만 불 가까이 드는데 차라리 이를 창업비용으로 활용하는 게 낫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반면에 MBA를 통해서 경영에 필수적인 지식을 쌓으면서 2년이라는 시간 동안 나와 마음이 맞는 파트너들을 찾고 그들과 함께 스타트업의 구상에 집중할 수 있다, 요즘은 학교들이 스타트업에 굉장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만큼 그러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MBA 네트워크를 통해서 스타트업 생태계의 VC나 스타트업 인큐베이터들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찬성의견도 있습니다. 물론, 현실적으로 비자의 문제가 존재하는 이상, 영주권자나 시민권자가 아닌 한국인이 학교를 졸업한 후에 미국에서 스타트업에 취업하거나 계속 운영하기는 쉬운 일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그런 지엽(이라고는 하나 가끔은 가장 큰 걸림돌이 되기도 하는)적인 문제를 차치하고, 오늘은 MBA들이 정말 스타트업을 하고 있는지,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08년 경제위기로 MBA의 가장 큰 feeder(비즈니스 스쿨로 진학하는 이들이 기존에 일했던 곳)이자 employer(MBA들이 졸업 후 일하는 곳)였던 finance가 시들해진 이후로, 그 빈자리를 무섭게 꿰찬 것은 tech industry와 스타트업 붐이었습니다. 두말할 것도 없이 tech가 강한 학교들 – Stanford, Haas, MIT – 등은 이 때문에 인기가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많은 학생이 ‘미래에 스타트업을 하겠다’라는 커리어 골을 에세이에 적고 MBA에 진학했습니다. 학교들은 앞다투어 Entrepreneurship Center를 만들고 학생들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MBA 학생 혹은 졸업생들은 창업할까요? 처음에는 창업할 생각으로 갔다고 해도, 졸업 후 남들처럼 큰 회사에 취직하면 받을 수 있는 평균 15만 불(한화로 거의 1.8억 원에 육박하는 액수)이라는 연봉을 보면 흔들리지 않을까요? 혹은 창업을 한다고 한들, MBA 샌님들은 필드에서 구르고 넘어지면서 온몸으로 배운 경쟁자들보다 아무래도 실전 전투력이 약해서 금방 포기하지는 않을까요?

‘MBA가 정말 창업에 도움이 되는가’라는 궁금증과 ‘MBA에서만 얻을 수 있는, 창업에서 성공하는 데 필수적인 어떠한 요소가 있는가?’라는 질문은 조금은 다를 것 같습니다. 창업자와 스타트업은 다르고, 제반 상황과 여건도 다르기에, 아무리 성공적인 창업자라도 그의 성공에 결정적인 요소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각기 다른 대답을 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MBA가 도움이 되었는가, 혹은 시간 낭비 돈 낭비일 뿐인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MBA 재학생/졸업생들이 창업들을 하는지,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비 MBA들과 비교를 할 수 있는 자료가 있다면 더욱 도움이 될 것 같고요. 어쨌든 우리처럼 궁금한 사람들이 많기에, MBA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다루는 Poets & Quants에서는 2013년부터 Top 100 MBA Startups of the Year라는 랭킹을 발표합니다. 지난 5년간(2012.1.1 이후) MBA 재학생이나 졸업생이(역시 직전 5년 내) 이 founder로 설립한 스타트업 중에 가장 VC-backed capital을 많이 끌어온 100개의 회사를 모아서 발표하는 거죠. 올해도 해당 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여기에는 1위부터 25위까지의 표를 붙여두었습니다.(전체 100개 회사를 다룬 표는 여기에 있습니다)

MBA-startup-chart1

몇 가지 특징을 이야기하자면, 첫째, 탑스쿨 출신들이 대부분입니다. 작년만 해도 전체 100개 업체 중 42개가 HBS 동문이 만든 학교였고, 스탠포드, 와튼 이 세 학교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습니다. 올해는 HBS 출신들은 100개 중 24개에 이름을 올렸고, 이 24개 업체가 총 $618 million을 끌어모았습니다. 반면 스탠포드는 올해 24개로 HBS와 동률을 보였고, 투자금액에서는 $958 million을 조달했습니다. HBS/Stanford가 줄어든 만큼 다른 학교들의 약진도 두드러졌습니다. 작년까지는 이 두 학교가 모두 71개를 차지해서 거의 리스트를 점령했다고 볼 수 있었는데 올해는 단 42개에 그치는 대신, 와튼이 작년의 5개에서 12개로, 컬럼비아는 7개에서 11개로, 그리고 켈로그는 4개에서 8개로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올해 1위를 차지한 회사는 Deliveroo라는 이름의 회사이며, 2012년에 Wharton을 졸업한 William Shu가 친구와 함께 창업한 스타트업입니다. 2013년 이후 현재까지 이 회사는 $474 million을 조달했고, 작년 4월에는 $190 million 의 Series E funding을 발표했습니다. 2위는 Linio(NYU, MIT, HBS 친구들이 함께 만든 회사)가 $230 million을 발표하며 전년도의 7위에서 껑충 뛰어올랐습니다. 3위 역시 음식배달 회사인 DoorDash(스탠포드, $186 million)가 차지했습니다. 4 위는 NuBank(Stanford, $178million), 5위는 또 다른 음식배달 업체인 Grofers(Columbia)가 차지했습니다. 올해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100개 회사 중에서 70개 업체가 2016년 한 해에만 조달한 금액은 $1.3 billion으로 100개 전체 회사가 5년간 총 조달한 금액인 $2.9 billion의 거의 절반에 육박합니다.

외부조사기관인 Pitchbook이 2006년부터 2016년 여름까지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이제까지 6,600명 이상의 MBA들이 6,0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을 시작했고, 거의 $100 billion에 이르는 VC 펀딩을 일구어냈습니다. 이 6,000명은 탑 25개 학교만을 대상으로 한 것입니다. 가장 많은 창업자를 배출한 것은 하버드로, 961명의 창업자가 $22.4 billion을 끌어왔고, 스탠포드는 720명이 600개가 넘는 회사를 만들어 $14.4 billion을, 그리고 와튼에서는 577명의 창업자가 506개의 회사를 만들어 $10.6 billion을 조달했습니다.

Screen Shot 2017-05-20 at 9.55.48 AM

두 번째, 여전히 West Coast의 지리적 이점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00개 중 35개 회사가 서부에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서부 중에서도 31개 회사는 Bay Area에 있습니다. 여기에는 2016년에 상당한 펀딩을 조달하여 여러 계단 뛰어오른 Augmedix(스탠포드), Branch(스탠포드), Capital Float(스탠포드) 등이 있습니다.

세 번째, minimum cutoff가 크게 높아졌습니다. 작년에 100위를 차지한 기업의 조달액수가 $2.65 million이었던 반면, 올해 100위를 차지한 Totspot(스트롱 벤쳐스의 투자사 중 하나이며, Poshmark에 인수되었죠)은 $4.3 million을 기록했습니다. 인정을 받은 스타트업들은 과거보다 좀 더 많은 액수를 조달할 수 있었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네 번째, 졸업 후 바로 창업으로 들어가는 학생들은 완만한 감소추세라고 합니다. 2016년 하버드 졸업생 중 7%는 바로 창업의 길로 들어섰는데, 이는 전년도의 9%로부터 조금 감소한 수치이고 2012년 이래 가장 낮은 숫자입니다. 스탠포드도 마찬가지로 올해는 15%가 창업을 한다고 보고했는데, 2013년의 18%부터 완만하게 조금씩 내려오고 있는 추세입니다. 와튼의 경우에는 작년의 4%와 비교할 때 올해는 6%로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2012, 2013, 2014의 숫자보다는 약간 감소한 정도라고 하는군요. 이 ‘감소’ 부분에 대해서는 학교 담당자들의 말은 엇갈리는 데가 있습니다. 우선 와튼의 Clare Lainweber(Penn Wharton Entrepreneurship의 managing director)는 MBA 학생들이 startup에 대해 갖는 관심은 계속 뜨거워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Stanford의 Entrepreneurship Center의 director인 Deb Whitman은 관심은 증가할지 모르나, 벤처캐피털의 자금은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대신, 비즈니스 스쿨에서 2년간 실패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고 창업에 몰두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며, 특히 실리콘 밸리에서는 도움이 될 만한 사람을 누구든 만날 수 있으므로 여전히 매력이 크다고 설명합니다. 컬럼비아의 Vince Ponzo(Eugene Lang Entrepreneurship Center의 Director)는 이런 견해에 반대합니다. “There’s still plenty of money to invest(투자할 돈은 여전히 아주 많습니다). 펀드들은 계속 펀딩을 받고 있고, 나눠줄 자금은 충분해요.” 반면 그의 주장은 VC들이 한층 더 깐깐해진 눈으로 스타트업들을 평가한다는 겁니다. 이미 몇 개 크게 성공적인 모델이 나온 이상, 그 정도 pitch로는 VC들의 마음에 흡족하기 어렵다는 거죠.

MBA가 창업하기에 최적의 환경인 것처럼 보이지만, 창업이란 엄청난 집중과 헌신을 해야 하는 일임은 분명합니다. 그래서 이 블로그의 주인장분도 학교를 떠나 집중하신 거고, 이 기사에 소개된 스탠포드의 Branch 팀 역시 이 목표를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Branch 는 앱 개발자들에게 deep technology linkage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회사로, Alex Austin, Mada Seghete, Mike Mokinet and Dmitris Gaskin이 설립하였습니다. 앞의 세 명은 2014년에 스탠포드에서 MBA를 받았고, Dmitris Gaskin은 이 팀에 조인하기 위해서 스탠포드 학부를 중퇴하였습니다. 앞의 세명은 스탠포드의 유명한 Launchpad 수업 중에 처음으로 만나서 의기투합한 케이스입니다. 이들은 월 $10,000씩 받을 수 있는 여름 인턴십을 포기했고, Molinet은 실리콘 밸리의 월세를 감당할 수 없어서 그때그때 문을 열어준 친구 집의 소파에서 살았습니다. 지금은 Seghete의 차고에서 살며, 다운타운 팔로 알토에 있는 Branch의 사무실을 위한 가구를 직접 만들기도 합니다(사무실에서 살면 될 텐데 그렇게는 안 하네요). 컨설팅과 같은 취업의 기회를 포기해야 했고, MBA 친구들이 즐기는 파티나 이벤트들도 포기하는 날들이 많았습니다. 그래도 그러한 헌신과 노력에는 성과가 있어서, 총투자금액 $53 million으로 올해 리스트의 1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그가 당부하는 말이 있습니다. “정말 정말 창업을 하고 싶다면, 여기에 100%를 바치세요. 파티 같은 이벤트나 재미있는 활동들이나 남들이 받는 인턴십이나 돈을 많이 주는 취업의 기회 따위에 정신이 팔리면 안 됩니다. 그리고 당신이 정말 열정을 갖고 있어서 당신의 비즈니스를 세워가는 데 온전히 집중하고 있다면, 이러한 잡다한 것들은 전혀 신경 쓰이지 않을 겁니다.”

(제가 참조한 기사 원문은 여기에 있습니다. 2부에는 MBA를 졸업하고 스타트업에 조인하는 경우 연봉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