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undersAtWork

용맹스럽게 싸우는 자

한국이나 미국의 능력 있는 투자자 중 창업이나 벤처에서 일한 경험이 전혀 없는 분들도 더러 있지만 창업가들과 진정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으려면 벤처 경험이 어느 정도 있는 게 –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 여러모로 좋다고 난 생각한다. 물론, 성공과 실패를 떠나서. 왜냐하면 벤처기업에 투자를 하거나 조언을 주는 사람이 조금이라도 창업자의 입장에서 현실을 볼 수 있어야지만 회사에 정말로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평생 대기업에서만 일을 한 임원은 배고픈 벤처기업의 힘든 현실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면 소위 말하는 교과서적인 좋은 이야기만 할 수 밖에 없다(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고 이에 대해서 내가 이래라 저래라 말 할 자격은 없다. 나보다 훨씬 좋은 회사에 투자하고 좋은 조언을 주는 벤처 경험이 전혀 없는 분들도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내가 걱정하는 건 이런 분들의 말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어리고 경험없는 창업가들이다. “비즈니스 모델이 없다.”, “마케팅은 그렇게 하는 게 아니다.”, “내가 유통만 40년 했다.”, “한국은 그런 시장이 없다.” 등 교과서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마치 본인들이 만들어 내고 본인들만 유일하게 경험한 듯이 말하는 사람들이 창업가들 주변에는 너무나 많다. 노련한 창업가라면 그냥 듣고 흘릴 내용이랑 깊이 기억해야 할 내용을 구분할 수 있는 경험과 내공이 있지만 이제 막 시작한 창업가들은 이런 저런 말들에 생각이 흔들릴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그런 생각은 행동으로 이어지고 사업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창업 경험이 없고, 벤처에서 일한 경험이 없고, 창업가들과 오랫동안 같이 눈높이를 맞춰보지 않고, 대기업에서만 충분한 예산과 자원을 가지고 일했고, 벤처를 책으로 배운 분들은 본인이 직접 경험하지 않았으면 이런 이야기들을 아예 창업가들한테 안 했으면 좋겠다. 하더라도 그냥 부드러운 의견으로 제공하지 마치 자기가 모든 걸 다 알기 때문에 미숙한 창업가는 무조건 본인의 말을 들어야 한다는 식으로 강요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아니, 전혀 모르거나 경험하지 않았으면 오히려 그냥 입을 다물고 있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창업가들은 이런 분들과 이야기를 할 때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말고 그냥 참고만 하라고 말해주고 싶다. 직접 현장에서 발로 뛰면서 실행 할 때만 비로소 내가 잘하고 있는 건지 잘 못하고 있는 건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전장에서 피튀기면서 목숨을 위해 싸우는 건 창업가이기 때문에 남의 말에 현혹되지 말고 본인의 소신에 따라서 행동해야 한다. 결과는 오로지 시간만이 알려줄 것이고 직접 싸워보지 않은 사람들의 말을 듣고 고민하기에는 할 일이 너무 많은 게 바로 스타트업이라는 게임이기 때문이다.

스타트업 바이블에서도 자주 인용했던 말인데 여기서 한번 더 인용해 본다:

“중요한 것은 비평가들이 아니다. 공(功)은 실제 경기장에서 먼지와 땀 그리고 피에 뒤범벅되어 용맹스럽게 싸우는 자의 몫이다. 그는 실수하고 반복적으로 실패한다. 또, 가치 있는 이유를 위해 열정과 헌신으로 자신을 불태운다. 무엇보다 그는 마지막에 주어지는 위대한 승리와 패배를 알기에, 그것들을 전혀 모르는 차갑고 겁 많은 영혼들과 결코 함께하지 않는다.”
-‘민주주의의 시민의식’ 연설 중. 1910년 4월 23일 파리 소르본 대학. 테오도어 루스벨트, 미 대통령-

<이미지 출처 = http://www.keepcalm-o-matic.co.uk/p/have-a-good-day-and-ignore-all-naysayers/>

검색 – 계속되는 도전과 발전

애플의 차기 운영체계 OS X과 iOS 8의 기본 검색엔진은 여전히 Google 이지만 얼마전 WWDC 무대에서 애플이 발표하지 않은 내용 중 하나가 새로운 운영체계의 Safari에서 옵션으로 제공될 DuckDuckGo라는 검색엔진이다. 덕덕고 (별 뜻은 없다. 그냥 Duck, duck, goose라는 어린이들이 하는 게임에서 유래)는 Google이나 Bing과 같이 잘 알려진 검색엔진은 아니지만 – 미국도 아는 사람만 알지 대중적이지는 않다 – iOS 8에 옵션으로 장착된다면 그 노출도는 엄청날 것이다.

덕덕고는 다른 검색엔진과는 달리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전혀 저장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검색 결과도 개인화가 전혀 가미되지 않고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검색 결과가 보여진다. 다른 검색엔진들이 구글을 따라하고 있는 추세와는 반대로 덕덕고야 말로 대표적인 anti-Google 프라이버시 검색 엔진이다.

이걸 보면서 역시 시장이 정말로 크고, 그 큰 시장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여러가지가 존재한다면, 같은 카테고리의 제품이지만 다양한 기술과 다양한 기능들이 공존할 수 있다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되었다. 검색만 해도 그렇다. 절대적인 숫자로만 본다면 구글은 검색의 왕이다. 구글을 검색 시장에서 이길 수 있는 플레이어가 가까운 미래에 나올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검색 시장이 커질 수록 – 그리고 검색 시장은 앞으로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이 많은 정보의 홍수속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게 갈수록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 구글이 해결하지 못하는 구멍들이 계속 생겨날 수 밖에 없다. 덕덕고는 익명성이 가장 잘 유지되고 사용자 정보를 트래킹하지 않는 검색경험에 촛점을 맞추었고 이 시장 하나만 봐도 엄청 크다는걸 발견하고 좋은 제품을 개발했다. 솔직히 나도 검색엔진 기술이나 덕덕고의 기술력에 대해서 자세히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애플이 이 검색엔진을 채택했다는 건 의미가 아주 크다고 본다 (물론, 간접적인 구글 견제책이기도 하다).

검색의 발전은 이걸로 끝인가? 절대로 아니다. 검색은 앞으로 계속 바뀌고 발전할 것이다. 검색의 기본은 사람들이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찾아주는건데 아직 그 어떤 검색엔진도 이 기본적인 기능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구글, 빙, 덕덕고 그 어떤 검색엔진도 내가 원하는 답을 100% 제공해주지 못한다. 큰 시장에 명확한 문제점들이 존재하는 이상 이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과 제품들은 끊임없이 생겨날 것이다. 그리고 이 중 누군가 이 문제점을 해결했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부터 새로운 문제들이 보일것이고 이 사이클은 반복될 것이다.

비단 검색시장에만 국한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개선해야 할 문제점들이 존재하는 큰 시장들이 너무나 많다. 분명 그 시장에서의 강자들이 이미 자리를 잡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보면 그 시장의 강자도 해결하지 못하는 작지만 의미있는 문제점들이 보이고 거기서 다시 한번 좋은 아이디어와 비즈니스가 탄생한다.

<이미지 출처 = http://cdn.searchenginejournal.com/wp-content/uploads/2012/11/DuckDuckGo.png>

결국은 제품이다

오늘 새벽에 USV의 Fred Wilson의 “No Pain No Gain“이라는 포스팅을 보면서 든 생각이다. 이 포스팅의 내용은 고통이 더 클수록 얻는게 더 값지다는건데 육체적인 고통에 대한 건 아니고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서비스에 익숙해 지는데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이 더 많을수록 더 높은 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일 확률이 높다 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예를 들었다. Pandora나 Spotify (둘 다 한국에서는 음원 저작권 때문에 즐길 수 없는걸로 알고 있다) 같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 그냥 채널, 음악 또는 아티스트만 설정하면 알아서 자동으로 계속 음악을 재생해서 굉장히 쉽지만 어느 정도 듣다보면 계속 똑같은 음악이 반복되어 금방 싫증이 난다. 이와 반대로 SoundCloud는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걸리고 노력이 좀 들어가지만,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원하는 아티스트들을 팔로우하고, 음악을 큐레이션하고 다른 유저들이 포스팅한 음악을 다시 리포스팅 하다보면 그 결과물은 훨씬 더 다채롭고 서비스 사용자 경험이 매우 흥미롭다.
Fred는 트위터도 이와 비슷하다고 한다. 시간을 들여서 본인도 계속 트윗을 하면서 실험하고, 나랑 취향이 맞는 사람들을 팔로우하고, 이들의 트윗을 잘 읽고 다시 리트윗하고, favorite하다 보면 그 어떤 소셜 미디어나 블로그를 통해서는 느낄 수 없는 트위터 만의 매력과 유용함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한 두번 사용해서 되는게 아니라 이건 어느정도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고 한다. 마치, 아무도 발견하지 않은 조용하고 깨끗한 해변가를 찾으려면 산을 오르고 정글을 지나야하는 고통을 감수해야 하는 것처럼.

SoundCloud나 Twitter를 사용하다가 자기 맘대로 안되고 남들은 다 좋다고 하는데 왜 나만 잘 모르겠을까 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익숙해질 때까지 이 제품들을 사용하는 유일한 이유는 좋은 제품들이기 때문이다. 안그래도 사용하기 어려운 서비스인데 각 단계마다 사용자 경험을 불편하게 하거나 에러가 나면 모두 중도 포기할 것이다. 하지만, 귀찮고 어려워도 소중한 시간을 들여서 계속 이런 제품들을 사용하게 만드는 건 product manager, 디자이너 그리고 개발자들의 뼈를 깍는 고민과 노력이 제품에 녹아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내가 항상 강조하는 디테일에 대한 집착과 마지막 10%에 대한 집착 때문인거 같다. 역시 한국 회사들이 많은 생각과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 부분이다. 특히, 공공사이트들은.

Don’t call me a mentor

‘Mentor(멘토)’ – 난 최근에 이 말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스타트업 업계뿐만이 아니라 산업과 사회 전반에 걸쳐서 멘토라는 말이 많이 사용된다. 실은 나도 그동안 적지 않게 나 자신을 창업가들한테 ‘멘토링’을 제공하는 멘토라는 말을 하고 다니기도 했다. 그런데 더 많은 회사와 창업가들을 만나고, 더 많은 회사에 투자하면서 자신을 멘토라고 하는 게 얼마나 쪽팔리고 우스운 건지 절실히 느끼고 있다. 특히나 이번에 한국에 오래 머물면서 많은 창업가를 아주 깊고 인간적으로 알 기회가 있었는데, 오히려 내가 멘토로 삼고 싶은 20대 중반 창업가들도 더러 있었다.

멘토의 사전적 의미는 ‘현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상담 상대, 지도자, 스승이나 선생’인데 나이를 더 먹었고, 스타트업 경험이 더 많다는 이유만으로 나보다 어리고 경험이 없는 친구들의 멘토가 될 수 있는 건 아닌 거 같다. 이제 창업을 해서 힘들게 비즈니스를 꾸려나가는 창업가들을 보면 기본적으로 나보다 더 똑똑하고, 현명하고, 깡이 있고, 어떤 친구들은 내가 지금까지 했던 경험보다 훨씬 더 많은 경험을 짧은 기간 동안 쌓았다. 이 경험 중에는 실패도 많지만, 나보다 더 많은 성공을 경험한 분들도 있다.

물론, 위에서 말한 창업가들은 예외적이다. 전반적으로는 내가 대부분의 어린 창업가들보다는 경험은 많다 – 실패든 성공이든. 그런데 스타트업 세상은 너무나 빨리 변하고 있다. 10년 전에 전자상거래 서비스로 크게 성공을 한 사람이 오늘의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대해서 모든 걸 알 수 없다. 오히려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창업한 지 1년밖에 안된 창업가가 10년 전에 전자상거래 업체를 상장시킨 사람보다 지금 현재 비즈니스의 맥을 더 잘 짚을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경험이 많다고 남이 하는 일에 대해서 성공적인 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어떤 이들은 hard 한 비즈니스 지식보다는 그냥 인생을 더 많이 살았고 비즈니스를 성공시킨 경험에서 오는 전문적인 지식 외의 다른 soft 한 걸 멘토들이 제공해줄 수 있다고 한다. 솔직히 난 잘 모르겠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만난 많은 20대/30대 친구들이 오히려 나보다 인생을 더 잘 살았고 많은 경험을 했다는 느낌을 여러 번 받았기 때문이다.

솔직히 내가 이런 창업가들한테 뭘 멘토링하고 나한테 뭘 배우라고 강하게 주장할 수 있을까? 그래서 이제 나는 나 자신을 멘토라고 절대로 부르지 않겠다. 다른 분들도 나를 대하거나 소개할 때는 멘토가 아니라 그냥 투자자라고 해주면 좋겠다 (솔직히, 워낙 소액 투자이기 때문에 투자자라고 하는 것도 좀 그렇지만). 뭐, 그래도 굳이 나를 멘토라고 해주는 분들이 있으면 그건 상당히 고마운 거다.

<이미지 출처 = http://jezebel.com/5853248/study-finds-young-women-lack-female-mentors>

SKIT! 투자

우리가 가장 최근에 투자한 회사는 SKIT!이라는 앱을 만드는 Storytime Studios라는 LA 기반의 스타트업이다. 한국에도 South Park 애니메이션 매니아층이 꽤 두텁게 존재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 회사의 창업팀이 South Park의 매니아였고 일반인들도 South Park와 유사한 재미있고, 동시에 싱거운? 애니메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만들었다. 2명의 공동창업가들은 실은 한국인도 아니고 교포도 아니다. 한 명은 완전 백인이고 다른 공동 창업가는 말레이시아인 이다. Strong Ventures는 최근에 다음 3가지 카테고리의 스타트업에 집중하고 있다. 첫째는 한국이 본사인 한국인들이 창업한 스타트업들이다. 둘째는 미국이 본사인 한국인 또는 한국계 교포들이 창업한 스타트업들이다. 그리고 셋째는 한국과는 상관이 없는 미국의 스타트업이지만 스트롱벤처스가 한국에서의 인맥과 경험을 기반으로 부가가치를 제공하고, 가능하면 한국 또는 아시아 시장으로의 진출을 도와줄 수 있는 스타트업들이다. SKIT!이 바로 3번째 케이스에 해당된다고 생각되어서 투자를 했다 (그리고 이 회사는 실리콘밸리가 아닌 LA 기반이다. John과 나는 LA 기반의 스타트업들을 더 선호하는 개인적인 성향이 약간 있다).

이 외에 내가 개인적으로 SKIT!을 맘에 들어했던 이유가 몇 개 더 있었다. 일단, 이 창업팀은 이미 과거에 exit을 한 경험이 있는 노련한 창업가들이다 (게임 업계에 오래 계셨던 분들은 알텐데 이 중 한명은 Xfire란 회사를 창업해서 2006년도에 Viacom에 1,000억원 이상에 판 경험이 있다). 이런 성공적인 경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팀은 겸손하고, 본인들은 운이 좋았고 아직도 모르는게 너무 많은 창업가라고 생각하는 그런 마인드가 너무 마음에 들었다. 나중에 SKIT!이 잘 되면 좋겠지만 만약에 망하더라도 이런 좋은 팀한테 투자하면 분명히 그 이후라도 뭔가 같이 할 수 있을거라는 확신이 생겼다. 뭐, 완전히 망하더라도 이런 친구들과 친해지면 나중에 분명히 또 좋은 기회가 생길 것이고 우리의 투자금은 바로 이런 미래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한다.

다른 이유는 SKIT! 이라는 앱을 사용하면 할수록 뮤직쉐이크 생각이 많이 났기 때문이다. 두 제품은 유사한 점이 많고 – 뮤직쉐이크는 사용자 제작 음악 서비스, SKIT!은 사용자 제작 애니메이션 서비스 – 창작가와 소비자 사이의 미묘한 선을 따라가면서 사용자제작 서비스를 차곡차곡 만들어 간다는 면에서 옛날 생각이 많이 났었다. 특히, 내가 뮤직쉐이크로 해보고 싶었지만 여러가지 자원의 한계로 인해서 포기했던 많은 기능과 실험을 SKIT!은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팀과 같이 일하면 나도 많이 배우고 내 과거의 경험을 같이 공유하면서 더욱 더 재미있는 서비스로 발전시킬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사적인 견해나 감정때문에 투자한건 아니고 Strong 내부적으로 합의를 본 후에 투자를 집행했다.

<이미지 출처 = http://mashable.com/2014/06/16/skit-app-lego-mov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