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Web 2.5

Web 2.5라는 단어에 대한 생각을 요새 많이 하고 있는데, 막상 검색해보니 이 개념이 이미 존재하고 있고, 많은 사람이 관련해서 생각을 공유하고 있었다.

요새 Web3에 대해 다양한 글도 읽고, 사람도 가끔 만나서 공부하고 있는데, 매일 새로운 개념과 기술이 나오고 있어서 스스로 독자적인 생각을 하기보단, 따라잡기 하는 데만 급급하다. 그래서 이 분야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우리 투자사 대표님에게 시간을 좀 할애해달라고 부탁했고, 얼마 전에 한 2시간 반 정도 Web3에 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실은 이 미팅 이후에 머리가 더 복잡해지긴 했지만, 기억에 남았던 건 “Web 1.0은 read, Web 2.0은 read and write, 그리고 Web 3.0은 read, write and own”이라는 정의였다. 매우 깔끔하고 직관적인 설명이라서, 나도 이 정의를 요새 자주 인용하고 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Web3가 지향하는 진정한 오너십은 너무 이상주의적이라서 현실에 적용하는 게 어렵다는 생각이 들고, 오히려 나는 Web 2.5라는 Web 2.0과 Web 3.0 중간 어딘가에 걸쳐 있는 형태가 일단 가장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구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런 형태가 그나마 가장 잘 돌아가는 조직이 민주주의 국가라고 나는 생각한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모든 국민들에게 투표권이 주어진다. 개개인의 신분, 경제적 능력, 직업 등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투표권이 주어지는 게 아니라 그냥 모두가 동일한 의사결정권이 있는데, 오너십이 차등적으로 주어지는 Web3 개념과는 약간 다르다. 어쨌든, 이렇게 모든 국민들에게 결정권이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국가는 완벽히 탈중앙화된 조직은 아니다. 결국 사회의 구성원이자 오너인 국민들 위에 군림하는 중앙화 된 정부가 있기 때문에, decentralized는 아니라 centralized 된 형태의 조직이다. 물론, 국민이 뽑는 리더인 대통령과 참모, 그리고 정치인들이 믿을만한 중앙 정부를 만들고 있냐에 대해선 물어보는 사람마다 다른 대답을 얻을 것이지만, 만약에 모든 국민이 믿는, 국가를 위해 항상 최선의 결정을 하는 중앙화된 리더십이라는 게 존재한다면, 이런 반중앙화 된 Web 2.5 형태가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Web이 아닐까 싶다.

물론, 민주주의 국가는 문제가 많다. 어쩌면 이런 국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이 발명됐을 텐데, 그렇다고 Web3로 바로 이동하기엔 아직 해결해야 할 점들이 너무 많다는 생각을 매일 하고 있다.

남 탓 하지 말기

우리 사회에서 없어져야 할 오래된 병 중 하나가 남을 탓하는 습관이라고 생각한다. 실은 이건 한국 사회에만 해당하는 게 아니라 그냥 전 세계인에게 해당하긴 하는데, 그냥 내 느낌인지 모르겠지만, 전반적으로 한국 사회에 남 탓하는 문화가 조금 더 많이 퍼져있는 것 같다.

스타트업 분야에서 일하는 분들은 그래도 조금은 더 유연한 사고를 하고 있고, 모든 걸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는 성향이 강한 분들이라서 남 탓하는 분위기가 여기엔 덜 하지만, 최근에 내가 느꼈던 몇 가지 생각을 기록해본다.

몇 년 전만 해도 해외 투자자들의 한국에 대한 관심이 그렇게 높진 않았다. 일단 한국이라는 나라 자체에 대해서 잘 몰랐고, 잘 모르기 때문에 투자할만한 시장으로서의 매력도가 낮았다. 그래서 우리도 잠재 해외 LP들을 만날 때 가장 고생하고 시간을 많이 썼던 부분이 한국이 투자할만한 시장이고, 한국에도 정말 좋은 tech 스타트업이 많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다행히 한국에서도 유니콘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한국의 이미지도 좋아지면서, 이런 노력이 조금씩 빛을 보기 시작했다.

시장을 아예 모르면, 질문 자체를 못 하는데, 한국이라는 시장에 대한 지식이 생기자, 해외 투자자들은 더 많은 질문을 하기 시작했다. 그중 exit 관련 지적을 가장 많이 받았다. 아무리 좋은 회사가 많이 나와도 이들이 exit 할 수 있는 시장이 없다면 투자자로서는 매력도가 많이 떨어지는데, 한국은 지금도 exit 시장이 유니콘이 나오는 속도를 못 따라가고 있고, 몇 년 전에는 정말 약했다. 하지만, 시간이 걸릴 뿐이지, 한국도 exit 시장이 생기고 있고, 좋아지고 있다고 믿는다. IPO 시장도 조금씩 활성화되고 있고, 대기업의 스타트업 인수 또는 큰 스타트업의 다른 작은 스타트업 인수 사례가 조금씩 나오고 있고, 인수 가격도 아쉬운 부분이 많지만, 그래도 조금씩 오르고 있다.

과거에는 큰 회사들의 생각이 굳이 돈 써서 다른 회사를 인수할 바에야 본인들이 직접 하는 거였는데, 직접 해보니 그냥 다른 회사 인수하는 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더 싸고 스트레스 덜 받는다는 걸 피부로 느끼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직접 하기보단 인수하는 것도 좋은 옵션이라는 개념은 있지만, 아직은 최대한 싸게 인수하려고 한다. 아마도 이 생각도 시간이 지나면서 희석될 것이고, 제값을 주고 회사를 인수하는 문화가 자리 잡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런데 대기업이 스타트업을 더 많이 인수하지 않고, 인수해도 너무 싸게 한다고 불평들을 많이 한다. 그리고 스타트업 대표들이 이런 대기업을 욕하고 탓한다. 나는 솔직히 조금은 다른 생각을 하는데, 비싸게 인수되지 못하는 스타트업 자신을 탓해야 한다. 사는 사람이 물건의 가격이 100만 원이라고 하면, 그건 100만 원짜리 물건이다. 시장에서 그 가격 이상 지불할 의향이 없는데, 혼자서만 가격이 1억 원이라고 우기는 건 아무 소용이 없다.

이게 싫으면, 그냥 회사를 팔지 않으면 된다. 더 비싸게 회사를 팔고 싶고, 그 가격을 인수자에게 주장하고 싶으면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면 된다. 시장은 냉정하고, 시장에서 정하는 게 회사의 가격이니, 남 탓하지 말고, 남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큰 가치와 높은 가격을 정당화하지 못하는 자신을 탓해야 한다.

믿음이 필요한 순간

투자를 잘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배제해야 한다. 내가 존경하는 워렌 버핏이 항상 하는 말이, 머리로 투자해야지, 가슴으로 투자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데이터를 잘 봐야 하고, 시장을 잘 분석해야 하고, 냉정한 이성을 유지하는 게 핵심이다. 특히, 우리같이 남의 돈으로 투자하는 사람들에겐. 나도 투자를 시작할 땐 이와 비슷한 생각을 했고, 냉철함을 기반으로 투자 철학을 나름 몇 가지 정했다.

그런데 그동안 초기 스타트업 투자를 계속하면서, 몇 가지 기술적 변곡점을 경험했고, 몇 년마다 한 번씩 오는 큰 technological cycle을 겪어보니, 데이터와 머리로만 투자하는 게 어쩌면 최선의 전략이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자주 든다. 아니, 요샌 오히려 이렇게 투자하면 초기 투자는 잘 못하고, 우리가 원하는 홈런 투자는 더욱더 못 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그리고 이런 생각이 이젠 어느 정도 믿음으로 굳어지기까지 했다.

우린 매일 다양한 딜을 검토하는데, 솔직히 말해서 요샌 이 중 절반 정도가 내가 전혀 모르는 분야에서 사업을 하는 스타트업들이다. 전에는 내가 전혀 모르는 분야면, 그냥 보지도 않았다. 아는 분야의 사업만 봐도 너무 많은데, 굳이 모르는 분야의 사업을 공부하고 분석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그때는 내가 모르는 사업은 그냥 안 좋은 사업이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내가 모르는 분야의 스타트업이 훨씬 더 많이 생겼고, 더 이상 이 회사들을 무시할 수 없게 됐다. 내가 모르는 사업이지만, 그렇다고 나쁜 사업이 아니라는 걸 인정하고 배우는데 한 3년 정도 걸린 것 같았다. 그 이후엔 내가 모르는 분야라도 최대한 많이 공부해서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그리고 당시엔 시간을 좀 투자하면, 몰랐던 사업도 어느 정도 자신감이 생길 정도로 이해할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했다.

이젠 내가 아무리 시간과 노력을 많이 투자해도, 자신감이 생길 만큼 이해할 수 없는 사업과 창업가를 간혹 만난다. 그리고 이런 카테고리의 사업이 더 많아지고 있고, 그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검토하는 딜들이 워낙 많아지고 있고, 새로운 기술과 사업이 매일 매일 새로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변화 속에서, 나도 조금씩 스스로 변화를 주기 시작했고, ‘변하지 않는 유일한 건 변화 그 자체’라는 아주 진부한 이 말을 온 몸으로 적극 수용하기로 했다.

올해 시작하자마자 우린 정말 많은 회사에 투자했는데, 이 회사들 처음 미팅하고 내가 내부적으로 가장 많이 했던 말은, “잘 이해가 안 가네요” , “와, 이런 걸 정말로 사람들이 돈 내고 사용한다고?” , “뭐, 저런 사업이 다 있지?” 등과 같은 의심과 회의감 가득 찬 질문이었다. 하지만, 가장 먼저 했던 건, 이런 의심을 버리고, 대신 의심을 호기심으로 대체했다. 이렇게 하니까 세상이 다르게 보였다. 그리고 이 호기심을 기반으로 이 창업가와 비즈니스에 대해서 내가 할 수 있는 만큼의 공부와 고민을 했다. 물론, 100% 이해하지 못했지만, 어느 순간에는 믿기로 했고, 이 믿음을 기반으로 투자했다.

우리가 만약에 특정 분야에만 투자하고, 그 분야의 여러 가지 수치와 공식이 이미 존재한다면, 이 글 초반에 이야기했던 냉정한 데이터 기반의 투자, 업종의 충분한 이해, 그리고 다각도에서의 분석이 유의미하다. 하지만, 수치가 없고, 완전히 새로운 비즈니스라서 공식 또한 존재하지 않는 분야라면, 완벽하게 이해하기 전에 일단 믿어야 한다. 그리고 이 믿음이 이해를 뛰어넘을 수 있을 때는 투자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의심하지 말고 대신 호기심을 갖자. 호기심이 생기면 더 공부하고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100% 이해하기 전에 믿음을 갖자. 아멘.

자산으로서의 디지털 자산

이 내용에 관해서 쓰기 시작한 게 몇 주 전인데, 그동안 다른 글들을 쓴다고 마무리를 못 했었다. 실제로 마무리하는 와중에 알고 스테이블코인 테라/루나 사고가 터져서, 이걸 올리지 말까 하는 생각도 했었는데, 현재 시장의 분위기와는 상관없이 그냥 내 개인적인 생각이니 혹시나 동의하지 않더라도 나한테 증오 이메일은 안 보내면 좋겠다.

전에 The New Consumer의 “Consumer Trends 2022 Report” 라는 보고서에 대한 을 쓴 적이 있는데, 여기엔 흥미로운 내용들이 상당히 많았다. 내가 특히 재미있게 읽은 부분은, MZ 세대들의 Digital Money 현황인데, 다음과 같은 차트가 있었다.

<출처: Consumer Trends Survey / Consumer Trends 2022 Report>

설문 조사한 미국의 MZ 세대 중 21%가 이더리움, 13%가 비트코인, 그리고 11%가 NFT를 2021년도에 구매한 경험이 있다는 차트이다.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을 더 많이 구매했다는 게 처음에는 약간 의외였지만, NFT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ETH가 필요하니까 이런 숫자가 나온 것 같다. 어쨌든 이 차트는 꽤 인상적이었다. 설문조사를 한 모든 개개인의 사정이나 상황을 알 수 없지만, 내가 처음 투자에 입문했을 때 샀던 건 주식이었는데, MZ 세대들은 주식이나 부동산을 그냥 건너뛰고 바로 디지털 자산으로 투자에 입문하고 있다는 시장 상황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2013년도에 코빗에 투자하면서 비트코인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고, 이후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딱 이 두 가지 디지털 자산에만 투자했다. 알트코인이 엄청나게 많이 나왔고, 이후에 ICO 광풍이 불었을 때도 그냥 이 두 가지 자산에만 관심을 가졌다. 아직 다른 디지털 자산에 대한 확신이 없었고, 대부분 망할 거라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생각이 조금씩 변하기 시작했고, 2020년도부터 다른 디지털 자산에도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Cardano/ADA도 조금씩 사보고, Polkadot/DOT도 사고, 심지어는 ApeCoin도 사면서 전통적인 자산을 다각화하듯이 디지털 자산도 다각화하기 시작했다. 공부를 좀 해야 하지만, 내 개인적으로 봤을 때 디지털 자산으로서 의미가 있는 암호화폐들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포트폴리오 다각화/분산화 전략 면에서는 이제는 어느 정도 말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제 디지털 자산이 정말로 자산이 되고 있다는 확신이 매일 매일 강해지고 있기도 하다.

흔히들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라고 하고, 많은 전문가와 학자들이 금과 비트코인을 여러 가지 면에서 비교하는데, MZ 세대에겐 비트코인이 정말로 금일지도 모르고,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은 어쩌면 우리가 아는 금덩어리 자체가 뭔지 모를 수도 있을 것 같다. 마치, MZ 세대가 VHS 비디오와 워크맨이 뭔지 모르듯이.

이런 각도에서 보면, 디지털 자산은 앞으로 부동산, 주식, 현금 등과 같은 실제 자산으로 인식될 확률이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인간 대 기계

나도 정기적으로 글을 쓰고 있지만, 이 세상에는 글을 잘 쓰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특히, 이 tech 분야에는 코딩도 잘하고, 마케팅도 잘하고, 투자도 잘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 중 글을 아주 맛깔나게 잘 쓰는 분들도 상당히 많다. YC의 폴 그레이엄, 그리고 USV의 프레드 윌슨은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최고의 VC이자, 글쟁이들이다. 특히 프레드 윌슨의 블로그를 나는 수년 동안 매일 정독하고 있다(이제 이분이 반 은퇴하셔서 그런지, 글을 훨씬 덜 쓴다).

그런데, 과거 10년 동안 가장 임팩트가 컸던 글을 딱 하나만 꼽자면, 개인적으로는 바로 a16z 마크 앤드리슨의 “Why Software Is Eating the World“를 선택하겠다. 2011년 8월 20일 월스트리트저널에 기고된 이 글은 우리가 하는 일, 그리고 우리가 투자하는 스타트업들이 하는 일을 잘 설명하고, 앞으로 이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서 간단명료하게, 하지만 총체적으로 설명해준다.

그리고 11년이 지난 현재, 정말로 소프트웨어가 이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다. 특히 가장 빨리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는 기술이 AI라고 나는 생각한다. 인간의 두뇌로는 처리하기 힘든 대용량 데이터를 소프트웨어가 학습해서 처리하는 AI가 그동안 일반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 치운 속도보다 훨씬 더 빨리 이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는데, 갈수록 성능이 좋아지는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과거에는 ‘인공’만 존재하던 AI에 실제 ‘지능’이 더해졌고, 점점 더 발전되고 있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지난 5년 동안 실제로 AI 분야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스타트업이 나왔고, tech 분야에서 내가 아는 가장 똑똑한 엔지니어들이 AI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이 분야는 앞으로 지금보다 훨씬 더 비약적인 발전을 할 것이고, 그동안 사람만이 할 수 있던 많은 일들을 앞으로는 소프트웨어가 대체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나는 의심하지 않는다. AI가 인간의 업무를 일부 대체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대해서는, 각자 의견이 조금씩 다르고, 나는 여기에 있어서는 조금 더 보수적인 입장이긴 하지만, when의 문제이지, if의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AI가 인간의 뇌를 완벽하게 대체하진 않을 것이다. 아무리 소프트웨어가 발달하고, AI의 지능이 뇌의 수준을 따라가도, 인간 고유의 영역은 언제나 인간의 것으로 남을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이런 분야를 잘 연구해서, 이 분야에서 사업을 하면 AI가 아무리 발달해도 좋은 기회가 존재할 것이고, 기술이 더 발달할수록, 인간 고유의 영역은 이 기술을 보완하고 견제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커질 수도 있을 생각한다.

대표적인 것들이 데이터에만 의존할 수 없는, 창의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들, 또는 아주 오랜 기간 동안 쌓인 지식과 경험을 순간적으로 압축해서 복잡도가 높은 결정을 해야 하는 그런 분야인데, 예술, 운전, 심지어는 내가 하는 초기 벤처 투자 등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 같다. 또는, 기계의 성능보단 많은 사람의 집단 지성이 더 큰 힘과 정확도를 발휘하는 분야도 소프트웨어가 아무리 발달해도 AI가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는 분야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 치울 것이고, 이 중에서도 AI가 그 으뜸일 것이지만, 그럴수록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영역 또한 아주 커지고 세분화 될 것이다. 여기서 나오는 기회를 항상 예의주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