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AUNCH 2014 @DDP

올해로 우리 투자사 beSuccess가 주최하는 beLAUNCH 컨퍼런스가 3살이 되었다. 행사 준비와 실행은 비석세스 정현욱 대표와 그의 team이 전적으로 추진하지만 John과 나도 계속 사이드에서 지원을 해주고 있다. 해마다 느끼는거지만 이 정도 규모의 컨퍼런스를 소수의 인력이 준비를 하고 실행 한다는 건 정말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번 행사를 성공적으로 유치하는걸 보면서 beSuccess 팀한테 많은 걸 배우고 느낀다.

올해도 상당히 기대가 되는 beLAUNCH 행사이다. 일단 규모면에서는 2,000명 이상의 참석자가 예상되며 스피커, 내용 그리고 스폰서들 모두 작년 대비 업그레이드 되었기 때문이다. 장소도 강남의 COEX를 탈피해서 세계적인 건축가 Zaha Hadid가 설계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인데 나는 아직 들어가 보지는 않았지만, 이미 가본 분들에 의하면 매우 멋진 공간인거 같다.

한국에서도 이제 스타트업 관련 많은 유/무료 행사들이 열리지만, beLAUNCH 2014에 오셔서 멋진 경험을 하고 가시길. Let the craziness and party begin!

-When: 2014년 5월 14일(수) ~ 15일(목)
-Where: 동대문디자인플라자
Startup Battle 지원하기
Startup Booth 참여하기
표 구매하기

과거 beLAUNCH summary
-소개 동영상: beLAUNCH http://youtu.be/LsHriNljnXo | beGLOBAL http://youtu.be/iKH_0U1WHR4
-참석자 수: 1,300+ (2012), 1,700+ (2013), 2,000+ 예상 (2014)
-스타트업 전시 부스 수: 50 (2012), 100 (2013), 200+ 예상 (2014)
-과거 연사들: Phil Libin (Evernote CEO), David Lee (SV Angel), 정몽준 (현대그룹 회장) Aydin Senkut (Felicis), Bill Draper, Tim Draper, Adam Draper (Boost), Sarah Lacy (Pando Media), Jeff Clavier (SoftTech VC), Ben Huh (Cheezburger), 이석우 (카카오 대표), 김범석 (쿠팡 대표) 등
-과거 스폰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다음, 미래창조부, KISA 등

더블 다운 하기

블랙잭 게임에서 오리지널 베트의 금액만큼 베트를 증가시켜 카드 한 장을 받는 걸 doubling down이라고 하는데 요새 나는 이 더블 다운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블랙잭에 취미를 붙인 건 아니고, 투자 관련 더블 다운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도 이제 투자한 포트폴리오 사들의 수가 꽤 늘어났다. 현재 15개 회사에 투자했는데 이 중 어떤 회사들은 예상보다 잘하고 있고 또 이와는 반대로 어떤 회사들은 생각했던 거 보다 고전하고 있다. 그리고 잘하는 회사들과 그렇지 못한 회사들 사이의 gap이 커질수록 나는 고민하게 된다. 나한테 가장 소중한 자산은 시간인데 이 시간이라는 건 한정되어 있고, 이 소중한 시간을 어느 회사들과 같이 보내는 게 가장 효율적일까? 돈을 집어넣고 회수율만을 생각하는 순수 financial 투자자의 처지에서 봤을 때는 가능성이 작아 보이는 건 과감하게 포기하고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회사들에 시간과 돈을 더블 다운하는 게 스스로나 그 투자자한테 투자한 투자자들을 위해서는 그나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투자 전략일 것이다. 그렇지만, 단순한 투자자가 아닌 회사를 같이 만들어가는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이런 더블 다운 전략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다. 항상 고민하는 점이다.

투자를 오랫동안 해오신 업계 선배들은 ‘더블 다운’은 중요하다고 하신다. 어차피 냉정하고 치열한 바닥이고 이 업계도 강자만이 생존할 수 있으므로 이런 강자들을 일찌감치 발견한 후에 이 회사들에 최대한 집중 – 시간과 돈 모두 – 해야 한다고 하신다. 이성적으로는 이게 맞고 나도 이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마음으로 생각할수록 나는 현재 고생하고 고전하고 있는 회사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어진다. 이들은 아직 정확한 product fit을 찾지 못했고, 고객을 정확하게 정의하지 못했고 비즈니스 모델도 못 만들어서 지금 이 글을 쓰는 현재에도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회사들이다. 물론, 나는 돈만 조금 보태준 제 3자라서 창업팀만큼 이 비즈니스나 시장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 때문에 내가 도울 수 있는 건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보다는 이 팀에 투자했기 때문에 나는 이 팀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이들이 하려고 하는 걸 계속 지원해주고 응원해주고 싶다.

그러다가 운 좋게 tipping point를 찾으면, 갑자기 이들도 ‘강자’가 될 수 있다. 만약 운이 없으면 그냥 망하고, 숫자로 보면 시간 낭비한 게 되겠지만, 단순히 돈을 대준 투자자보다는 상황이 좋을 때나 궂을 때나 우리가 투자한 회사들과 끝까지 같이 한 ‘파트너’로 기억되면 좋겠다.

2MB 법칙

투자나 전반적인 피드백을 원하는 많은 창업가들이 Strong Ventures에 이메일을 보낸다. 대부분 회사/제품 소개 자료도 같이 보내는데 나는 이 중 일부는 읽고, 일부는 아예 열어보지도 않는다. 바빠서 그런게 아니다. 아무리 바빠도 왠만하면 모든 이메일과 자료는 읽는 편이다. 이메일 내용도 없고 첨부 자료가 더럽게 길고 용량이 큰 게 항상 문제가 된다.

그리고 항상 한국 분들이 문제다. 혹시나 나한테 자료를 보내고, 이걸 내가 읽기를 원하시는 분들은 다음 사항들 참고하면 좋을 거 같다:

  • 2MB 이하 – 소개 자료는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 (소개 자료다. 아주 구체적인 자료는 길어도 된다). 소개 자료가 너무 길면 그건 자신의 비즈니스에 대해서 명확하게 설명을 못한다는 의미이거나 비즈니스 자체가 너무 복잡하다는 뜻이다. 어떤 분들은 거의 50MB 짜리 자료를 다운받아 보라고 링크를 보내는데, 이렇게 큰 파일을 다운받을 시간도, 긴 자료를 읽을 시간도, 관심도 나는 없다. 왠만한 투자자들도 나랑 같은 생각일 것이다. 파일을 첨부하려면 무조건 2MB 이하로 만드는 걸 권장하고 PPT 보다는 PDF가 좋다.
  • 필요한 내용만 – 소개 자료에는 필요한 최소 내용만 있으면 된다. 더 궁금하면 투자자들이 다시 물어볼 것이다. 소개 자료에 제품 사진이나 스크린샷 또는 공장 사진 (제조업이라면)을 덕지덕지 붙여서 보내면 용량만 커지고 professional한 느낌이 많이 떨어진다. 만약에 굳이 사진을 많이 붙이려면 용량은 최소화해서 보내는게 읽는 사람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 What do you want? – 이메일을 보낼때 제발 뭘 원하는지 명확하게 표시해라. “현재 1억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특정 부분에 대해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등등 구체적을 원하는걸 알려주면 좋겠다. 많은 한국분들이 “회사 자료 보내드립니다.” 하고 이메일이 오는데 이런건 읽어 보지도 않고 삭제한다.

내가 왜 이렇게 까칠하게 구냐고? 사람을 많이 만나고 이메일 communication을 워낙 많이 하다보니 이젠 이메일만 봐도 이 사람이 professional한지 아닌지를 금방 알 수 있게 된 거 같다. 한 줄의 이메일과 2장짜리 소개 자료가 투자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고, 장문의 이메일과 20MB 짜리 자료가 읽히지도 않고 바로 휴지통으로 가는 경우가 많으니 위 부분은 항상 명심하면 좋을 거 같다.

물론 이건 내 개인적인 성향이다.

[生生MBA리포트] 금융위기 이후 MBA Trend

MBA의 길

기고자 소개) 박은정 씨는 와튼스쿨 (Wharton School) 졸업한 후 현재 Top MBA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MBA 지원자들에게 도움을 준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Top MBA 가는길(매일경제)“를 공저하였으며, 현재 자신만의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최신 MBA 트렌드와 어느 학원에서도 해 주지 않는 진짜 MBA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고 있습니다.
그녀는 연세대학교 상경계열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일을 했으며 현재 미국 동부 피츠버그에서 가족들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박은정씨의 글에 대해 다른 의견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mbaparkssam@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박은정씨가 운영하는 MBA의 길에 가시면 MBA 관련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MBA 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금융위기 이후 MBA를 채용하는 산업이나 학생들이 지망하는 분야에 눈에 띄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2007, 2008년만 하더라도 MBA 지원자의 절반에서 1/3 가량은 금융계 취업을 희망하는 이들이었지만, 요즘은 매년 급감하는 추세입니다. 리먼 브러더스, 베어스턴스는 없어져 버렸고, 남은 은행들도 합병을 하거나 수익이 나지 않는 사업부문을 상당부분 정리하면서 MBA들이 선호하던 투자은행 쪽 자리가 많이 줄었습니다. 신규채용은 고사하고, 2009~2011년에는 한동안 인원감축 때문에 월스트리트에는 칼바람이 불어 기존의 alumni들도 자리보전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회사들이 어렵다보니 매년 50-100%까지도 지급하던 보너스도 대폭 줄였습니다. 과거에 학생들이 주당 100시간에 육박하는 무시무시한 근무시간과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투자은행 취업에 그토록 열을 올렸던 것은, 다른 post-MBA 직업과는 비교할 수 없는 경제적 보상 때문이었는데, 그 매력이 사라진 셈이죠. 앞으로 얼마나 더 나아질 지는 모르나, 현재로서는 컨설팅과 비교할 때 약간 더 나은 수준의 연봉 패키지를 제공하는 정도입니다. 채용인원도 줄었는데, 매력마저도 반감되다 보니, 이제는 금융계 취업을 위해 MBA에 진학하는 인원이 대폭 감소했습니다. 2011년만 해도, 하버드 학생 중 39%, 스탠포드의 36%가 금융계 취업을 희망했으나, 불과 2년 후인 2013년 동일 업종을 희망하는 학생은 하버드 27%(12% 감소), 스탠포드 26%(10%감소) 로 떨어졌습니다. 탑스쿨 중 대표적인 파이낸스 스쿨인 Wharton의 경우에는, 금융계를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변화가 없었으나, 지난 4년간 탑스쿨 중 유일하게 지원자수가 12%나 감소하여 작년 가을에 MBA Admission director가 갑자기 사임한 바 있습니다. 학교들이 매년 가을에 실제로 발표하는 취업 리포트들도 여기에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금융계로 진출하는 MBA 들은 감소하고 있습니다.

한국인 지원자분들이 요즘 미국 취업에 많이 애를 먹는 듯 보이는 이유도 이와 연관이 있습니다. 컨설팅이나 대기업 전략실에 비해, 투자은행의 업무는 영어나 문화의 구애를 상대적으로 훨씬 덜 받는 분야입니다. 그러다보니 과거에 한국 학생들이 미국에 정착하는 경우의 상당수는 투자은행 취업을 통한 케이스였습니다. 이에 따라 불과 3년전만 해도, 금융계에서 일하던 많은 분들이 MBA를 지원했고, 졸업 후 미국 내 금융기관의 취업을 희망했습니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외국인들에게 더욱 살벌해진 취업전쟁 속에서 이 분들이 미국내 금융기관에 취업하기란 하늘에 별따기가 되었습니다. 그나마 취업이 가장 용이하던 투자은행이 흔들리니, 다른 분야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그러나 금융계 선호자들이 빠져나간 빈 자리는 대신 테크놀로지 쪽으로 가고자 하는 이들이 그 빈자리를 메우고 있습니다. 2013년 현재 하버드는 학생의 18%가, 스탠포드는 금융계 지원자보다 많은 32%가 테크놀로지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은 MBA 채용을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죠. 또한 꼭 테크놀로지 쪽이 아니라도 다양한 산업에서 MBA 채용의 문을 열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예전에는 일반 소비재 회사에서는 MBA를 거의 뽑지 않았었는데 요즘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또한 창업의 바람이 불면서 급증하고 있는 스타트업을 창업하고자 하는 MBA들도 늘고 있습니다. 당장의 경제적 보상은 좀 덜 받더라도,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일과 삶 사이의 균형 또한 유지하고 싶은 이들의 움직임이죠. 대신 좋아하는 일에 열정을 바침으로써, 장기적인 성장 및 성공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그렇다면 지원자들은 이런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우선, 어느 업종을 희망하시건 간에, MBA를 투자적 관점으로 봤을 때, 단기적으로 투자대비 수익(ROI)은 낮아질 확률이 크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제가 2007년에 입학했을 때만 하더라도, ‘졸업 후 투자은행에 가면 MBA에 다니면서 들인 직간접적 투자비용을 x년 만에 회수할 수 있다’는 식의 이야기가 자주 회자되었습니다. 물론 여전히 많은 회사들은 MBA 졸업생들에게 six-figure(간단하게 우리 말로는 억대연봉)을 지급하지만, 그렇지 않은 회사들도 이제 MBA 채용을 늘리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제는 과거와 같은 즉각적인 경제적 보상은 아무래도 어려울 것입니다. 때문에 스스로 MBA를 가려는 이유가 단순히 ‘높은 연봉’이라면 심각하게 재고해 봐야 합니다. 특히, 희망하는 분야가 금융 쪽이라면, 자기 자신의 커리어플랜과 목표 달성 가능성을 예전보다 철저하게 점검해 봐야겠죠.

반면, 전통적으로 MBA와는 별 관련이 없었던 분야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분에게는 최근의 이러한 변화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물론 그런 분야에서 당장 투자은행이나 컨설팅처럼 MBA를 대규모로 채용하지는 않겠죠. 하지만 실제로 게임, 디자인, 테크놀로지 스타트업, 의학 및 약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원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실제로 좋은 학교들이 이러한 분야의 지원자들에게 주는 어드미션을 점차 늘리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대체로 본인이 가고자 하는 길에 대한 열정과 확신이 있기 때문에, 학교에 가셔서도 흔들리지 않고 목표를 추구해 나갈 가능성이 큽니다. 혹시 본인이 원하는 분야가 과거에 MBA를 잘 뽑지 않는 곳이기 때문에 진학을 망설이셨다면, 최근의 변화 트렌드를 잘 체크해 볼 일입니다. MBA가 열어주는 새로운 가능성에 올라타시길 바랍니다.

동그라미 서명

최근 3년간 한국에 여러 번 출장 다니면서 의아하기도 하고 짜증도 났던 신용카드 서명 관련된 이야기다. 과거에는 실제 신용카드 전표에 펜으로 서명을 했지만 이제는 모두 기계로 바뀌면서 스타일러스 펜으로 기기의 화면에 서명을 한다. 그런데 미국과 약간 다름점이 있다면 미국의 경우 서명을 한 후에 누르는 ‘확인’ 버튼이 서명을 하는 기기에 있어서 신용카드 소비자가 누르게 되어 있지만 한국의 경우 서명하는 기기에 ‘확인’ 버튼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일부러 봤는데, 내가 갔던 식당이나 가게는 거의 이랬다). 대신 이 ‘확인’은 카운터에 있는 분이 알아서 누르게 되어 있다.

난 서명이 좀 길고 복잡해서 그냥 대충 동그라미나 줄 한두게 긎는 사람들보다는 서명하는데 훨씬 더 오래 걸린다. 그런데 서명을 끝내지도 않았는데 카운터에서 그냥 ‘확인’을 눌러버려서 반쪽짜리 서명으로 신용카드가 결제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솔직히 이건 엄밀히 말하면 불법이라고 할 수도 있다. 신용카드 주인이 서명을 하지 않았는데 – 카드사용을 승인하지 않은거랑 동일 – 가게에서 승인을 해버리는거랑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막말로 내가 나중에 이 가게에 와서 이거 내 서명이랑 다르고, 내가 서명한게 아니라고 따지면 어떻게 할 것인가? 몇몇 가게 주인들한테는 이렇게 따져봤는데 심각하게 받아들이기는 커녕 다들 나를 이상한 사람으로 보면서 “손님 서명이 너무 길어요 ㅎ”라고 했던 기억이 난다.
분명히 신용카드 뒷면을 보면 카드주인이 서명하는 란이 있다. 그리고 이 밑에 보면 “이 카드는 상기란에 서명된 회원만이 사용할 수 있으며, 타인에게 양도, 대여할 수 없습니다.”라고 적혀있다. 미국은 신용카드로 물건을 사면 카드 뒷면의 서명과 실제 서명을 비교해보는 경우도 종종 있고, 신분증도 보여달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한국의 경우 이런 적은 한번도 없었다.

문화 차이인가? 뭐, 그럴 수도 있다. 그렇지만 신용카드를 도둑맞았다고 생각해보자. 도둑놈이 내 신용카드를 막 긁고 다니면서 내 서명이 아닌 다른 서명을 하는데 그 누구도 이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면 이건 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금융사기와 신용카드 정보유출 관련 사고 소식이 계속 들려오는 요새는.

더 재미있는 건, 어떤 커피샾에서 계산하면서 내가 전화 통화를 하고 있었는데 카운터 알바생이 나 대신 그냥 다음과 같이 지가 서명하고 내 신용카드 승인을 해준 경우가 있었다. 뭐라 하니까 “원래 다 그렇게 해요”라는 성의없는 답변만 돌아왔고 그 알바생은 그날 나한테 험한 말 좀 들었다.

signature

이런건 원래 엄밀히 말하면 불법이 아닌가? 내가 너무 까칠한건가? 이런 생각을 아무도 해보지 않은건지 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