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디지털 자산에 대한 생각 – 2021년 2월

1613427451015

이미지 출처: space / 크라우드픽

비트코인 가격이 그동안 계속 요동을 쳤지만, 결과는 엄청나게 올랐다. 계속 up and down이 있지만 비트코인 6,000만 원, 그리고 시총 $1 trillion 시대가 왔고, 앞으로 이 시장이 어떻게 될지는 더욱더 불확실해진 것 같다. 개인적인 생각은, 결국 비트코인 가격은 장기적으로는 계속 상승할 거라고 본다. 일단 기관투자자들이 계속 비트코인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고,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점점 더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store of value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계속 기관투자자들의 매수가 일어날 것이고, 이들은 주로 자산을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총발행량이 한정된 비트코인을 장기 보유하면 유동성이 떨어지고 희소성이 올라가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가격은 계속 올라가지 않을까 싶다. 물론, 불장에 기름을 부은 일론 머스크 효과도 꽤 크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참고로, 기업의 시가총액 $1 trillion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마이크로소프트 44년, 애플 42년, 아마존 24년, 구글이 21년인데, 비트코인은 12년 걸렸다. 이걸 어떻게 해석하냐는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이런 시각에서 보면 엄청난 위엄이긴 하다.

기관투자자들, 마이크로스트라테지나 테슬라 같은 기업의 비트코인 투자가 과연 메인스트림이 될지에 대해서는 말들이 참 많다. 이러다가 말겠지라는 의견도 있지만 나는 이 추세는 멈추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 특히 기관 투자자의 생리를 잘 아는 사람으로서, 이들의 비트코인 매수는 하루 아침에 결정된 게 아니다. 아직도 위험한 자산으로 분류되는 비트코인에 기관이 투자하려면, 여러 가지 내부 승인을 거쳐야하며, 이들에게 돈을 주는 LP들의 승인도 필요한데, 이 과정이 3개월에서 6개월 정도는 걸린다. 즉, 작년 12월이나 올해 1월에 비트코인을 대량 매수한 기관투자자들은 작년 6월에 이미 이 결정을 내렸다고 보면된다. 같은 논리를 적용해보면, 비트코인 가격이 오르면서 점점 더 금과 같은 저장소 역할을 하자 연초에 투자 결정을 내린 기관들은 실제로는 올해 2,3 사분기에 투자를 집행할 것이고, 그러면 또 가격은 오를 확률이 높고, 이걸 보고 다른 기관들이 비트코인을 매수할 것이다. 올해는 이 패턴이 반복되지 않을까 싶다.

미국의 비트코인 옹호론자들은 궁극적으로는 연방준비은행과 같은 중앙은행이 비트코인을 보유하게 될 거라고 하는데, 이건 정말 나도 잘 모르겠다. 그런데 이렇게 주장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동의를 할 수밖에 없다. 점점 더 비트코인이 디지털 골드라고 인정하는 분위기가 대세인 것 같고, 이게 맞는다면, 금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중앙은행들이 당연히 디지털 골드인 비트코인을 대량 보유하게 될 것이라는 이론인데, 이게 현실화 돼서 한국은행도 비트코인을 보유하게 된다면 정말 재미있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싶다.

2008년도 사토시 나카모토의 비트코인 백서가 세상에 공개됐고, 그 이후에 그냥 덕후들의 놀이로 조롱받던 비트코인을 수많은 전 세계 개미들이 투자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2년 만에 드디어 기관투자자들이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많은 기업 또한 재무제표상 비트코인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 이런 진화과정과 시장의 FUD를 고려해보면, 정말로 중앙은행들도 비트코인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The Giving Pledge Korea

2010년도에 포춘지에서 워런버핏과 빌게이츠가 기부 관련 재미있는 모임을 했다는 기사를 읽고, 이 기사를 요약한 걸 나는 블로그에 포스팅했었다:
1/ The $600 Billion Challenge – Part 1
2/ The $600 Billion Challenge – Part 2

2009년 5월 5일, Rockefeller University에서 이와 관련된 첫 만남이 이루어졌고, 14명의 부호들이 이 만찬에 참석했다. 이게 바로 The Giving Pledge 운동의 시작이다.

지난주에 배달의 민족 창업가 김봉진 대표님의 Giving Pledge 서약 소식을 듣고, 10년도 넘은 이 글을 다시 읽었다. 당시에는 40명의 서약이 웹사이트에 올라가 있었는데, 그때 한국인의 서약은 단 한 개도 없었고, 그 이후로 218개의 서약이 올라올 때까지도 한국인은 한 명도 없었다. 그리고 김봉진 대표 부부가 219번째 서약을, 한국인으로는 최초로 이 웹사이트에 올렸다.

감동까진 아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참 즐겁고 유쾌했다. 막 친하진 않지만, 개인적으로 아는 분이 쉽지 않은 결정을 했다는 점, 한국에서도 Giving Pledger가 나올 수 있다는 걸 증명한 점, 내가 종사하는 이 tech 분야에서 이런 분이 나왔다는 점, 그리고 앞으로 더욱더 많은 후배 창업가들이 김봉진 대표의 발자국을 따를 수 있다는 희망적인 시그널. 이 모든 게 참으로 감사하게 느껴졌다.

김봉진 대표님 부부의 Giving Pledge를 보면, 이런 내용이 있다.

“마지막으로 10년 전 창업 초기 20명도 안 되던 작은 회사를 운영할 때 빌게이츠와 워런버핏의 기사를 보면서 만약 성공한다면 더기빙플레지 선언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막연하게 꿈꾸었는데요. 오늘 선언을 하게 된 것이 무척 감격스럽습니다. 제가 꾸었던 꿈이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도전하는 수많은 창업자들의 꿈이 된다면 더없이 기쁠 것 같습니다. 그렇게 누군가 이 이야기를 계속 이어주시길 바랍니다.”

한국에서도 많은 분이 이 이야기를 계속 이어주길 진심으로 바란다.

Thank you Bongjin and Bomi.

변화의 소리

세상은 계속 빠르게 바뀌고 있고, 우리같이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이런 변화의 낌새를 빠르게 포착해야하며, 현재에 투자하기보단 미래에 투자해야지 더 큰 성공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나도 말은 이렇게 하면서, 행동은 아직 과거의 틀에서 못 벗어나고 있고, 우리 팀원은 모두 이런 변화를 잘 감지하고 있는데, 가끔 나만 구시대적인 발상과 편견에 갇혀서 변화를 거부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되도록 내 원칙을 고수하면서도, 유연한 태도로 모든 걸 접근하는 훈련을 계속하고 있지만, 이게 생각같이 잘 안 돼서 정말 힘들긴 하다. 이런 노력을 계속하고 있는 중, 얼마 전에 스포츠 구단, 소셜 미디어, 스트리밍, 그리고 OTT 관련 포드캐스트를 듣다가 변화와 관련된 좋은 인사이트를 많이 얻었다.

OTT 플랫폼들이 많이 등장하면서 사람들이 전통적인 TV는 이제 덜 보고, 인터넷으로 모든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때문에, 이제 드라마나 방송프로를 본방 사수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나 볼 수가 있다. 내가 자랄 때만 해도, 본방 사수를 못 하면, TV 재방송을 해주면 재방송 시간에 다시 보거나, 비디오로 녹화를 해놨다가 봤지만, 이젠 유튜브나 다른 플랫폼에서 얼마든지 거의 무료로 볼 수가 있다. 그런데 아직도 꼭 생방송이 의미가 있는걸 꼽자면 바로 스포츠다. 다른 건 모두 다 녹화방송으로 봐도 되지만, 운동경기는 반드시 생방송으로 봐야 하고, 아이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스포츠를 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 말은 더욱더 맞는 말이 됐다. 이런 배경을 잘 이용하여, 스포츠 리그나 협회는 생방송 중계 라이센스를 말도 안 되게 비싸게 팔았고, 그래도 방송국들은 앞다퉈서 라이센스를 비싸게 구매했는데, 비싸지만 이보다 훨씬 더 큰 돈을 벌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MZ 세대가 등장하면서 변화가 오기 시작했다. 우리 세대는 좋아하는 팀이 경기하면, 운동경기를 생방송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다 봐야하지만, 10대들의 성향은 아주 다르다. 이들이 운동경기를 보는 방법은 다른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대부분의 젊은 친구들은 한 경기를 생방송으로 다 보지 않고, 여러 경기의 주요 하이라이트만 보는데, 그렇게 해서 친구들과의 대화에 낄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손흥민 선수 경기를 다 안 보고, 그냥 골 넣는 하이라이트만 봐도 친구들과 “야 너 소니가 5명 재끼고 골 넣는 거 봤지? 대박!”이라는 대화에 참여할 수 있고, 이 친구들에게는 이게 더 중요하다는 말이다. 이런 하이라이트는 유튜브나 트위터에 널려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생방송을 보지 않고도 시청이 가능하다.

젊은 세대 쪽에서는 이런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스포츠 리그와 방송국은 이걸 보지 못했다. 아니, 보지 못했다기 보단, 그냥 보기를 거부했다고 하는 게 맞을것 같다. 꽤 오랜 시간동안 이런 움직임이 있었고, 주위의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세상이 변하고 있으니, 스포츠 중계 라이센스도 가격을 낮추던지, 무료화하는 방법을 찾자고 했지만, 이들은 듣지 않았다.

TV에서 NFL 경기를 생방송으로 보면 경기 시작하고 종료하는데 약 4시간 정도 걸리는데, 이 4시간 동안 실제로 볼이 플레이되는 시간은 15분이라고 한다. 나머지 3시간 45분은 광고, 작전, 타임아웃 등이다. 우리 같은 구세대는 상관없지만, 젊은 친구들은 이런 걸 다 볼 시간도 없고, 보고 싶어 하지도 않는다. 그냥 그 시간에 다른 거 하고, 경기 끝나면 하이라이트 2분만 보면 친구들과 이 NFL 경기에 관한 대화를 실컷 할 수가 있다.

어떤 e스포츠 종사자가 MLB 임원과 토론하는 걸 전에 봤다. 야구 쪽 분이 e스포츠는 아직 장난이고 제대로 된 비즈니스가 되려면 한참 멀었다면서 공격하자, e스포츠 종사자는 여러말 하지 않고, “MLB의 팬은 이제 죽어가는 사람들이고, e스포츠 팬은 이제 태어나고 있는 사람들이죠”라는 말로 받아쳤는데, 이 말, 굉장히 의미심장하다.

변화의 소리에 귀 기울이자. 시대가 바뀌는 소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크고 우렁차므로 들으려고 하면 들린다. 실은, 이건 독자들에게 하는 소리가 아니라, 오히려 나 스스로에게 하는 따끔한 경고이자 충고이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생각 – 2021년 1월

2018년 초 이후부턴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분야에 관심을 껐던 많은 분들이 새해부터 나한테 비트코인 가격과 전망에 관해서 물어보는걸 보면 이 시장에 다시 한번 불이 붙었다는 걸 느낄 수 있다. 4만 달러를 잠깐 넘었다가 지금은 또 떨어지긴 했지만, 비트코인 3만 달러 시대는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될진 나는 전혀 모르겠다.

그나마 다행인 건, 2017년도의 가격 폭등은 미디어와 투기가 만들었는데, 이번 불장에서는 이 둘의 영향이 많이 줄었다는 점이다. 그럼 도대체 가격이 왜 이렇게 많이 뛰었냐고 물어본다면, 많은 전문가가 팔려는 사람은 적은 데, 사려는 사람은 많은, 전형적인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때문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이 현상을 조금 더 깊게 본다면, 대량으로 구매하고, 오랫동안 팔지 않고 그냥 보관하고 있는, 그리고 이렇게 보관할 수 있는 기관투자자들의 등장도 한몫을 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투자에 대해 적용되는 FUD(Fear, Uncertainty, Doubt)의 영향이 이번에도 가장 크게 작용하는 거라고 나는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비트코인 가격이 이렇게 올라가는 현상이 좋은 건지 나쁜 건지는 나도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블록체인과 크립토 분야의 회사에 다시 한번 많은 관심이 집중되는 건 여러모로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우린 2013년 코빗 투자를 시작으로 그동안 한 번도 이 분야를 등한시한 적이 없고, 많진 않지만, 꾸준히 회사들을 검토하고 블록체인 관련 창업가들을 만났다. 지금까지 우리가 투자한 한국과 미국의 직접적인 블록체인/크립토 관련 스타트업과 간접적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서비스는 대략 10개 안팎이다. 암호화폐의 gateway 역할을 하는 거래소 고팍스, 비트코인 <-> 상품권 거래를 가능케 하는 디지털자산 거래소 비트로와 암호화폐로 이자수익을 벌 수 있는 디지털 자산 은행 샌드뱅크가 최근에 우리가 투자한 회사들이다. 이 밖에 송금이나 정품인증 등에 블록체인을 도입했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투자사도 있고, 하여튼 이 분야에서 계속 다양한 실험을 하는 재미있는 팀들이 많다.

이런 작은 실험과 노력이 계속 쌓이다 보면, 어느새 이 기술과 시장이 주류로 들어오는데, 이게 올해가 될진 잘 모르겠지만, 미국통화감독청의(OCC – Office of the Comptroller of the Currency) 스테이블코인 승인으로 시작한 2021년은 꽤 재미있는 한 해가 되지 않을까 싶다.

감시당하는 삶

privacy-policy-1624400_640

이미지 출처: succo / Pixabay

얼마 전에 이런 기사를 읽었다. 어떤 커플이 한 인스타그램 광고를 봤는데, 이 광고의 사진과 배경이 너무나 낯익어서 자세히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하얀 스트라입이 들어간 노란색 침구, 베이지색과 옅은 갈색의 커튼류가 본인들의 침실과 닮아도 너무 닮았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 구글홈에 대해 찬양하는 을 내가 썼는데, 요샌 “오케이 구글” 말 하기 전에 약간 망설이긴 한다. 이렇게 기기를 깨운 후에 우리가 말하는 내용만 구글에서 프로세싱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인식 기술을 향상하는 데 사용한다고 구글은 강조하고 있지만, 꺼져있을 때도 우리가 하는 말을 모두 다 저장하고 있지 않겠냐는 의심이 들기 때문이다. 이 내용을 구글에서 검색해보면, 온갖 음모론들이 있는데, 그래도 왠지 구글홈미니는 작동하지 않고 있어도 우리 가족의 모든 대화를 엿듣고 있을 것 같은 의심을 버릴 수가 없다.

아마존이나 구글의 특허를 보면, 음성인식 스피커를 통해서 얻은 고객의 정보를 기반으로 더 많은 제품을 추천하고, 한 가족의 프로필과 생활 패턴을 구성해서, 더 편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는 기기에 관한 내용이 있다. 이걸 하기 위해서는 24시간 고객을 염탐해야하는데, 스피커나 카메라가 매우 적격인 기기이긴 하다.

실은 나는 프라이버시에 대해서는 조금은 관대한 편이다. 내 취향에 맞는 다양한 추천을 자동으로 받을 수 있다면, 개인 정보를 적절한 수준에서 공개하는 건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문제는 이 개인 정보를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같은 회사가 다른 3자와 같이 공유할 때 커질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온 가족이 여름 휴가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게 녹음되고, 이게 해킹되면, 도둑이 이 가족이 집을 비운 동안 침입할 수 있고, 이보다 훨씬 더 끔찍한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돈에 환장한 이 거대한 기업들이 제 3자에게 우리 정보를 팔지 않거나, 사고로 인해서 제 3자에게 유출되지 않는다고 보장할 수도 없을 것 같다. 그러기엔, 지금까지 너무나 많은 사건과 사고가 발생했다.

위에서 말한 기사를 읽으니, 이 걱정이 더욱더 현실화 되어 가고 있다. 실은, 기사의 주인공이 한 일주일 전에 현재 침실에 있는 같은 Kartell 캐비닛을 하나 더 구매하자는 이야기를 여자친구와 했다고 한다. 신기한 건, 온라인에서 이걸 검색했다면, 인스타그램에서 캐비닛 광고가 뜨는 게 이해 가지만, 위에서 말한 광고는 가구는 취급하지 않고 리넨만 판매하는 Bonsoirs라는 회사의 광고였다. 즉, 이 인스타그램 광고는 침대 시트 광고였지만, 사진에는 주인공의 침실에 있는 정확한 그 Kartell 캐비닛이 있는 본인의 침실과 너무나 비슷한 침실이 그대로 보였다.

어쩌면, 이 모든 게 우연의 일치일수도 있다. 워낙 방대한 데이터가 있어서, 이 데이터를 기계적으로 조합하다 보면, 특정 사용자의 침실과 같은 침대보, 벽지, 바닥, 그리고 캐비닛으로 구성된 광고가 그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기사를 읽은 후 부턴 조금 조심스러워진다. 그래서 이 기사의 주인공을 비롯한 많은 사람이 잘 때는 폰을 꺼놓거나, 아니면 침실이 아닌 다른 곳에 놔두나 보다.